• 제목/요약/키워드: sport shoes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22초

12주간 복합운동이 여성 노인의 족저압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12-Week Complex Training Program on Foot-Pressure Patterns of the Elderly Women)

  • 이중숙;양정옥;이범진;박상묵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7-126
    • /
    • 2009
  • 이 연구는 12주간 복합운동이 여성 노인의 보행동작 시 발의 압력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규칙적으로 운동에 참여하지 않는 65세 이상의 노인여성 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에게 보행속도 2.4km/h로 직선보행동작과 $45^{\circ}$ 방향전환보행동작을 실시하게 한 후 보행 시 족저압력분포를 측정한 후 평균 족저압력과 최대 족저압력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12주간의 복합운동이 직선보행동작과 $45^{\circ}$ 방향전환 보행동작 시 평균 족저압력을 유의하게 감소시켜 효과적인 보행동작을 수행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12주간의 복합운동이 직선보행동작과 $45^{\circ}$ 방향전환 보행동작 시 최대 족저압력을 유의하게 감소시켜 효과적인 보행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12주 복합운동 전 후의 족저압력분포와 압력중심 이동곡선의 경로 분석결과 복합운동 전보다 복합운동 후의 족저압력분포가 보다 폭넓게 낮은 족저압력분포를 나타낸 것으로 관찰되었으며, 압력중심 이동곡선도 복합운동 전보다 복합운동 후 안정적인 곡선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Optical Method to Determine Gait Parameters Using Position Sensitive Detector

  • Jung, Gu-In;Kim, Ji-Sun;Lee, Tae-Hee;Choi, Ju-Hyeon;Oh, Han-Byeol;Kim, A-Hee;Goh, Bong-Jun;Kim, Jun-Sik;Lee, Eun-Suk;Jun, Jae-Hoon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0권5호
    • /
    • pp.2155-2161
    • /
    • 2015
  • This study suggests an optical method to measure cardinal of gait (step width, step length, and stride length) with position sensitive detector (PSD). The effect of reflector’s shape (flat and cylinder) on the PSD output voltage was examined for the application of the suggested system to real situations with a curved shape reflector (e.g. shoes). Various mathematical models were evaluated to find the optimal equation for the distance measurement. Considering the effect of shape on detected signal, the inverse polynomial model was developed. The suggested method is simple to operate, low in cost, small in size, and can evaluate gait parameters in real time. This method is expected to be useful in the field of rehabilitation and sport science

국내 힙합뮤지션의 패션유형별 스타일링 분석 (A Study on the Features of Fashion Styles of Korean Hip Hop Musicians)

  • 강은지;이정민
    • 복식
    • /
    • 제60권6호
    • /
    • pp.62-73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make an effective Korean Hip Hop culture and suggest a new style direction in classifying the types of fashion styles of the Hip Hop musicians and studying their features. They are surveyed in stage costumes, hair styles, make-ups, accessaries, and total fashion styles, and then classified into Normal Hip Hop Style, Casual Hip Hop Style, Sporty Hip Hop Style, Mix & Match Hip Hop Style, and Classical Hip Hop Styl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Normal Hip Hop Style is the most general and universal Hip Hop fashion type. They wear clothes in bigger sizes and exaggeratively. And also a cornrow hair style, a tattoo, and a piercing represent marked individualities. Second, Casual Hip Hop Style is more active and practical than Normal Hip Hop Style. Their blue jeans and T-shirts express more simple and polished style. And also they make variable fashion styles and hair styles such as a cornrow hair and a buzz cut. Third, Sporty Hip Hop Style is from B-boy's clothes when they do active and violent break dancing. As NBA basketball games are popular, they wear training clothes, breeches, big T-shirts, and jumpers & caps on embroidered sport team's names. Their hair style is short or natural and also they have caps or hoods to present active mood. Fourth, Mix & Match Hip Hop Style is existed variable elements in one style. The typical type of this style is jacket & blue jean. It is characterized by dress shirts, neck ties, blue jeans, sneakers, beards, and moustaches. Fifth, Classical Hip Hop Style is from African Americans. They try to express assimilated appearance of Anglo-Saxons. They wear black suits, shoes, hats, and sunglasses to represent formality and elegance. In the above results, there are variable fashion styles in one Hip Hop music genre and also fashion style is changed with musical inclination. This thesis is an important guide to produce variable and creative Hip Hop fashion styles in Korean Hip Hop culture.

남성의 명품 소비와 차이의 문화정치 한국 사회 30대 남성의 소비 경험을 중심으로 (A Study of Male Luxury Consumption and the Cultural Politics of Difference Focused on the Consumer Experiences of Men in their 30s)

  • 류웅재;박정은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75권
    • /
    • pp.9-42
    • /
    • 2016
  • 이 연구는 한국 사회 남성들의 명품 소비가 갖는 사회문화적 의미는 무엇이며, 개인이 명품 제품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고 또 이를 소비하는 과정에서 어떤 경험과 실천을 하는지 분석하고 있다. 이러한 의미와 실천을 둘러싼 일련의 과정들이 개인의 삶에 개입되는 방식과 이들의 총합으로서 한국 사회의 브랜드 소비와 물질문화를 둘러싼 다기한 지형과 문화정치를 비판적으로 독해하고 있다. 연구 방법으로 30대 남성 9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통해 이들의 명품 소비 경험을 수집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은 자기표현이나 타인과의 관계를 위한 상징적 욕구의 충족과 정체성 및 라이프스타일(lifestyle)의 연장선상에서 명품 제품을 소비하고 있었다. 이들에게 명품은 애착의 대상일 뿐 아니라, 새로운 관계와 자기 정체성의 형성 과정으로서 이를 소비하는 일련의 활동을 통해 지속적인 만족감이나 자기 효능감을 경험한다. 이들은 자신의 준거 집단으로부터 브랜드 소비 양식을 학습하면서 명품과 명품이 아닌 제품을 혼용해 사용하는 포스트모던(postmodern)적 소비 행태와 전략을 드러내기도 한다. 한국 사회에서 적절한 명품소비는 타자와의 관계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전략이나 필요로 인식되며, 이에서 파생되는 기호들은 현대사회의 남성성이 경제적 자본과 연동되는 자기관리, 자기계발 등의 가치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음을 시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