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orophylls of Undaria pinnatifida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36초

국내산 다시마, 미역포자엽, 톳, 모자반 정제 fucoidan의 구성당 결합 특성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Purified Fucoidan from Laminaria religiosa, Sporophylls of Undaria pinnatifida, Hizikia fusiforme and Sagassum fulvellum in Korea)

  • 구재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28-131
    • /
    • 1997
  • 국내산 주요 갈조류인 미역, 다시마, 톳, 모자반 정제 fucoidan의 기본 결합 구조 및 황산기 결합 위치를 확인하기 위하여 정제 fucoidan및 이를 methanolysis하여 얻은 고분자 획분을 각각 methylation 및 FT-IR 측정을 하였다. 다시마, 톳, 모자반, 미역포자엽 정제 fucoidan의 주 결합은 $(1\rightarrow3)$ linked fucose였으며 미역포자엽에는 $(1\rightarrow3)$ linked galactose도 상당량 존재하였다. 황산기의 대부분은 fucose와 galactose의 C-4의 위치에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국내산 다시마, 미역포자엽, 톳, 모자반 fucoidan의 리올리지 특성 (Rheological Properties of Fucoidans from Laminaria religiosa, Sporophylls of Undaria pinnatifida, Hizikia fusiforme and Sagassum fulvellum in Korea)

  • 구재근;조길석;박진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29-333
    • /
    • 1997
  • 국내산 미역포자엽, 다시마, 톳, 모자반에서 추출한 부분 정제 fucoidan의 유동특성을 측정하였다. 겉보기 점도는 모자반, 다시마, 톳, 미역포자엽 순으로 높았으며 특히 전단속도 1,500 1/s에서 미역포자엽의 용액 $(5\%)$의 겉보기 점도는 2.2mPa.s로 매우 낮았다. 전시료 모두 유동지수 1이하의 의가소성 유체의 성질을 나타내었으며 시료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의가소성이 증가하였다. 온도에 따른 활성화 에너지는 전단속도 1,500 1/s에서 톳 $8.269\times10^6$, 다시마 $7.498\times10^6$, 미역포자엽 $7.141\times10^6$, 모자반 $6.677\times10^6\;J/kg.mol$로 낮아 온도 의존성이 적었다. 또한 설탕 첨가시는 부분 정제 fucoidan의 점도가 증가한 반면에 소금 첨가시는 변화가 없었다.

  • PDF

Evaluation of sea mustard (Undaria pinnatifida) sporophylls from South Korea as fucoidan source and its corresponding antioxidant activities

  • Neri, Therese Ariane N.;Rohmah, Zuliyati;Ticar, Bernadeth F.;Palmos, Grace N.;Choi, Byeong-Dae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2권11호
    • /
    • pp.24.1-24.7
    • /
    • 2019
  • Sporophylls from sea mustard, Undaria pinnatifida, which are by-products in seaweed production industries, were taken from Hansan Island, Tongyeong, and Gijang, Busan, and investigated for their fucoidan content and corresponding antioxidant activities. The extracted fucoidan yield from sporophylls of sea mustard samples from Tongyeong (TF) and Gijang (GF) were 12.1% and 13.6%, respectively. The antioxidant activities assessment of TF and GF extracts showed relativ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amples, suggesting effect of location on bioactivities of fucoidan samples. GF was 50-68% more effective than TF against DPPH and superoxide radicals samples which may be attributed to the difference in their degree of sulfation and monosaccharide composition. Meanwhile, TF exhibited greater scavenging activity against hydroxyl radicals compared to GF which could be due to protein impurities.

한국산 다시마 및 미역으로 부터 Fucoidan의 추출 및 정제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Fucoidans from Laminaria religiosa and Undaria pinnatifida in Korea)

  • 구재근;조길석;도정룡;우순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27-236
    • /
    • 1995
  • 국내산 갈조류로부터 생리 기능성이 우수한 수용성 식이섬유 소재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위해 다시마와 미역(엽상체와 포자엽 각각)으로부터 fucoidan을 추출, 정제하여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Fucoidan의 추출 조건은 pH 2.0의 산성 추출액으로 $65^{\circ}C$I에서 1시간 씩 3회 추출을 하였고 cetylpyridinium chloride를 사용하여 부분 정제하였다. 부분 정제 fucoidan의 수율은 다시마 $2.71\%$, 미역포자엽 $6.65\%$, 미역 엽상체$0.40\%$였다. 특히 미역포자엽의 수율이 가장 높은 반면에 미역 엽상체는 가장 낮아 부위에 따른 차이가 매우 큼을 알 수 있었다. DEAE-Sephadex A-25 이온 교환 칼럼으로 부분 정제 fucoidan을 분획한 결과 다시마, 미역포자엽 모두 3종의 fraction으로 분획되었고 각 fraction은 전기 영동상에서 2종 이상의 band가 검출되어 불균일함을 알 수 있었다 이온 교환 칼럼으로 분획한 주fraction을 다시 알콜 분별 침전법으로 재분획한 결과 다시마와 미역포자엽은 에탄올농도 $60-70\%$에서 침전된 fraction이 cellulose acetate 전기 영동 및 gel filteration chromatography상에서 균일성을 나타내었다. 균일하게 정제된 fucoidan의 fucose : galactose : 황산기의 mole 조성비는 다시마, 미역포자엽이 각각 1 : 0.31 : 2.43,1 : 0.87 : 1.99였다. 분자량은 다시마가 31,000, 미역포자엽이 38,000으로 비교적 적었다.

  • PDF

Morphological and biochemical differences in three Undaria pinnatifida populations in Korea

  • Park, Kwang-Jae;Kim, Bo-Yeon;Park, Seo-Kyoung;Lee, Jong-Hwa;Kim, Young-Sik;Choi, Han-Gil;Nam, Ki-Wan
    • ALGAE
    • /
    • 제27권3호
    • /
    • pp.189-196
    • /
    • 2012
  • Twelve morphological characters and the biochemical composition of Undaria pinnatifida f. distans sporophytes growing on the rocky shores of Jindo and Wando and on cultivation ropes in Kijang were measured to determine whether each population could be characterized by morphological features and biochemical composition.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phenotypic variations between populations as they relate to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sporophytes of the Kijang population were two times longer and 19 times heavier than those at Jindo. Sporophylls of the Jindo U. pinnatifida population were significantly smaller in length, width, frill number, and weight than those at Wando and Kijang. Kijang Undaria plants showed the highest contents of total protein, crude fiber, total amino acids, the amount of essential amino acids, the proportion of total unsaturated fatty acids, and eicosapentaenoic acid. However, the Jindo population showed the greatest content of carbohydrates, lipids, and minerals (Zn and Ca) of the three U. pinnatifida populations. In particular, Zn content of Jindo plants was 30 times greater than that of Kijang plants. Thus, the proximate composition, mineral composition, amino acids, and fatty acids of Undaria pinnatifida plants were distinguishable among the three representative Undaria populations evaluat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morphological and biochemical differences of the three U. pinnatifida populations can be attributed to differences in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ir habitats.

국내산 미역포자엽, 다시마, 톳, 모자반 fucoidan의 항혈액응고 특성 (Blood-Anticoagulant Activity of Fucoidans from Sporophylls of Undaria pinnatifida, Laminaria religiosa, Hizikia fusiforme and Sargassum fulvellum in Korea)

  • 구재근;최용석;곽중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515-520
    • /
    • 2001
  • 국내 연안에서 생산되고 있는 갈조류인 미역포자엽, 다시마, 톳, 모자반을 묽은 염산 (pH 2.0)으로 $65^{\circ}C$에서 추출한 crude fucoidan을 CPC처리하여 침전시킨 후 $CaCl_2$ 농도 (1.0M, 1.5M, 3.0M)를 증가시키면서 분획하였다. APTT 활성으로 비교한 결과 분획물의 항 혈액응고 활성은 황산기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분획물 시료중 미역포자엽을 3.0M $CaCl_2$로 분획한 것이 가장 활성이 우수하였다. 이 획분을 다시 pronase와 laminase로 수식한 결과 각각 단백질과 glucose가 감소하였으나 수식 전에 비하여 APTT 활성이 증가하였다. Pronase와 laminase로 수식한 fucoidan의 fucose : galactose : mannose : sulfate : uronic acid의 $mole\%$는 1 : 1.3:0.03:2.7:0.08이였으며, 효소 처리에 따른 미역 포자엽의 주 결합구조는 변화가 없었다.

  • PDF

Contrasting Correlation in the Inhibition Response of ADP-induced Platelet Aggregation and the Anti-coagulant Activities of Algal fucoidans Derived from Eisenia bicyclis and Undaria pinnatifida sporophylls (Mekabu)

  • Jeong, Eui-Sook;Yoon, Yeon-Hee;Kim, Jong-Ki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2권3호
    • /
    • pp.194-202
    • /
    • 2009
  • Sulfated fucans are known to have both anti-thrombotic and anti-coagulant activities. In this study, the variation in platelet aggregation and anti-coagulant activities was investigated in vitro with regard to administered dos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sulfate content, and sugar composition in two algal fucoidans from Eisenia bicyclis and Undaria pinnatifida sporophylls (Mekabu). The anti-coagulant activity largely correlated with sulfate content and with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However, both fucoidans demonstrated inhibitory responses to ADP-induced platelet aggregation in dose- and structure-dependent manners that contrasted with the anti-coagulant activity. Neither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nor sulfate content greatly affected platelet-aggregation inhibition (PA-inhibition) by the fucoidan fractions, whereas anti-coagulant activity was sensitive to these structural factors. Interestingly, an E. bicyclis fucoidan fraction exhibited almost complete PA-inhibition at a treatment dose of 500 mg/mL while retaining weak anti-coagulant activity. In conclusion, these observations suggest that fucoidan may be a useful anti-thrombotic or anti-platelet agent in various arterial thrombotic disorders, including post-vascular intervention with controlled bleeding complications, due to its anti-coagulant modulating activity.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arine Bacterial Strain Degrading Fucoidan from Korean Undaria pinnatifida Sporophylls

  • Kim, Woo-Jung;Kim, Sung-Min;Lee, Yoon-Hee;Kim, Hyun-Guell;Kim, Hyung-Kwon;Moon, Seong-Hoon;Suh, Hyun-Hyo;Jang, Ki-Hyo;Park, Yong-Il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4호
    • /
    • pp.616-623
    • /
    • 2008
  • In spite of an increasing interest in fucoidans as biologically active compounds, no convenient commercial sources with fucoidanase activity are yet available. A marine bacterial strain that showed confluent growth on a minimal medium containing fucoidan, prepared from Korean Undaria pinnatifida sporophylls, as the sole carbon source was isolated and identified based on a 16S rDNA sequence analysis as a strain of Sphingomonas paucimobilis, and named Sphingomonas paucimobilis PF-1. The strain depolymerized fucoidan into more than 7 distinct low-molecular-mass fucose-containing oligosaccharides, ranging from 305 to 3,749 Da. The enzyme activity was shown to be associated with the whole cell,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a surface display of the enzyme. However, a whole-cell enzyme preparation neither released the monomer L-fucose from the fucoidan nor hydrolyzed the chromogenic substrate p-nitrophenyl-${\alpha}$-L-fucoside, indicating that the enzyme may be an endo-acting fucoidanase rather than an ${\alpha}$-L-fucosidase. Therefore, this would appear to be the first report on fucoidanolytic activity by a Sphingomonas species and also the first report on the enzymatic degradation of the Korean Undaria pinnatifida sporophyll fucoidan. Moreover, this enzyme activity may be very useful for structural analyses of fucose-containing polysaccharides and the production of bioactive fucooligosaccharides.

미역 포자엽 fucoidan의 중금속 흡착 특성 (Biosorption of Lead and Cadmium by Fucoidan from Undariafinnatifida)

  • 구재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521-525
    • /
    • 2001
  • 국내에서 다량 생산되는 갈조류인 미역포자엽, 다시마, 톳, 모자반으로부터 fucoidan을 추출, 분획하여 Pb와 Cd의 흡착 특성을 조사하였다. 4종의 갈조류에서 추출한 fucoidan의 분획물 모두 Pb의 흡착량이 Cd보다 높았으며, 시료간에는 미역포자엽 분획물 (Fr-3.0)이 Pb와 Cd 모두 흡착력이 상대적으로 우수하였다. pH와 농도 변화에 따른 홉착력의 변화는 $C_f$ (잔류농도)가 50mg/L까지는 pH 간 차이가 없었으나, 농로가 증가함에 따라 pH 5.5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흡착량이 증가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얻은 Pb 와 Cd의 최대 흡착량은 pH 5.5에서 각각 94mg/g ($C_f$164mg/L), 64mg/g ($C_f$197mg/L)였으며 Langmuir sorption model을 통해 구한 최대 흡착량은 pH 5.5에서 각각 178mg/g, 122mg/g이었다. Cd 공존시 Pb 흘착량은 $C_f$가 낮을 범위에서는 변화가 없었으나 $C_f$가 증가함에 따라 공존 이온의 흡착 방해로 인하여 감소하였다.

  • PDF

감마선 조사 미역귀(Undaria pinnatifida Sporophyll) 열수추출물을 첨가한 초콜릿의 품질 및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ocolate with Added Hot Water Extracts of Undaria pinnatifida Sporophylls under Gamma Irradiation)

  • 김다미;김경희;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03-109
    • /
    • 2012
  • 미역귀를 이용한 가공식품개발을 위해 비조사구와 감마선 50 kGy 조사구의 미역귀 열수추출 분말을 첨가(1, 3, 5%)한 초콜릿을 제조하여 품질 특성을 알아보았다. 초콜릿의 수분함량에서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반면, pH는 미역귀 열수추출 분말 첨가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색도의 L과 b값은 비조사구 및 조사구에서 첨가량이 증가할 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a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경도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성을 보이며 높아졌고, 비조사구보다 조사구에서 경도가 높았다.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총 페놀함량에서는 조사 5% 첨가구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비조사구보다 조사구에서 높은 항산화 활성이 나타났다. 초콜릿의 활성이 결과 냄새와 맛, 달콤함과 전반적인 기호도 측면에서 조사 1% 첨가구가 대조구 보다 높은 점수를 얻은 것으로 보았을 때, 감마선 조사 열수추출 분말 1% 첨가의 비율로 미역귀 초콜릿을 제품개발 함으로써 대중화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