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ore germination rate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9초

고추 흰가루병균(Leveillula taurica)의 발아특성 및 접종법 (Effect of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on Germination and Development of Powdery Mildew (Leveillula taurica) on Pepper and Its Inoculation Method)

  • 김대현;박종한;이중섭;한경숙;한유경;황정환
    • 식물병연구
    • /
    • 제15권3호
    • /
    • pp.187-192
    • /
    • 2009
  • 고추에 발생하는 흰가루병은 전 세계적으로 매년 발생이 늘어나고 있으며, 특히 시설재배에 있어서 가장 문제가 되는 병중에 하나다. 2009년 4월 및 9월에 강원, 충북, 경남 및 전남 등 4지역을 대상으로 흰가루병 발생 실태를 조사하였다. 시설재배지에는 15.3~81.8%(평균 71%), 노지재배에서 16.8~72.3%(평균 46%)의 이병엽율을 보여 시설재배에서 발생이 많음을 볼 수 있었다. 병징은 잎 뒷면에 밀가루를 뿌려 놓은 것처럼 하얗게 분생포자가 퍼져 있고, 아랫잎은 황색으로 탈색되거나 낙엽되었다. 온도에 따른 고추 흰가루병의 분생포자 발아력을 조사한 결과, $25^{\circ}C$에서 처리후 6시간에서 발아율이 35.9%였으며, 습도는 85%에서 38.5%로 발아율이 가장 높았다. 온도 및 습도별로 발아관을 측정한 결과, 온도는 $20{\sim}25^{\circ}C$에서 습도는 85~93%에서 각각 105.8~107.8 ${\mu}m$ 및 79.7~80.3 ${\mu}m$로서 가장 길게 나타났다. 고추 흰가루병을 접종시킨 후 병 진전에 따른 발병도를 조사한 결과 접종 후 8일부터 병징을 보이다가, 15일 후에 병 발병도가 53.3~73%로서 급격하게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고추 흰가루병 인공접종 체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분무접종, 압착 및 타락방법을 사용한 결과, 분무접종보다는 압착 및 타락방법이 높은 발병도를 나타내었다. 특히 타락방법을 이용한 인공접종에서는 발병도가 72%로서 가장 높은 발병도를 나타내어 병 저항성 검정을 위한 접종방법으로 추천할 만 하였으나, 금후 안정적이고 대량접종을 위해 효율적인 접종방법 개발이 필요하였다.

참지네고사리의 포자발아, 전엽체 및 포자체 번식에 영향을 미치는 배양 조건 (Culture Conditions Affecting Spore Germination, Prothallus Propagation and Sporophyte Formation of Dryopteris nipponensis Koidz.)

  • 장보국;조주성;이기철;이철희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5권4호
    • /
    • pp.480-489
    • /
    • 2017
  • 본 연구는 참지네고사리의 기내 포자발아, 전엽체 증식 및 포자체 형성에 적합한 배지 및 배양토를 구명하고 균일묘를 생산하고자 수행되었다. 포자는 배지의 종류와 농도에 관계없이 모든 처리구에서 발아율이 우수하였다. 그 중 Knop배지에서는 MS 계열 배지에 비해 전엽체로의 발달이 빠르게 진행되었다. 포자를 발아시켜 획득한 전엽체를 재료로 배지의 구성물질을 달리하여 배양하였다. 전엽체의 증식율은 Knop배지에 비해 낮았으나, 장정기 등 생식기관의 형성이 활발한 1MS배지가 전엽체 증식용 배지로 적합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또한 MS배지의 sucrose 농도는 2%, 총 질소급원의 농도는 60mM, $NH_4{^+}$$NO_3{^-}$의 비율을 20:40mM로 조절하는 것이 전엽체의 생육 및 형태형성에 효과적이었다. 포자체 형성에 적합한 배양토를 선발하기 위하여 믹서기로 분쇄한 전엽체를 인공토양(원예상토, 피트모스, 펄라이트, 마사토)을 단용 또는 혼용한 토양에 분주하여 14주간 재배하였다. 그 결과, 원예상토를 사용한 처리구에서 포자체의 형성 및 생육이 우수하였으며, 특히 원예상토와 마사토를 2:1(v:v)로 혼용하였을 때 포자체의 형성(0.83개/$cm^2$)이 가장 왕성하였다.

인삼 추출물에 의한 Cylindrocarpon destructans의 주화성 반응 연구 (Chemotactic Response Study of Cylindrocarpon destructans towards Ginseng Root Exudates)

  • 허영화;시곤;장애화;뢰봉걸;양학;조암;이활;왕이환;이충;김종석;이승호;김영창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360-369
    • /
    • 2016
  • Background: Cylindrocarpon destructans (Zins) Scholten is an important pathogenic fungus that causes ginseng root rot in many ginseng growing areas in China. Although C. destructans have been studied worldwide, research on its chemotaxis towards ginseng (Panax ginseng C. A. Meyer) root exudates in the rhizosphere remains limited. Methods and Results: In this study, we collected ginseng root exudates with three different polarities from three-year-old ginseng roots, and performed chemotaxis and spore germination assays to investigate the ability of these exudates to induce the response in C. destructans. The results showed that, compared with other conditions, when C. destructans cultivated at $20^{\circ}C$ and a pH of 6 exhibited a strong positive chemotactic response toward $2mg/{\ell}$ aqueous phase, $20mg/{\ell}$ butanol phase, and $0.2mg/{\ell}$ petroleum ether from ginseng root exudates, the chemotactic moving indexes were 0.1581, 0.1638 and 0.1441,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spore germination rate with optimal chemotactic parameters were 48%, 53%, and 41% in the aqueous phase, butanol phase and petroleum ether groups, respectiviely, which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23%) (p < 0.05). The mycelial growth rate with optimal chemotactic parameters increased with culture time, and the maximum growth rates in the aqueous phase, butanol phase and petroleum ether groups were 0.425, 0.406 and 0.364 respectively, on the 4th day. The optimal chemotactic parameters were $39.73mg/50mg/{\ell}$, $48.93mg/50mg/{\ell}$, and $31.43mg/50mg/{\ell}$, in aqueous phase, butanol phase and petroleum ether respectively, from ginseng root exudates, compared with $5.5mg/50mg/{\ell}$,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The present study revealed that certain ginseng root exudates containing chemical attractants act as nutritional sources or signals for C. destructans and support its colonization of ginseng roots.

Benzimidazole과 dicarboximide계 살균제 저항성 잿빛곰팡이병원균(Botrytis cinerea)에 대한 mepanipyrim의 효과 (Effect of Mepanipyrim on the Resistant Isolates of Gray Mold fungus, Botrytis Cinerea to the Fungicides of Benzimidazole and Dicarboximide)

  • 구한모;안승준;신호철;도은수;신미호;김유석;김진희;천세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9권4호
    • /
    • pp.259-265
    • /
    • 2006
  • Benomyl과 procymidone에 대한 잿빛곰팡이병원균(Botrytis cinerea) 저항성 균주와 감수성 균주에 대한 mepanipyrim의 효과를 실내에서 조사하고 딸기, 오이, 포도에 대한 포장에서의 잿빛곰팡이병의 방제 효과를 시험하였다. 잿빛곰팡이병원균(Botrytis cinerea)의 균사 생장과 포자 발아율의 비교를 기초로 하여 benomyl과 procymidone을 각각 $100{\mu}g\;a.i./ml$씩 첨가한 감자한천배지(potato dextrose agar, PDA)에서 benomyl과 procymidone 살균제에 저항성 또는 감수성인 균주를 선발하였다. 선발된저항성 균들의 포자발아는 mepanipyrim의 농도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현저히 억제되지는 않았다. 그러나 포자 발아와는 대조적으로 균사의 생장은 benzimidazole 또는 dicarboximide계의 기존 다른 약제와 유사하게 억제되었다. Benomyl과 procymidone에 저항성인 분리 균주를 오이 잎에 접종한 후 mepanipyrim $250{\mu}g\;a.i./ml$을 처리하였을 때 병원균의 침투력이 현저히 억제되었지만 benomyl과 procymidone을 처리하였을 때는 그렇지 못했다. Mepanipyrim $250{\mu}g\;a.i./ml$을 포장에서 딸기, 오이, 포도에 처리하였을 때 잿빛곰팡이병이 현저히 억제된 것으로 나타나(Duncan's multiple range test, p<0.05), mepanipyrim이 benzimidazole과 dicarboximide계 등의 다른 살균제에 저항성인 잿빛곰팡이병원균에 의한 병을 방제하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여 주었다.

Metarhizium anisopliae의 Fusarium oxysporum, Botrytis cinerea, Alternaria solani 등에 대한 항진균활성 (Antifungal Activities of Metarhizium anisopliae against Fusarium oxysporum, Botrytis cinerea, and Alternaria solani)

  • 강선철;박영구;이동규;김용헌
    • 한국균학회지
    • /
    • 제24권1호통권76호
    • /
    • pp.49-55
    • /
    • 1996
  • 살충성진균 Metarhizium anisopliae가 시들음병을 일으키는 Fusarium oxysporum, 잿빛곰팡이 병을 일으키는 Botrytis cinerea, 겹둥근무늬병을 일으키는 Alternaria solani 등에 대하여 항진균활성을 갖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Plate상에서 균사생장저해 실험과 inhibition rate실험을 했을 때 항진균활성이 검정되었으며 또한 YPD배지에서 배양된 M. anisopliae로부터 얻은 배양여액을 식물병원균에 30%농도로 첨가했을 때 이들의 포자발아율은 B. cinerea, F. oxysporum에서 각각 21.5%(control: 88.2%), 53.0%(control: 78.6%)로 감소하였으며 발아개시 시간도 8시간 정도 지연되었다. 또한 현미경을 통한 미세구조관찰에서는 10% 배양여액을 첨가했을 때 F. oxysporum의 균사로부터 후막포자가 생성되고 생장저해가 일어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M. anisopliae의 항진균활성은 fungistatic effect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 PDF

Prochlornz와 fludioxonil 혼용침지소독에 의한 벼 키다리병 방제 (Control of Bakanae Disease of Rice by Seed Soaking into the Mixed Solution of Procholraz and Fludioxnil)

  • 박우식;최효원;한성숙;신동범;심형권;정은선;이세원;임춘근;이용환
    • 식물병연구
    • /
    • 제15권2호
    • /
    • pp.94-10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키다리병에 심하게 감염된 종자를 prochlornz EC와 fludioxonil FS을 혼용하여 종자소독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 혼용처리 시 병원균 균사 및 포자 억제효과를 분석하고 혼용조건을 설정 하였다. 균사생장 억제 검정에서는 단제 사용 시 prochloraz는 $10{\mu}g$/ml 처리에서 100% 억제한 반면 fludioxonil은 $80{\mu}g$/ml 처리에서 33.3%의 억제율을 나타내었고, 두 가지 살균제의 혼용 시 각각 $5{\mu}g$/ml씩 혼용처리에서 100% 억제하였다. 포자발아 억제 검정의 경우 prochloraz $40{\mu}g$/ml 단독 처리에서 81.4% 발아를 억제하였지만 prochloraz와 fludioxonil 각각 $10{\mu}g$/ml 혼용처리에서는 99.2%의 억제율을 보였다. 감염종자를 대상으로 혼용침지소독 시 prochloraz $125{\mu}l$/ml와 fludioxonil $50{\mu}l$/ml 혼용 침지할 경우 발병율이 2.1%로 높은 방제 효과를 보이고 입모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prochloraz 농도가 높아질수록 입모율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침지시간이 길고 온도가 높을수록 키다리병 방제효과가 증진된 반면 $35^{\circ}C$ 이상에서는 입모율이 80% 내외로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는데 관행방법인 prochloraz $125{\mu}l$/ml 단독으로 $30^{\circ}C$에서 48시간침지 시 57.6%의 방제가를 나타낸 반면 prochloraz $125{\mu}l$/ml와 fludioxonil $50{\mu}l$/ml를 혼용하여 $30^{\circ}C$에서 48시간 첨지할 경우 방제가 96.7%, 입모율 88.0%로 키다리병 방제에 효과적이면서 식물체에 안정적인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Phenylmercuric 8-oxyquinolinate의 살균작용 및 이의 이화학적 성질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fungicidal action and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henylmercuric 8-oxyquinolinate)

  • 손청열;강인목;이성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권
    • /
    • pp.11-18
    • /
    • 1965
  • Phenylmercuric 8-Oxyquinolinate의 광범위한 식물병원균에 대한 살균작용, 식물의 수분증산억제작용, 식물에 대한 약해작용, Gas작용 및 자외선에 의한 경시변화에 관해 실험을 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포자발아억제작용은 P.M.A.보다 약간 불량한 결과를 보이며, 균사생장억제작용은 P.M.A. 보다도 양호하였다. (2) 식물의 수분증산억제작용은 초기에는 8-Hydroxyquinoline sulfate가 P.M.Q.보다도 강한 억제작용을 나타내었으나, 끝에 가서는 반대로 P.M.Q가 Oxine sulfate보다도 강한 작용을 나타냈다. (3) 수도종자의 발아, 발근에 미치는 영향은 P.M.A. 보다 약해가 적었고 수도 및 대두의 유식물의 경엽(40ppm 처리)에도 약해가 없었다. (4) 식불병원균에 대한 Gas효과에 의한 살균력은 P.M.A.보다 적었다. (5) 자외선에 의한 영향은 생물학적인 변화와 화학적인 변화가 거의 일치하였으며 P.M.Q.는 P.M.A.보다도 훨씬 자외선에 안정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본약제는 광범위한 식물병원균에 대해 살균작용을 가지고 있고 식물의 수분증산도 억제시키며 이화학적인 안정성을 가진 유망한 살균제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Biocontrol of Anthracnose in Pepper Using Chitinase, ${\beta}$-1,3 Glucanase, and 2-Furancarboxaldehyde Produced by Streptomyces cavourensis SY224

  • Lee, So Youn;Tindwa, Hamisi;Lee, Yong Seong;Naing, Kyaw Wai;Hong, Seong Hyun;Nam, Yi;Kim, Kil Y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2권10호
    • /
    • pp.1359-1366
    • /
    • 2012
  • A strain of Streptomyces cavourensis subsp. cavourensis (coded as SY224) antagonistic to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infecting pepper plants was isolated. SY224 produced lytic enzymes such as chitinase, ${\beta}$-1,3-glucanase, lipase, and protease in respective assays. To examine for antifungal activity, the treatments amended with the nonsterilized supernatant resulted in the highest growth inhibition rate of about 92.9% and 87.4% at concentrations of 30% and 10%, respectively. However, the sterilized treatments (autoclaved or chloroform treated) gave a lowered but significant inhibitory effect of about 63.4% and 62.6% for the 10% supernatant concentration, and 75.2% and 74.8% for the of 30% supernatant concentration in the PDA agar medium, respectively, indicative of the role of a non-protein, heat stable compound on the overall effect. This antifungal compound, which inhibited spore germination and altered hyphal morphology, was extracted by EtOAc and purified by ODS, silica gel, Sephadex LH-20 column, and HPLC, where an active fraction was confirmed to be 2-furancarboxaldehyde by GS-CI MS technique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SY224 had a high potential in the biocontrol of anthracnose in pepper, mainly due to a combined effect of lytic enzymes and a non-protein, heat-stable antifungal compound, 2-furancarboxaldehyde.

민자주방망이버섯(Lepista nuda )의 형태적 특성 및 교배에 관한 연구 (A study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hybridization on Lepista nuda)

  • 정원순;김종봉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8
    • /
    • 2013
  • 본 연구에서 한국에 자생하는 12종의 민자주방망이버섯과 13종의 프랑스, 스위스, 포루투갈, 일본 등지에서 버섯을 수집하였다. 이들 한국, 외국 품종의 민자주방망이버섯은 단핵균사를 얻기 위해 이들 버섯으로부터 단포자를 얻어 YB배지에 배양하였다. 또한 민자주방망이버섯 육종을 위하여 자실체의 형태적 특성과 단핵균주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교배 단핵균주를 선별하였다. 그 결과 선별된 11개의 교배계통($K1{\times}K2$, $K1{\times}K3$, $K1{\times}K4$, $K1{\times}K6$, $K1{\times}K5$, $K2{\times}K4$, $K2{\times}K3$, $K2{\times}K6$, $K3{\times}K4$, $K4{\times}K5$, $K4{\times}K6$)에서 clamp connection을 관찰하였으며, 또한 RAPD 패턴 분석을 통해 교배 여부를 판단하였다. 교배된 2핵균주를 다시 PDA 배지에 배양하여 교배균주의 양상을 관찰한 결과 선별된 11개의 국내 야생 민자주방망이버섯으로 이루어진 교배계통은 야생품종 2핵 균사 또는 외국 민자주방망이버섯 품종 보다 성장속도가 빠른 것을 확인 하였다. 이는 앞으로 민자주방망이버섯의 한국 고유 품종개발 시 우수 교배형 선택에 있어, 기초자료로서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토양병의 발병억제 기작과 그 실용성 -길항성 Trichoderma spp.의 분리, 동정 및 근권내 활동- (Suppressive Mechanism of Soil-borne Disease Development and its Practical Application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Species of Trichoderma Antagonistic to Soil diseases and its activities in the Rhizosphere-)

  • 김성일;심재욱;신현성;최혜정;이민웅
    • 한국균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37-346
    • /
    • 1992
  • 길항균 Trichoderma spp.가 입고병 및 식물토양병 방제에 효과적이었으므로 T. hamatum strain Tr-5와 Rhizoctonia solani 사이의 토양근권내의 상호작용을 구명하고, 생물학적 방제로서의 활용성을 알고저 기초적인 실험을 하였다. 길항성이 우수한 Trichoderma spp.의 토양내 분포비를 구명하고저 채집한 토양시료에서 길항균과 토양 미생물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전세균, 전진균, 방선균 및 Trichodema spp.의 분포비는 65%, 8.8%, 25.9% 및 0.28%로 세균이 많고 Trichoderma spp.의 분리비는 가장 적었다. Trichoderma spp.를 분리하여 동정한 결과 T. koninggii, T. pseudokoninggii, T. aureoviride, T. hamatum 및 T. viride의 5종이 동정되었고, 이중 균주 Tr-5인 T. hamatum을 공시하여 균기생성여부를 관찰한 결과 R. solani에 대한 기생성을 관찰하였으며 효소적으로 균사가 용균되어 파괴됨을 관찰하였다. Trichoderma spp.의 토양내 발아력을 조사한 결과 자연토양에서 Trichoderma spp. 모든 종은 $1.7{\sim}7.3$ 이내의 발아력을 나타내었고, 살균토양에서는 90% 이상의 포자발아력을 나타내어 자연토양에서 Trichoderma 정균현상이 관찰되었다. 길항력이 있는 T. koninggii, T. pseudokoninggii, T. hamatum 및 T. viride 등 4균주의 토양근권내 완두뿌리 근권점유율실험에서 4종 균주 모두는 토양깊이 1cm 범위까지는 점유율이 크게 나타났으나 $2{\sim}3\;cm$에 서는 분포수가 감소하였고 4 cm 이하에서는 뿌리 점유분포수가 크게 감소하였다. 인삼근을 심은 폿트실험에서 Fusarium solani, Cylindrocarpon destructans, Rhizoctonia solani균의 단독처리구에 비해 길항력이 있는 T. hamatum Tr-5 처리구에서는 근부현상이 감소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