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ore germination rate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1초

갈색엽고병의 인공접종법에 관한 연구 (Mass Inoculation Technique of Fusarium Disease in Rice)

  • 권신한;송희섭;김재이;산구부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3-27
    • /
    • 1973
  • 갈색엽고병(Fusarium niwate)의 효과적인 접종방법을 찾아내기 위해 본 시험을 수행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본 균의 분생포자의 증류수 현탁액을 벼 유묘에 분무접종할 때, 접종 후 습실에 1일 보존했을 경우에는 거의 발병이 되지 않았으나 2일간 보존한 겅우에는 어느 정도 병반이 나타났다. 2) 벼 유묘에 바람이나 또는 나무막대기로 물리적인 상처를 입힌 다음 증류수 포자현탁액을 분무한 결과 상당한 병만이 형성되었다. 3) 포자현탁액에 벼 잎 추출액, glucose, polypeptone, yeast exract 등의 $1\%$ 용액을 첨가 분무접종했을 때 병반형성이 양호하였다. 4) 포자발아상태는 종류수중에서는 불량하였으나 영양분을 첨가한 용액중에서는 발아력도 좋았고 균사의 융합도 양호하게 일어났다. 5) 본 접종시험의 결과 통일품종은 재래 장려품종인 풍광에 비해 본 병에 대해 약했다.

  • PDF

영남지역 시설재배지에 분포하는 Arbuscular 균근균의 포자 밀도 및 기내조건에서의 포자발아와 균사생장 특성 (Density of Arbuscular mycorrhizal spore of plastic film house soil in Yeongnam area and characterestics of AMF in vitro)

  • 박향미;남민희;강항원;이재생;고지연;강위금;박경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03-209
    • /
    • 1999
  • 인산축적 시설재배지에서 Arbuscular 균근균의 이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영남지역 시설재배지의 토착 Arbuscular 균근균의 분포밀도를 조사하고 in vitro에서 Arbuscular 균근균의 포자 표면살균 조건에 따른 포자발아 및 균사생장정도를 검토하였다. 시설재배지 토양에서 재배작물별 Arbuscular 균근균의 포자분포수는 수박에서 가장 높았으며 오이, 참외, 고추의 순이었으며 건토 100 g당 포자수는 101~207개 범위에 있었다. 한편, Arbuscular 균근균의 포자분포수는 B/F비가 낮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토양유효인산의 함량과는 $r=0.416^*$의 유의성 있는 정의 상관을 나타내었다. Acaulospora spinosa와 Gigaspora margarita 두 균주를 대상으로 기내실험한 결과 Arbuscular 균근균의 포자표면살균은 두 균주 모두 2% Chloramin T 및2% Chloramin T와 항생제 혼합 처리시 50%이상의표면 살균력과 포자발아율을 보여 다른 화합물 처리보다 양호하였다. pH에 따른 Gigaspora margarita의 포자발아와 균사생장은 pH 5.0 ~ 9.0 사이의 넓은 범위에서 50%이상의 발아율을 보였으며, 초기 pH가 증가 할수록 균사생장이 양호한 경향이었으나 Acaulospora spinosa의 경우에는 pH 9.0에서 포자발아율이 가장 높았으며 균사생장은 실험한 pH의 범위에 상관없이 저조하였다.

  • PDF

Effects of Inoculation of Rhizomicrobial Strains on Plant Growth at the Early Germination Stage

  • Yoo, Jae Hong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7권2호
    • /
    • pp.153-157
    • /
    • 2014
  • Plant-growth-promoting rhizobacteria can affect plant growth by various direct and indirect mechanism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ability of some rhizobacterial strains to enhance the seed germination of Lactuca sativa (lettuce) and Raphanus sativus (radish). Seeds were inoculated using a spore suspension ($1{\times}10^7cfumL^{-1}$) and incubated in a growth chamber at $28^{\circ}C$ under dark conditions and 65% RH. Azotobacter chroococcum and LAP mix inoculation increased the plumule length of L. sativa by 1.3, 0.8, and 0.7 cm, respectively, in comparison to the uninoculated control. Pseudomonas putida showed an increase of only 0.6 cm in plumule length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Inoculation of A. chroococcum, P. putida, and LAP mix enhanced the seed germination rate of R. sativus, by 10, 5, and 30%, respectively, in comparison with the uninoculated seed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inoculation of seeds by select rhizobacterial strains showed remarkable enhancement to the radicle length of lettuce and radish seedlings.

중복기생균 Ampelomices quisqualis 94013의 배양적 특성 (Cultural Characteristics of a Hyperparasite, Ampelomyces quissqualis 94013)

  • 이상엽;류재당;김홍기
    • 식물병연구
    • /
    • 제11권2호
    • /
    • pp.173-178
    • /
    • 2005
  • Ampelomyces quisqualis 94013는 중복기생균으로 흰가루병 생물적 방제용 우수균주로 선발하여, 이 균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배양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A. quisqualis 94013의 균사생육 적은은 $26^{\circ}C$이였으며, 균사생육 최적 pH는 6.5였다. 감자한천배지(PDA)배양시 광조건(형광등 12시간주기)보다는 암조건에서 더 많은 포자를 형성하였다. 이 균의 포자발아 온도범위는 $10\~35^{\circ}C$이고, 최적온도는 $20^{\circ}C$이였다. 포자발아는 $24^{\circ}C$에서 8시간 배양 후 시작되었으며, 포자발아율은 포자현탁액의 농도가 $5{\times}10^7/ml$보다 $5{\times}10^5/ml$$5{\times}10^6/ml$에서 높았다. 이 균은 탄소원으로는 dextrin을, 질소원으로는 neopepton을 가장 잘 이용하였다.

양송이(洋松茸)의 단일담포자(單一擔胞子) 분리(分離)에 의(依)한 신계통(新系統) 선발(選拔)에 관한 연구(硏究) (Improvement of Cultivated Mushroom Agaricus bisporus by Means of Single Basidiospore Selections)

  • 변명옥;유창현;김광포
    • 한국균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41-145
    • /
    • 1981
  • 앙송이 단일담포자(單一擔胞予)의 발아(發芽)에 가장 알맞은 배지(培地)는 water agar였고 이때 발아율(發芽率)은 26%였다. 단일담포자(單一擔鐵子) 6,372개(個)를 분리(分離)하여 1,622개(個)를 발아(發芽)시켰으며 이들은 균총형태(菌叢形態)에 따라 strandy type과 fluffy type으로 구분(區分) 할 수 있었으며 이중 전자(前者)는 균사생장(菌絲生長) 속도(速度)가 빨랐고 수량(收量)도 높았다. 발아(發芽)된 단일담포자중(單一擔胞子中) 퇴비추출배지상(堆肥抽出培地上)에서 strandy type 778개(個)를 선발(選拔)하여 생산력(生産力)을 검정(檢定)한 결과(結果) 1차(次)에서 공시(供試) 균주(菌株)의 89개(個), 2차(次)에서 19개(個), 3차(次)에서 9개(個) 균주(菌株)를 우수(優秀) 계통(系統)으로 선아(選芽)할 수 있었다. 이들중 No. 645 외(外) 8균주(菌株)는 수량(收量)이 5%이상(以上) 증수(增收)되었으며 그중 No. 1567, 1708 두 균주(菌株)는 수량(收量)이 10% 이상(以上) 증수(增收)되었고 품질(品質)도 양호(良好)하여 우량계통(優良系統)으로 선발(選拔)할 수 있었다. 따라서 단일담포자(單一擔胞子)의 계통분리(純系分離)에 의(依)해 양송이 신계통(新系統) 육성(育成)이 가능(可能)할 것으로 보인다.

  • PDF

배검은별무늬병균과 배붉은별무늬병균에 대한 유기농자재들의 항균활성 (Antifungal Activity of Agro-Materials against Pear Scab (Venturia nashicola) and Pear Rust (Gymnosporangium asiaticum) Fungi)

  • 송장훈;서호진
    • 식물병연구
    • /
    • 제24권1호
    • /
    • pp.33-40
    • /
    • 2018
  • 본 연구는 무기살균제, 식물추출물, 미생물 등 우리나라에 등록된 병해관리용 유기농자재 중 19종에 대해 배검은별무늬병균과 배붉은별무늬병균을 접종하고 배 잎 조직에서의 항균활성을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배검은별무늬병균에 대해 황, 구리 등이 함유된 유기농자재 9종 중에서 대부분은 포자발아를 완전히 억제하였고, 일부 발아한 포자의 경우에도 부착기가 전혀 형성되지 않았으나 배붉은별무늬병균에 대해서는 석회황합제, 네오보르도, 흰가리스 등에 한하여 항균활성을 보였다. 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유기농자재 중 흰가루자바는 배 검은 별무늬병균의 분생포자 발아를 완전하게 억제하였으며 배 붉은별무늬병균에 대해서도 71.6% 수준으로 비교적 높은 포자발아 억제효과를 보였다. 미생물 함유 제제로써 청고탄(Streptomyces griseus)은 배검은별무늬병균에 대해 88.8%의 포자발아억제율을 보이고 부착기도 형성하지 않으며 세포간에 자재집적이 확인되지 않았다. 탑시드(Paenibacillus polymyxa)는 배검은별무늬병균과 배 붉은별무늬병균에 대해 포자발아억제율이 각각 71.0%와 90.6% 수준이며 부착기형성도 이뤄지지 않았다. 향후 직접적인 접촉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보호효과뿐만 아니라 미생물 대사산물과 천연화합물이 지니고 있는 유도저항성 효과도 고려하여 포장조건에서 누적적으로 살포하면서 종합적인 항균활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Antifungal Activity of Methyl 2-Benzimidazole Carbamate

  • Kim, Mal-Nam;Park, Hye-Young
    • Mycobiology
    • /
    • 제31권2호
    • /
    • pp.81-85
    • /
    • 2003
  • Antifungal properties of methyl 2-benzimidazole carbamate(BMC) were investigated using 16 fungi. Cytotoxicity test of BMC revealed that the morphology of HeLa cells was considerably deformed even at the concentrations as low as 0.1 ppm.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MIC) values of BMC for 7 fungi among the 16 tested ones were lower than $1.95{\times}10^{-4}{\mu}g/ml$, while Aspergillus flavus showed an MIC value higher than 1.0 ${\mu}g/ml$. Tolerance induction against BMC was successful only for Paecilomyces farinosus LAR10, contrary to the expectation that tolerance would be induced for the fungi having high MIC values such as Aspergillus niger ATCC 9642 and A. flavus ATCC 9643. Spore germination of A. niger ATCC 9642 was suppressed by BMC. However the mycelial growth of the fungus once germinated was not retarded at all by BMC up to 8 MIC. Addition of lanosterol provided a remedy for the reduced germination rate of A. niger ATCC 9642 spores.

토양(土壤) 조건(條件)에 따른 수종(數種) 균류(菌類)의 포자(胞子) 발아(發芽)와 정균현상(靜菌現像) (Spore Germination of Some Fungi under Different Soil Conditions in Relation to Fungistasis)

  • 이민웅;신현성;최혜정
    • 한국균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95-201
    • /
    • 1985
  • 전(全) 세균(細菌)과 균류(菌類)는 금산(錦山)의 재작(再作) 이병포(罹病圃) 토양(土壤)에 많이 분포(分布)하였고 반면(反面) 방선균(放線菌)의 수(數)는 괴산(塊山)의 초작건삼포(初作健蔘圃) 토양(土壤)에 많이 분포(分布)하였다. 재료(材料) 토양(土壤)을 여러가지 식물질(植物質)로 개량처리(改良處理) 후에 토양중(土壤中)의 미생물(微生物) 수(數)의 변동(變動)을 조사한 결과, 괴산(塊山) 지역(地域)의 토양(土壤)을 제외하고 다른 토양(土壤)에서는 세균(細菌)의 수(數)가 감소(減少)하였고, 반대로 균수(菌數)는 2개(個) 지역(地域) 토양(土壤)에서 양파와 감자줄기를 처리한 토양조건(土壤條件)에 수(數)가 증가(增加)하였다. 또한 개량(改良) 처리(處理)한 토양(土壤)에서 일반적으로 균류(菌類)가 증가하였다. 세균(細菌)과 균수(菌數)는 이병(罹病) 재작지(再作地)에서 일반적으로 증가(增加)하였다. 균(菌)의 포자(胞子) 발아(發芽)는 미생물(微生物)의 분포수(分布數)가 많을수록 낮아졌다. A. panax는 자연토양조건(自然土壤條件)에서 포자(胞子) 발아(發芽)가 적게 영향을 받았으나, Fusarium속(屬)은 영향을 받았다. 자연(自然) 토양(土壤)은 4가지 균(菌)의 포자(胞子) 발아력(發芽力)에 대해 정균현상(靜菌現象)을 나타내었다.

  • PDF

토양조건에 따른 몇가지 식물병원균의 포자발아와 토양정균 현상 (Spore Germination of Some Plant Pathogenic Fungi under Different Soil Conditions in Relation to Soil Fungistasis)

  • 이민웅;최혜정;심재욱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권3호
    • /
    • pp.157-164
    • /
    • 1985
  • 인삼 주요 재배지인 금산, 괴산, 풍기 등 3곳의 토양조건과 토양에 따른 미생물분포, 근부병의 발병상태와 관련, 포자발아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 괴산 재작지 토양은 Ca와 Mg 함량이 높고, 유기물과 인의 함량은 낮고, K의 함량은 풍기 재작지에 가장 높고 기타에서는 큰 차이가 없다. 토성은 괴산 초작지가 시르트식양토이고, 기타는 시프트양토이었다. 액체배지에서 균의 포자발아율은 증유수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이 pfeffer액이며 토양침출액은 가장 낮은 발아율을 나타냈다. 세균은 금산 재작지에 많았고 사상균은 금산과 풍기의 재작지에 많았다. 방사균은 괴산과 풍기의 초작지에 많았으며, 기타 지역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토양내 세균과 사상균의 분포가 많은 토양조건에서 Fusarium solani, F. oxysporum, F. moniliforme 및 Alternaria panax의 4종 균에 미치는 정균현상은 일반적으로 미생물수의 다소에 따라 민감하고, 개량물질이 정균현상에 영향을 준 것은 마늘대, 분쇄콩, 인삼잎 등이고, 정균현상을 해소시킨 물질은 밀짚, 보리짚이며 토양조건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다.

  • PDF

Protoplast Preparation and Regeneration from Young Hyphae of the Citrinin Producing Fungus Monascus ruber

  • Norlha, Tenzin;Lee, In-Hyu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4호
    • /
    • pp.543-546
    • /
    • 2005
  • Optimized conditions for protoplast preparation and regeneration from young hyphae of Monascus ruber were established. Heat shock treatment of spores gave rapid and synchronized germination. Spores collected from cultures grown for 7-8 days at $30^{\circ}C$ were germinated until over 70% germ tubes reached to 3-5 spore length. Enzymatic digestion of young hyphae was optimal with 50 mg/mL Glucanex in 0.1 M sodium citrate buffer containing 0.8 M mannitol as an osmotic stabilizer. Regeneration rate was around 10% when 0.8 M sorbitol was used as an osmotic stabilizer in regeneration medium. These conditions will be applied in genetic study of M. ruber that produces citrinin at high level and thus is good model strain for molecular genetic dissection of citrinin biosynthe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