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odoptera exigua

검색결과 160건 처리시간 0.019초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H bner))의 동위효소 유전좌위 분석 (Analysis of the Isozyme Loci of the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H bner))

  • 김용균;김경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9-22
    • /
    • 1998
  •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H bner))의 유전지표를 결정하기 위해 17종 동위효소의 좌위수, 대립유전자빈도 및 각 효소의 4차구조가 분석되었다. 총 분석된 좌우수는 30개였으며, 이중 70.0%가 다형유전좌위를 보였다. 좌위당 유효대립유전자수는 1.72개였고 평균이형접합율(${H}_{e}$)은 32.8%로 추정되었다. 조사된 집단의 동계교배효과는 (F)는 21.0%이었다.

  • PDF

변온조건이 파밤나방 [Spodoptera exigua (H bner)] 발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luctuating Temperature on Development of the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H bner))

  • 김용균;권도형;김찬영
    • 한국토양동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19-123
    • /
    • 2000
  • 변온조건이 파밤나방 (Spodoptera exigua (H bner)) 유충과 영의 발육에 미치는 영향이 분석되어졌다. 정온조건에서 사육하였을 때 발육영점온도는 발육태와 유충영기에 따라 다르지만 평균 13$^{\circ}C$로 추정되었다. 이 발육영점온도를 기준으로 동등한 일일유효온도를 갖는 세 가지 다른 발육 온도조건을 설정하였다. 정온조건에 비해 변온조건은 발육속도를 뚜렸하게 변화시켰다. 동일한 최고온도(2$0^{\circ}C$)를 가졌던 두 가지 일일 변온조건중에서 저온기간이 상대적으로 높았던 조건(1$0^{\circ}C$)은 발육속도를 촉진시킨 반면 저온기간의 온도가 낮았던 조건(5$^{\circ}C$C)은 오히려 저해효과를 나타냈다.

  • PDF

파밤나방의 기주 및 피해조사 (The Host Plants of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Hubner), (Lepidoptera: Noctuidae) and Its Occurrence)

  • 고현관;박종대;최용문;최귀문;박인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11-116
    • /
    • 1991
  • 파밤나방의 기주로 채소 13종, 전작물 12종, 화훼 6종, 기타 11종 등 총 42종이 확인되었고 그중 25종이 새로운 기주로 조사되었다. 파밤나방에 의한 파의 지역별 피해주율은 완도 85%, 진도 86%, 해남 78%였고 서산 1.9%, 아산 1.5%, 청양 1.4%였다. 전남지역에서 파를 제외한 기타 작물에서 파밤나방에 의한 피해주율은 감자 95%, 옥수수 94%, 양배추 82%, 녹두 83%, 콩 56%, 배추 43%, 고구마 43%였다. 충남지역에서 파밤나방의 천적으로 녹강균과 핵다각체바이러스가 동정되었고 기생율은 9.2~3.7%였다. 전남 광주의 들깨 포장에서의 녹강균에 의한 기생율은 7월 5일 13.4%, 8월 7일 28.9%, 9월 10일 18.5%였다.

  • PDF

담배나방과 파밤나방의 유충사망률과 cytochrome P-450 monooxygenases의 활성에 미치는 니코틴과 다이아지논의 영향 (Comparative effects of nicotine and diazinon on larval mortality and activity of cytochrome P-450 monooxygenases in Helicoverpa assulta and Spodoptera exigua)

  • 이정호;부경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25-235
    • /
    • 1993
  • 담배나방(Heliocoverpa assulta)와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유충에 대한 유기인계 살충제인 다이아지논과 담배의 산물인 니코틴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시행하였다. 다이아지논이 처리된 담배나방유충의 사망률은 파밤나방유충의 경우보다 훨씬 높았으며 니코틴 처리구에서는 이와 반대양상을 나타내었다. 담배나방유충 중장의 cytochrome P-450 monooxygenases (MFO) 활성은 다이아지논 처리구에 비해서 니코틴 처리구에서 더욱 높게 나타났다. 담배나방유충을 기주식물인 담배잎으로 사육하였을 때 다른 화합물과는 달리 대부분의 니코틴은 변화 없이 배설되었다.

  • PDF

국내 서식하는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에서 분리된 곤충병원성곰팡이 (Nomuraea rileyi ANU101)의 동정 (Identification of an entomopathogenic fungus, Nomuraea rileyi ANU101, infecting the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in Korea)

  • 황지현;박복리;김근섭;이순구;김용균
    • 한국균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39-143
    • /
    • 2009
  • Several entomopathogenic fungi have been exploited to be developed into biological control agents in insect pest management. The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is a serious insect pest infesting various crops, but not effectively controlled by commercial chemical pesticides due to its high insecticide resistance. A fungal isolate was isolated from S. exigua larvae collected from cabbage field in Andong, Korea. The fungus could be cultured in potato dextrose agar. Larvae of S. exigua injected with the cultured conidia showed a potent entomopathogenicity. To identify the fungus isolate, its internal transcribed space (ITS) and surrounding partial 18S/28S regions were sequenced. The ITS sequence was highly matched (99%) to that of Nomuraea rileyi. Morphological characters of its hyphae and conidia were well fit to those of known N. rileyi. This study reports the first record of an entomopathogenic fungus, N. rileyi, in Korea.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 (Hubner))과 담배거세미나방(Spodoptera litura(Fabricius))에 대한 곤충병원선충(Steinernema carpocapsae Weiser)의 감염력 및 증식력 (Pathogenicity and Multiplication of Entomopathogenic Nematode, Steinernema carpocapsae Weiser, on Been Armyworm, Spodoptera exigua (Hubner) and Tobacco Cutworm, Spodoptera litura(Fabricius))

  • 한상찬;이성섭;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55-260
    • /
    • 1999
  • 곤충병원선충(Steinernema carpocapsae Weiser) 기주 증식을 위해 실내 대량사육이 용이한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 (Hubner))과 담배거세미나방(Sp. litura (Fabricius))유충에서 병원성과 증식선충수를 조사하였다. 반수치사 병원선충수는 두 기주간 또는 발육시기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나 기주내에 증식된 선충수는 기주의 크기에 비례하였다. 온도에 따른 선충의 증식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기주내 최대 감염태 선충수(담배거세미나방 5령충에서 약 500,000마리, 파밤나방 5령충에서 약 100,000 마리)를 보이는 소요기간이 $25^{\circ}C$에는 접종 후 6일이나 $20^{\circ}C$에서는 12일로 길어졌다.

  • PDF

고주파 처리에 따른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의 생리적 스트레스의 생화학적 분석 (Biochemical Analysis of Physiological Stress Induced by High Frequency Sound Treatment in the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 김용균;손예림;서삼열;박복리;박정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55-263
    • /
    • 2012
  • 고주파 처리는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의 생리변화를 유발시켜 섭식행동, 발육 및 면역반응의 변화를 초래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고주파의 영향을 파밤나방의 생화학적 변화를 통해 분석했다. 고주파(5,000 Hz, 95 dB) 처리는 중장 상피세포의 단백질 합성과 분비를 억제시켰다. 또한 이 고주파 처리는 중장의 인지질분해(phospholipase $A_2$) 소화효소의 활성을 현격하게 억제시켰다. 고주파 처리는 세 종류의 열충격단백질과 지질운송단백질(apolipophorin III)의 유전자 발현을 변동시켰고 이러한 변화는 중장 조직에서 뚜렷했다. 혈림프 혈장에 존재하는 지질 및 유리당의 함량이 고주파 처리에 의해 현격하게 증가했다. 이러한 결과는 고주파 처리가 파밤나방의 체내 생화학적 변화를 유발시켜 생리적 교란을 유도하는 스트레스로 작용한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다형 동위효소를 이용한 국내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 (Hubner)) 집단의 유전변이 (Genetic Variation of the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Hubner), Populations in Korea Using Polymorphic Allozymes)

  • 강성영;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235-243
    • /
    • 2001
  •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Hubner))의 유전변이가 다형 동위효소를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집단들은 다른 기주, 지리적 위치, 그리고 시기에 따라 세분화되었다. 평균 이형접합자빈도($0.443\pm$0.013)는 파밤나방 전체 집단의 높은 유전변이를 나타냈다. 각 소집단들은 모두 Hardy-Weomberg 균형에서 벗어난 뚜렷한 동계교배 양식을 보였다. 이러한 높은 동계교배 효과는 지역고립에 의한 집단간 분화보다는 대부분 소집단 내 표본 추출 효과에 기인된 비임의교배에 의해 야기되었다. Wright($F_{ST}$ ) 와 Nei의 유전거리(D)는 소집단들간 유전적 분화가 낮음을 나타내지만, 일부 남쪽지역의 소집단들(해남과 사천)은 상대적으로 북쪽의 소집단들(안동과 군위)과 차이를 보였다. 유전적 거리를 기초하여 추정된 세대당 이주 개체수는 서로 다른 기주 집단간 5.9마리, 지역 집단간 10.6마리, 시기 집단간 31.8마리였다. 이러한 유전분석 결과들을 보아 국내 파밤나방은 이들의 탁월한 집단간 이주 능력 때문에 집단간 유전분화가 적은 것으로 나타냈다.

  • PDF

Antiviral Treatment Reveals a Cooperative Pathogenicity of Baculovirus and Iflavirus in Spodoptera exigua, a Lepidopteran Insect

  • Roy, Miltan Chandra;Ahmed, Shabbir;Mollah, Md. Mahi Imam;Kim, Yonggy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1권4호
    • /
    • pp.529-539
    • /
    • 2021
  • The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is a serious insect pest infesting various vegetable crops. Two infectious insect viruses, baculovirus and iflavirus, are known to induce epizootics in S. exigua populations. Indeed, some laboratory colonies have appeared to be covertly infected by these viruses. Diagnostic PCR tests detected two different viruses: Spodoptera exigua multiple nucleopolyhedrosis virus (SeMNPV) and iflaviruses (SeIfV1 and SeIfV2). Viral extract from dead larvae of S. exigua could infect Sf9 cells and produce occlusion bodies (OBs). Feeding OBs to asymptomatic larvae of S. exigua caused significant viral disease. Interestingly, both SeIfV1 and SeIfV2 increased their titers at late larval stages. Sterilization of laid eggs with 1% sodium hypochloride significantly reduced SeMNPV titers and increased larval survival rate. Double-stranded RNA (dsRNA) specific to SeIfV1 or SeIfV2 significantly reduced viral titers and increased larval survival rate. To continuously feed dsRNA, a recombinant Escherichia coli HT115 expressing SeIfV1-dsRNA was constructed with an L4440 expression vector. Adding this recombinant E. coli to the artificial diet significantly reduced the SeIfV1 titer and increased larval surviva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aboratory colony collapse of S. exigua is induced by multiple viral infections. In addition, either suppression of SeMNPV or SeIfV infection significantly increased larval survival, suggesting a cooperative pathogenicity between baculovirus and iflavirus against S. exigu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