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ermatogonia

검색결과 149건 처리시간 0.027초

한국산 산민달팽이 (Incilaria fruhstorferi) 정자형성에 관한 미세구조적인 연구 (Ultrastructural Study on the Spermatogenesis of Korean Slug Incilaria fruhstorferi)

  • 장남섭
    • Applied Microscopy
    • /
    • 제26권1호
    • /
    • pp.33-45
    • /
    • 1996
  • The spermatogenesis of Korean slug, Incilaria fruhstorferi are observed by electron microscope.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spermatogenesis of Korean slug, Incilaria fruhstorferi, is processed through the five stages; Spermatogonia, primary spermatocyte, secondary spematocyte, spermatid and spermatozoon. The spermiogenesis, the differentiation of the spermatid, is also processed through the five stages. In stage 1, the numerous and round mitochomdria in the cytoplasm are moved around the nucleus of spermatid. In stage 2, the nucleus of spermatid transformed into the oval shape, and the oval nucleus is surrounded by many rough endoplasmic reticulum. In stage 3, the oval nucleus of spermatid is changed to be curved as an arrow, and then two centrioles appeared behind nucleus. The centriole is sucked into the cytoplasm. and almost all the chromatins are changed into heterochromatins. In stage 4, the nucleus of spermatid are transformed into the oval shape, when the lamella plate chromatin of spermatid form in the nucleoplasm. In stage 5, the oval nucleus is then transformed into the stream-line shape when the lamella plate chromatin of spematid gradually concentrated in the nucleus, and long axoneme ($65{\mu}m$ in length) form from the distal centriole. Two long mitochondria in the middle piece and the main piece of spermatozoon array spirally along a long axoneme, and the mitochondria matrix is gradually filled with electron-dense glycogen particles ($0.1{\mu}m$ in size). The axoneme of spermatozoon consists of typical 9+2 microtubular pattern.

  • PDF

Differential Expression of Cyclic AMP-Response Element Binding Protein Zhangfei (CREBZF) in the Mouse Testis during Postnatal Development

  • Jang, Hoon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2권1호
    • /
    • pp.65-72
    • /
    • 2018
  • Cyclic AMP-response element binding protein zhangfei (CREBZF), a member of ATF/CREB (activating transcription factor/ cAMP response element binding protein) family, regulates numerous cellular functions and development of cells by interacting transcription factors. This study discovered the expression pattern of CREBZF in seminiferous tubule of testes during the postnatal development of mice. In testis, CREBZF mRNA expression was the highest among other organs. Immunofluorescence analyses showed that the CREBZF was specifically expressed on spermatocyte but not in spermatogonia and Sertoli cells in seminiferous epithelium of mouse testis. Semi-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nalysis showed that CREBZF transcript level was significantly elevated during postnatal development of mouse testis. Confocal imaging analysis indicated that the protein expression of CREBZF in seminiferous tubule remained low until postnatal day (PD) 14, and was dramatically increased in PD 21. Interestingly, only one type of the spermatocyte expressed CREBZF specifically among SCP3-positive spermatocyte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CREBZF may be novel putative marker of the spermatocyte and regulate meiosis during postnatal development of mice.

Health concerns regarding the effect of the COVID-19 pandemic on male fertility

  • Mosleh, Hamidreza;Moradi, Fatemeh;Mehdizadeh, Mehdi;Ajdary, Marziyeh;Moeinzadeh, Alaa;Shabani, Ronak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48권3호
    • /
    • pp.189-193
    • /
    • 2021
  •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 is a novel coronavirus found in China in 2019. The disease caused by SARS-CoV-2,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has been found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cells that secrete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2 (ACE2). ACE2 is involved in the renin-angiotensin system and is widely secreted in several tissues, including the testis, which has raised concerns because organs with high expression of the ACE2 receptor are susceptible to infection. Analyses have shown that in testicular cells, such as spermatogonia, seminiferous duct cells, Sertoli cells, and Leydig cells, there is a high expression level of ACE2. Therefore, SARS-CoV-2 may damage male reproductive tissues and cause infertility. Since male infertility is an important problem, scientists are evaluating whether COVID-19 may influence male infertility through the ACE2 receptor.

Differential Expressions of Aquaporin Subtypes in the Adult Mouse Testis

  • Mohamed, Elsayed A.;Im, Ji Woo;Kim, Dong-Hwan;Bae, Hae-Rahn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6권2호
    • /
    • pp.59-69
    • /
    • 2022
  • Many efforts have been made to study the expression of aquaporins (AQP) in the mammalian reproductive system, but there are not enough data available regarding their localized expression to fully understand their specific roles in male reproduction.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xpression and localization patterns of different AQP subtypes in the adult mouse testes and testicular spermatozoa using an immunofluorescence assay. All the studied AQPs were expressed in the testes and revealed subtype-specific patterns in the intensity and localization depending on the cell types of the testes. AQP7 was the most abundant and intensive AQP subtype in the seminiferous tubules, expressing in Leydig cells and Sertoli cells as well as all stages of germ cells, especially the spermatids and testicular spermatozoa. The expression pattern of AQP3 was similar to that of AQP7, but with higher expression in the basal and lower adluminal compartments rather than the upper adluminalcompartment. AQP8 expression was limited to the spermatogonia and Leydig cells whereas AQP9 expression was exclusive to tails of the testicular spermatozoa and elongated spermatids. Taken together, the abundance and distribution of the AQPs across the different cell types in the testes indicating to their relavance in spermatogenesis, as well as in sperm maturation, transition, and function.

한국 재래 닭 부화 후 고환 발달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ost-hatching Development of the Testis in Korean Native Chickens)

  • 장병귀;태현진;최철환;박영재;박병용;박상열;강형섭;김남수;이영훈;양홍현;안동춘;김인식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71-179
    • /
    • 2006
  • 이 연구는 한국 재래 닭에서 부화 후 고환 발달 과정을 명확하게 이해가기 위하여 부화 후 1, 2, 4, 6, 8, 10, 12, 14, 16, 18, 21, 28, 32, 44, 52 및 64주령(n=13마리/일령)의 한국 재래닭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한국 재래 닭의 고환은 2.5 % glutaraldehyde를 이용하여 전신 관류 고정하고 조직 처리 과정을 거쳐 Epon-araldite에 포매하였다. 초박절편기를 사용하여 $1{\mu}m$로 절편한 다음 methylene blue로 염색하여 일반적인 조직의 변화상과 형태 계측을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서 정자 생성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부화 후 1주령의 고환의 평균 무게는 0.015 g이었고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21주령에는 3.93 g이고 21주령부터 64주령까지는 변화가 없었다. 곱슬정세관의 용적 치밀도는 1주령에 32.6%이었으나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64주령에서는 92.89이었다. 1주령의 한국 재래 닭 고환 간질 조직은 고환 실질의 67.4%를 나타내었고 이러한 비율은 성장하는 동안에 점차적으로 감소하여 64주령에 7.11%를 나타내었다. 고환내 총 정자 생성은 18주령부터 28주령까지는 유의성있게 증가하였고 고환 1g당 정자 생성은 $18\sim28$주령까지는 유의성있게 증가하였고 $28\sim52$주령까지는 변화가 없었으나 64주령에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곱슬정세관의 평균 직경은 $1\sim21$주령까지 주령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였고 곱슬정세관의 길이는 1주령에 0.34 m이었고 성장하면서 유의성 있게 증가하여 64주령에서는 72.2 m이었다. 곱슬정세관내 생식세포의 발달 단계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1) 정조세포($1\sim8$주령), 2) 정조세포, 정모세포($10\sim12$주령), 3) 정조세포, 정모세포, 원형의 정자세포($14\sim16$주령), 4) 정조세포, 정모세포, 정자세포 및 정자($18\sim64$주령).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한국 재래 닭에서 부화 후부터 성숙시기까지 고환 발달의 양상은 신생시기-성 성숙 이전기($1\sim12$주령), 성 성숙시기($14\sim18$주령) 및 성숙시기$(21\sim64)$로 나뉜다.

동사리, Odontobutis platycephala (Iwata et jeon) 수컷의 생식주기에 따른 정소 발달과 혈중 생식소 스테로이드의 변화 (Testicular Development and Serum Levels of Gonadal Steroids Hormone during the Annual Reproductive Cycle of the Male Koran Dark Sleeper, Odontobutis platycephala (Iwata et Jeon))

  • 이원교;양석우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475-485
    • /
    • 1998
  • 동사리, Odontobutis platycephala 수컷의 명확한 생식주기를 밝히고자 1995년 12월부터 1997년 11월까지 생식소 중량지수(gonadosomatic index, GSI), 정소의 발달양상 및 혈중 성스테로이드 호르몬 변화양상을 조사하였다. 정소의 모양은 7월부터 10월까지는 콩깍지 모양이었는데, 11월부터는 후반부가 비대해져 올챙이와 유사한 형태였다. GSI는 7월부터 9월까지 0.14~0.18였으며, 10월에 $0.43{\pm}0.04$로 증가하여 2월까지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3월에는 $0.52{\pm}0.09$로 증가하였으며, 5월까지는 비슷한 수준에 머물렀다가, 6월에는 $0.28{\pm}0.05$로 낮아졌다. 생식주기에 따른 정소의 생식세포 발달은 전반부, 경계부, 후반부에서 다른 양상을 보였다. 7월의 대부분 개체의 정소는 세정관이 없었으며, 정자형성과정이 아직 시작되지 않은 상태로 정원세포들만을 볼 수 있었다. 전반부에서 정자형성단계의 세정관들은 8월에 출현하여 9월부터 12월까지는 80% 이상이었으며 1월부터 3월까지는 점차적으로, 4월에는 급격히 감소하여 6월에는 나타나지 않았다. 정자완성단계 세정관은 12월부터 출현하여 3월까지 점차적으로, 4월에 80%로 급격히 증가한 후 6월에 90%로 년 중 최고 수준에 이르렀다. 그러나 정자방출후 세정관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정원세포들은 7월에 100%, 8월에 65% 였으나 나머지 기간에는 20%이하로 년 중 존재하였다. 경계부에서도 8월부터 정자형성단계 세정관이 출현한 후 매월 증가하여 11월에 82%에 이르렀으며 12월부터 감소하여 3월부터는 나타나지 않았다. 정자완성단계 세정관은 11월에 출현하여 2월까지는 18% 이하였으나, 3월부터 6월까지 29%~57%의 수준을 보였다. 정자방출후 세정관은 3월부터 6월까지 12%~25%로 나타났다. 정원세포는 8월에 85%, 9월에 67%, 10월에 35%, 11월에 10%로 감소하였으며, 1월부터는 점차적으로 증가하여 4월에 50%를 보인후 6월까지 다시 점차적으로 감소하였다. 후반부에서는 일부의 개체에서 수개의 정원세포를 지닌 세정관이 7월부터 출현하였다. 정자형성단계에 세정관은 8월에 80%, 9월에 85%였으나 10월부터는 급격히 감소하여 11월에서 2월까지는 10%이하였으며, 3월부터는 나타나지 않았다. 정자완성단계 세정관은 8월에 출현하여 10월부터 급격히 증가해 11월에는 75%에 이르렀고 12월에는 15%로 급격히 감소하여 3월까지 유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4월부터는 나타나지 않았다. 정자방출후 세정관은 11월에 출현하여 12월에 82%로 급격히 증가한 후 6월까지 85%~95%로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정원세포들은 8월에 15%로 감소하였으며 10월부터 3월까지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4월부터 다시 출현하여 6월까지 10%이하에 머물렀다. 혈중 testosterone (T)의 농도는 8월부터 완만하게 증가하여 11월에 $0.61{\pm}0.09 ng/m\ell$ 였으며, 12월부터는 $3.99{\pm}1.22 ng/m\ell$로 급격히 상승하여 3월까지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그러나 4월에 $0.52{\pm}0.14ng/m\ell$로 감소하기 시작하였으며, 5월에 $0.17{\pm}0.13 ng/m\ell$로 낮아진 후 7월까지 유의한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P<0.05). $17\alpha$,$20\beta$-dihyd-roxy-4-pregnen-3-one ($17\alpha$,$20\beta$-P)은 12월에 $0.19{\pm}0.01 ng/m\ell$로 약간 감소하였으며, 4월까지는 유의한 변화는 보이지 않고, 5월에 $0.38{\pm}0.03 ng/m\ell$로 급격히 증가하여 peak에 달하였다. 6월에는 $0.19{\pm}0.04 ng/m\ell$로 낮아졌으며, 11월까지 유의한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동사리는 정소의 부위에 따라 각각 다른 발달양상을 보였다. 즉 전반부에는 7월이 정원세포증식기, 8월~11월은 성숙초기, 12월~3월은 성숙중기, 4월~5월은 성숙후기, 6월은 기능적 성숙기로 구분되었다. 경계부에서는 7월이 정원세포 증식기, 8월~10월은 성숙초기, 11월~2월은 성숙중기였으며, 3월~6월은 성숙후기, 기능적 성숙기, 후번식기의 특징이 동시에 출현하였다. 후반부에서는 7월이 정원세포증식기, 8월~9월은 성숙중기, 10월은 성숙후기, 11월은 기능적 성숙기, 12월~6월은 후번식기로 구분되었다. 이러한 생식주기의 변화는 성스테로이드 호르몬의 변화양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Effects of Panax Ginseng on the Sperm Motility and Spermatogenesis in the SD Rat

  • Choi Ga-Ya;Cho Jung-Hoon;Jang Jun-Bock;Lee Kyung-Sub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90-94
    • /
    • 2004
  • Objective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nax Ginseng (인삼) on the sperm motility and spermatogenesis in the male rat. Methods : We used 8-week-old Sprague-Dawley rats, and administered the extract powder of Panax Ginseng to 5 rats (treated group) and normal saline (control group) once a day for 28 days. We isolated their testes surgically, then observed the change of the body weights before and after administration of Panax Ginseng extracts and normal saline. We observed the weight of the testes, epididymis, vascular gland, and prostate. Also, we examined the total, normal motile sperm concentration, and the concentration of testicular catalase and peroxidase. Results : We found that the concentration of normal, motile sperm in the testes of the Panax Ginseng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angiogenesis of the seminiferous tubule was increased and the increasement of the number of spermatogonia, primary and secondary spermatocyte was observed in the Panax Ginseng group through a microscope. The body weight, the weight of the testes, epididymis, prostate and the concentration of testicular catalase and peroxidase were higher in the Panax Ginseng group bu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 This study shows that Panax Ginseng may have an effect on the morphology and motility of sperm, the important factor in male fertility, and can promote the concentration of antioxidants, catalase and peroxidase, which is the important factor in spermatogenesis.

  • PDF

해산 송사리 Oryzias dancena의 초기 생식소 형성 및 성분화 (Early Gonadogenesis and Sex Differentiation of a Marine Medaka, Oryzias dancena (Beloniformes; Teleostei))

  • 송하연;남윤권;방인철;김동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41-148
    • /
    • 2009
  • Oryzias dancena를 해양생태계 위해성 평가를 위한 해양 생물모델로 연구하기 위한 기초적인 연구로 초기 성분화와 생식소 발달 과정을 조직학적으로 조사하였다. 원시생식세포가 처음 관찰된 시기는 수정 후 5일째이고, 수정 후 9일째에 장과 앞신장관 사이의 생식소 형성 부근으로 이동한 것이 관찰되었다. 부화 후 12일째의 생식소는 암 수로 분화가 이루어졌다. 부화 후 28일째 난소에서는 주변인기의 난모세포가 관찰되었으며, 28일째의 정소에서는 정소 소관의 수와 정원세포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산란은 부화 후 9주째에 이루어졌으며, 이 시기의 난소에서는 난황과립이 난 전체에 형성되는 성숙난과 배란 직후 성숙난이 빠져나간 흔적이 관찰되었다. 수컷 생식소에서 역시 많은 수의 정세포가 관찰되었으며 사정 직후 정자가 빠져나간 부분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 본 종은 초기 성분화 과정에 자성 단계를 거치지 않고 정소와 난소로 분화하는 분화형 자웅이체에 속한다.

대복, Gomphina veneriformis의 정자형성과정 및 정자 미세구조 (Spermatogenesis and Sperm Ultrastructure of the Equilateral Venus, Gomphina veneriformis (Bivalvia: Veneridae))

  • 박채규;박정준;이정용;이정식
    • Applied Microscopy
    • /
    • 제32권4호
    • /
    • pp.303-310
    • /
    • 2002
  • 우리나라 동해안에 가장 많이 서식하는 조개류인 대복의 정소구조와 정자형성과정을 광학현미경과 투과전자현미경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복의 정소는 소성결합조직으로 구성된 다수의 정자형성 소낭을 가진다. 동일한 정자형성 소낭 내에서는 여러 단계의 생식세포들이 관찰되었다. 정원세포들은 정자형성 소낭벽에 부착되어 있으며, 커다란 핵과 뚜렷한 인을 가진다. 정모세포에서는 연접사복합체와 골기체의 발달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세포의 핵은 전자밀도가 높은 과립상의 염색질로 구성되며, 정자변태과정 동안에 핵의 응축 및 첨체와 편모의 형성을 관찰할 수 있었다. 정소 내에서 완숙 정자들은 다발을 형성하고 있으며, 두부, 중편, 미부로 구성되어 있었다. 두부의 길이는 약 $8.5{\mu}m$로, 첨체부와 핵 부위로 구분된다. 첨체는 길이 약 $1.1{\mu}m$의 총알형태였다. 두부와 첨체 사이에서는 미세섬유로 구성된 첨체기둥이 확인되었다. 중편에는 4개의 미토콘드리아를 가지며, 꼬리의 횡단면은 "9+2"의 구조를 나타냈다.

산양삼이 Cyclophosphamide의 독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Water Extract of Cultivated Wild Ginseng on the Toxicities Induced by Cyclophosphamide in Mice)

  • 이성우;김기태;고흥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849-856
    • /
    • 2011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protective effect of Cultivated Wild Ginseng(WG) on the toxicities induced by cyclophosphamide(CP) in mice. Twenty-four male BALB/c mice were divided into non-treated normal group(n=6), CP treated control group(n=6), CP+WG treated CP+WG group(n=6), WG treated WG group(n=6). CP(100 mg/kg of b.w., i.p) was injected at 0, 7 th, 14 th, 21 th, and 28 th day of the experiment respectively. WG(4.4 g/kg, i.p.) was administrated for 35days. Body and organ(heart, liver, kidney, testis) weight were measured.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on the organ(heart, liver, kidney, testis), morphometric analysis, and BrdU immunohistochemistry on the testis were performed. Body weight was decreased following CP administration. In contrast, such a decrease was significantly attenuated by WG administration. CPK and AST of CP+WG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CP group. Histopathologically, cross sectional area of testis and diameter of seminiferous tubul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CP+WG group compared with CP group. BrdU labelled cells in the seminiferous tubules were remarkably decreased in CP group. Whereas the number of seminiferous tubules labelled with BrdU in spermatogonia was increased by CP+WG administration. The obtained results suggest that WG has protective effect on CP-induced toxicity. This effect might be mediated through the supplementation of vital ener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