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ectral classification

검색결과 467건 처리시간 0.026초

A Study on the Unsupervised Classification of Hyperion and ETM+ Data Using Spectral Angle and Unit Vector

  • Kim, Dae-Sung;Kim, Yong-Il;Yu, Ki-Yun
    • Korean Journal of Geomatics
    • /
    • 제5권1호
    • /
    • pp.27-34
    • /
    • 2005
  • Unsupervised classification is an important area of research in image processing because supervised classification has the disadvantages such as long task-training time and high cost and low objectivity in training information. This paper focuses on unsupervised classification, which can extract ground object information with the minimum 'Spectral Angle Distance' operation on be behalf of 'Spectral Euclidian Distance' in the clustering process. Unlike previous studies, our algorithm uses the unit vector, not the spectral distance, to compute the cluster mean, and the Single-Pass algorithm automatically determines the seed points. Atmospheric correction for more accurate results was adapted on the Hyperion data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We applied the algorithm to the Hyperion and ETM+ data and compared the results with K-Means and the former USAM algorithm. From the result, USAM classified the water and dark forest area well and gave more accurate results than K-Means, so we believe that the 'Spectral Angle' can be one of the most accurate classifiers of not only multispectral images but hyperspectral images. And also the unit vector can be an efficient technique for characterizing the Remote Sensing data.

  • PDF

분류정확도 향상을 위한 공간적 분류방법의 적용 (An Application of Spatial Classification Methods for the Improvement of Classification Accuracy)

  • 정재준;이병길;김형태;김용일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37-46
    • /
    • 2001
  • 위성영상을 이용한 토지피복 분류를 시행할 때 대부분 화소의 밝기값(DN: Digital Number)에 의존하는 분광적 패턴인식기법을 사용해 왔다. 그러나 화소의 DN이 해당화소 뿐만 아니라 인접화소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인접화소의 영향을 고려한 토지피복 분류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위성영상의 공간해상도가 기술의 발달로 인해 현격히 향상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공간적 분류방법은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supervised 분류방식에 의한 분광적 분류방법과 분광적 분류방법에 화소의 공간적 분포패턴까지를 적용한 공간적 분류방법의 정확도를 평가하여 공간적 분류방법의 적용 타당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6가지 공간적 분류방법을 적용한 실험을 통해 공간적 분류방법을 이용한 경우가 분광적 분류방법만을 이용한 경우보다 2-6% 정도 분류정확도가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밴드조합을 달리 설정하여 분류를 실시한 실험을 통해 공간적 분류방법을 적용하였을 때 기존 분광적 분류방법만을 이용한 경우보다 향상된 정확도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통계적으로 입증할 수 있었다.

  • PDF

고차원 스펙트라 데이터 분석을 위한 Adjusted Direct Orthogonal Signal Correction 기법 (Adjusted Direct Orthogonal Signal Correction For High-Dimensional Spectral Data)

  • 김신영;김성범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00-407
    • /
    • 2011
  • Modeling and analysis of high-dimensional spectral data provide an opportunity to uncover inherent patterns in various information-rich data. Orthogonal signal correction (OSC) a preprocessing technique has been widely used to remove unwanted variations of spectral data that do not contribute to prediction or classification. In the present study we propose a novel OSC algorithm called adjusted direct OSC to improve visualization and the ability of classification. Experimental results with real mass spectral data from condom lubricants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approach.

수정된 IEA 기반의 분광혼합분석 기법을 이용한 임상분류 (Spectral Mixture Analysis Using Modified IEA Algorithm for Forest Classification)

  • 송아람;한유경;김용현;김용일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19-226
    • /
    • 2014
  • 분광혼합분석 결과로 얻어지는 각 물체의 점유비율을 활용하면 보다 세밀한 분류가 가능하다. 이는 복잡한 도심지역의 피복분류 뿐만 아니라 혼효림이 많은 한반도 임상분류에 적합한 분류기법이 될 수 있다. 효과적인 임상분류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적절한 endmember의 추출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기존에 주로 사용되었던 기하학적 방법(geometric endmember selection)은 분광특성이 유사한 산림지역에 적합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영상에서 직접 순수한 화소를 추출하는 기법 중의 하나인 IEA(Iterative Error Analysis)와 침엽수와 활엽수의 분광특성을 이용하여 실험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각각의 endmember를 자동으로 추출하였다. CASI(Compact Airborne Spectrographic Imager) 영상의 두 지역에 대하여 분광혼합분석을 이용한 분류를 수행한 결과, 분류 정확도는 각각 86%와 90%로, 제안한 기법이 실험대상지역을 대표하는 침엽수와 활엽수의 endmember를 적절하게 추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광혼합분석 기법을 이용한 보다 효과적인 분류를 위해서 분류항목 외 기타물질을 endmember로 고려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Monitoring of Graveyards in Mountainous Areas with Simulated KOMPSAT-2 imagery

  • Chang, Eun-Mi;Kim, Min-Ho;Lee, Byung-Whan;Heo, Mi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1409-1411
    • /
    • 2003
  • The application of simulated KOMPSAT-2 imagery to monitor graveyards is to be developed. Positions calculated from image were compared with those obtained from Geographic Positioning System. With 24 checkpoints, the position of graveyards showed within 5-meter range. Unsupervised classification, supervised classification, and objected-orientation classification algorithms were used to extract the graveyard. Unsupervised classification with masking processes based on National topographic data gives the best result. The graveyards were categorized with four types in field studies while the two types of graveyards were shown in descriptive statistics. Cluster Analysis and discriminant analysis showed the consistency with two types of tombs. It was hard to get a specific spectral signature of graveyards, as they are covered with grasses at different levels and shaded from the surrounding trees. The slopes and aspects of location of graveyards did not make any difference in the spectral signatures. This study gives the basic spectral characteristics for further development of objected-oriented classification algorithms and plausibility of KOMPSAT-2 images for management of mountainous areas in the aspect of position accuracy and classification accuracy.

  • PDF

잡음과 스펙트럼 이동에 강인한 CNN 기반 라만 분광 알고리즘 (CNN based Raman Spectroscopy Algorithm That is Robust to Noise and Spectral Shift)

  • 박재현;유형근;이창식;장동의;박동조;남현우;박병황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64-271
    • /
    • 2021
  • Raman spectroscopy is an equipment that is widely used for classifying chemicals in chemical defense operations. However, the classification performance of Raman spectrum may deteriorate due to dark current noise, background noise, spectral shift by vibration of equipment, spectral shift by pressure change, etc. In this paper, we compare the classification accuracy of various machine learning algorithms including k-nearest neighbor, decision tree, linear discriminant analysis, linear support vector machine, nonlinear support vector machine, an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under noisy and spectral shifted condition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maintains a high classification accuracy of over 95 % despite noise and spectral shift. This implies that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an be an ideal classification algorithm in a real combat situation where there is a lot of noise and spectral shift.

영어와 한국어 자연발화 코퍼스에서의 무성 폐쇄음 개방 파열 스펙트럼 연구 (A study on the release burst spectra of the voiceless plosives from the English and Korean spontaneous speech corpus)

  • 황선미;윤규철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9권4호
    • /
    • pp.27-34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examine the English and Korean voiceless plosives from the Buckeye[15] and Seoul[16] corpus in terms of their static spectral characteristics. The plosives were automatically extracted by a Praat script. In order to estimate the percent correctness in the classification of the plosives, discriminant analyses were performed whose trainings were based on four spectral moments, i.e. the center of gravity, variance, skewness and kurtosis as suggested in [6]. Another set of discriminant analyses were performed based on the spectral tilts. In the last set of analyeses, the spectral moments and tilts were both used in the training. Results showed that the correct classification rate did not exceed around 65% in the best case, which suggested that phonetic cues other than the release burst would be necessary including the dynamic spectral aspects and vowel-onset cues.

Image Fusion for Improving Classification

  • Lee, Dong-Cheon;Kim, Jeong-Woo;Kwon, Jay-Hyoun;Kim, Chung;Park, Ki-Surk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1464-1466
    • /
    • 2003
  • classification of the satellite images provides information about land cover and/or land use. Quality of the classification result depends mainly on the spatial and spectral resolutions of the images. In this study, image fusion in terms of resolution merging, and band integration with multi-source of the satellite images; Landsat ETM+ and Ikonos were carried out to improve classification. Resolution merging and band integration could generate imagery of high resolution with more spectral bands. Precise image co-registration is required to remove geometric distortion between different sources of images. Combination of unsupervised and supervised classification of the fused imagery was implemented to improve classification. 3D display of the results was possible by combining DEM with the classification result so that interpretability could be improved.

  • PDF

초분광 영상을 활용한 국내외 토지피복 분광 라이브러리 정확도 평가 (Accuracy evaluation of domestic and foreign land cover spectral libraries using hyperspectral image)

  • 박근렬;이근상;조기성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51권2호
    • /
    • pp.169-184
    • /
    • 2021
  • 최근 초분광 영상을 기반으로 토지피복을 분류하는 연구에서 토지피복 분광 라이브러리가 많이 활용되고 있다. 해외에서는 다양한 기관에서 토지피복 분광 라이브러리를 구축 및 제공하고 있지만, 국내의 경우 토지피복 분광 라이브러리의 구축 및 제공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국내 토지피복의 분류 연구에서 국내외 분광 라이브러리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광 라이브러리의 비교분석 및 분광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토지피복분류에는 밴드매칭이 요구되며, 본 연구에서는 이를 자동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자동화 로직을 제시하였다. 또한 직접 구축한 국내 토지피복 분광 라이브러리와 기구축 해외 토지피복 분광 라이브러리를 비교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직접 구축한 토지피복 분광 라이브러리의 상관계수가 0.97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정확도 평가를 위해 국내외 토지피복 분광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연구대상지역의 항공 초분광 영상을 SAM기법으로 감독분류 하였으며, 그 결과 직접 구축한 분광 라이브러리의 전체정확도가 91.7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정확도 평가 결과 해외 토지피복 분광 라이브러리의 분류항목 중 Soils, Artificial Materials, Coatings는 국내에서도 충분히 피복을 분류하는데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초분광영상의 토지피복분류 정확도 향상을 위한 Decision Tree 기법 연구 (The study on Decision Tree method to improve land cover classification accuracy of Hyperspectral Image)

  • 서진재;조기성;송장기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05-213
    • /
    • 2018
  • 초분광영상(Hyperspectral Image)은 다중분광영상에 비해 각 픽셀이 가지는 정보량이 많아 다양한 토지피복을 분류하는데 있어 가장 적합한 영상으로 평가 받고 있다. 하지만 최근의 초분광영상의 연구는 대분류에 해당하는 연구에 그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토지피복분류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기존의 분석기법인 ED, SAM, SSS 기법을 토대로 Decision Tree를 구성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대분류의 전체정확도는 1.68%, 세분류 전체정확도는 5.56%가 향상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