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ecies checklist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22초

Biodiversity in Egypt contributing to world biodiversity

  • Kamal Hussein Shaltout;Mohamed Mahmoud El-Khalafy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8권1호
    • /
    • pp.1-7
    • /
    • 2024
  • Background: Available publications (e.g., theses, scientific reports, books and papers) about the elements of the Egyptian biodiversity during 2000-2018 were collected in a progress scientific report. The publications reported in this bibliography were collected from various sources including: site of the Egyptian Universities Libraries Consortium Portal, accounts of the biodiversity specialists on Research gate, direct contact with the national experts of the Egyptian biodiversity, libraries of some universities and research centers and others. The elements of the Egyptian biodiversity are classified into different categories. Results: Up till now, a total of 20,521 species were recorded in Egypt, of which insects have the highest contribution (48.7%), followed by fungi (12.1%) and vascular plants (11.5%). In a descending order, each of amphibians, viruses, reptiles, mammals, cyanobacteria, bryophytes, and bacteria have a minor contribution (< 1%). Based on the available data, Egyptian biodiversity contributes 1.3% of the world biota, although its area contributes only 0.7% of the world area. At a global scale, the most represented groups are algae (12.22% of the world figure), followed by cyanobacteria (6.08%) and birds (4.70%). On the other hand, the less represented are amphibians (0.14% of the world figure), flora (0.84%) and insects (1.00%). Conclusions: Some suggestions are recommended for preparing a phytoplankton checklist based on the rich available publications; further studies should be carried out on the lichen biodiversity in order to prepare acceptable verified checklist for this important group. In addition, paleo-biologists should work together to publish a book dealing with the Egyptian paleo-biology, such studies will lead to high ranking the Egyptian biodiversity.

한국산 Syntretus 속 Exosyntretus Belokobylskij아속 (벌목: 고치벌과: 잎벌레고치벌아과)에 대한 보고 (The Subgenus Exosyntretus Belokobylskij of the Genus Syntretus (Hymenoptera: Braconidae: Euphorinae) from Korea)

  • 안태호;김효중;김기경;서홍렬;구덕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35-37
    • /
    • 2015
  • 본 연구를 통해 한국산 Syntretus속의 Exosyntretus아속(벌목, 고치벌과)에 속하는 2종을 보고한다. 그 중 Syntretus (Exosyntretus) nevelskoii Belokobylskij은 국내 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전세계 기록종 목록, 식별형질과 분포 등의 정보를 포함하였다.

Distribation of Lichen Flora on South Korea

  • Hur, Jae-Seoun;Hiroshi Harada;Oh, Soon-Ok;Lim, Kwang-Mi;Kang, Eui-Sung;Lee, Seung-Mi;Kahng, Hyung-Yeel;Kim, Hyun-Woo;Jung, Jae-Sung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2권2호
    • /
    • pp.163-167
    • /
    • 2004
  • After an overview on the temporary situation of the lichenology in South Korea, localities of 95 mac-rolichen taxa are reported for South Korea. In this revised lichen flora of South Korea, 16 species are apparently new to the territory. Voucher specimens have been deposited in the Korean Lichen Research Institute (KoLRI) at Sunchon National University in Korea, and duplicates have also been donated to the National History Museum and Institute, in Chiba, (CBM) Japan.

한반도 홀로세 기후최적기 잔존집단의 식물지리학적 연구 (Phytogeographic study on the Holocene hypsithermal relict plant populations in the Korean peninsula)

  • 김진석;정재민;김선유;김중현;이병윤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08-221
    • /
    • 2014
  • 홀로세 기후최적기는 후빙기 동안에 가장 온난했던 시기로서 현재의 기온보다 $1-4^{\circ}C$ 높았다. 남방계식물들은 홀로세 기후최적기에 북쪽 또는 해발고도가 높은 지역으로 분포가 확장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남해안아구 또는 남부아구가 주 분포역이고 주 분포의 북방한계선에서 100 km이상 격리된 잔존집단이 존재하는 근거리 산포형의 남방계식물을 '기후최적기 잔존종'으로 규정하였다. 식물상 자료, 표본정보, 생태학적 연구 자료와 현장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기후최적기 잔존종을 선정하고 이들의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화분층위학과 고생태학적 연구 자료를 근거하여 본 가설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히어리, 소사나무, 노각나무와 같은 홀로세 기후최적기 잔존종은 기후최적기 동안에 북쪽으로 이주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오대산 국립공원 두노봉-상왕봉 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 분비나무림과 주목림 -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Turobong-Sangwangbong Area in Odaesan National Park - Abies nephrolepis and Taxus cuspidata Forest -)

  • 김갑태;엄태원;추갑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60-168
    • /
    • 1996
  • 오대산 국립공원의 두로봉, 상왕봉 지구를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는 천연림의 생육현황과 구조를 파악하고자, 이 지역에 19개의 방형구(10*10m)를 설치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고산지대에 생육중인 주목과 분비나무를 대상으로 생육현황표를 이용하여 잎의 변색, 낙엽율, 줄기, 신초와 소지, 정아우세, 수세 등의 항목을 조사하였다. Cluster 분석한 결과 두 개의 군집(주목군지보가 신갈나무-사스래나무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주목과 미역줄나무, 마가목; 분비나무와 신갈나무; 호랑버들과 부게꽃나무; 신갈나무와 참빗살나무 등의 수종들간에는 높은 저으이 상관이 인정되었고, 주목과 분비나무, 신갈나무 및 사스래나무; 분비나무와 미역줄나무 등의 수종들간에는 높은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조사대상지의 종다양도(H')는 1.2499~0.9608로 나타났다. 분비나무의 생육현황조사의 점수평균은 6.1점이며, 고사목의 비율이 10.9%였다. 주목의 생육현황조사의 점수평균은 17.3점이었고, 피해유형은 정단부를 비롯한 가지의 고사, 줄기의 동공, 줄기가 구부러지는 것 등의 세 가지였다.

  • PDF

한국산 균식성 거저리의 숙주버섯 (Fungal Hosts of Fungivorous Tenebrionid Beetles (Tenebrionidae) in Korea)

  • 정부희;이종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195-201
    • /
    • 2011
  • 한국산 균식성 거저리가 서식하는 숙주버섯의 종류 및 기주와의 관계를 정리하였다. 대부분의 한국산 균식성 거저리는 담자균강 가운데 민주름버섯류를 숙주버섯으로 선택하였다. 한국산 균식성 거저리는 모두 4개족(가시거저리족, 뿔거저리족, 뾰족날개거저리족, 르위스거저리족) 31종으로 조사되었으며, 이 균식성 종들이 각각 서식하는 숙주버섯은 모두 42종으로 파악되었다. 한국 전역에 분포하는 31종의 균식성 거저리 목록과 균식성 거저리의 숙주버섯 목록을 제공하였다. 각 목록은 성충과 애벌레의 숙주버섯 이용 양상을 토대로 작성되었는데, 균식성 거저리의 약 62%가 균의존형(obligate mycetobionts)으로 밝혀졌다.

온라인 생물정보 플랫폼에 기반한 가산의 관속식물목록 (A checklist of Gasan Mt.: an online platform for virtual specimens)

  • 양선규;남보미;장주은;최미정;최고야;정경숙;최혁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453-474
    • /
    • 2020
  • 경상북도 칠곡군에 위치한 가산(902 m)의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2014년부터 2015년까지 10회의 현지조사를 수행하였다. 현지조사 결과 가산의 관속식물 81과 212속 289종 8아종 20변종 5품종으로 총 322분류군의 분포를 확인하였다. 조사된 분류군 중 한반도 특산식물은 14분류군, 희귀식물은 6분류군이 확인되었고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48분류군이었으며 귀화식물은 14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조사지역은 세잎승마와 노랑무늬붓꽃의 분포한계 지역이었으며 가산산성 일대에서 금붓꽃과 노랑무늬붓꽃의 잡종개체군을 확인하였다. 조사지역에서 수집된 관속식물 증거표본 325점은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표준표본관에 보관하였고 디지털 이미지로 만들어 https://oasis.kiom.re.kr/herblib/ 에 공유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식물상 연구분야에서 증거표본의 디지털 이미지를 공유한 최초의 연구로서 큰 의미를 갖는다.

한반도 석회암지대의 관속식물 목록 (A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in limestone areas on the Korean Peninsula)

  • 김중현;남기흠;이승배;신수경;김진석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50-293
    • /
    • 2021
  • 석회암지대는 수억만년 전 칼슘 분비 해양 생물에 의해 생성되고 탄산칼슘으로 구성된 퇴적암 노두이며, 지각 운동에 의해 해수면 위로 상승하였다. 석회암지대는 고유식물의 비율이 매우 높고 생물학적 정보가 많은 생물다양성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10개 지역의 석회암지대에 대한 식물상과 식물 종조성의 조사를 통하여 석회암 식생에 안정적인 보전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2010년 4월부터 2016년 10월까지 153회에 걸쳐 조사한 결과, 관속식물은 133과 530속 1,096종 18아종 84변종 2품종 2교잡종으로 총 1,20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 가운데 한반도 고유식물은 55분류군, 적색목록식물은 38분류군이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102분류군으로 V등급에 27분류군, IV등급에 75분류군이 포함되었다. 외래식물은 121분류군이었다. 호석회성 식물은 총 102분류군으로 지표종에 14분류군, 극선호종에 30분류군, 그리고 선호종에 58분류군이 포함되었다. 군집분석은 석회암지대 내에서 지리적으로 인접하고, 자생지 환경(하천지역)이 유사한 지역 간에 높은 유사도를 보여주었다. 또한 석회암지대는 인근지역의 비석회암지대와 구별되는 종조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 석회암지대 식물상의 고유성과 특이성을 보여주었다. 식물지리학적 접근은 석회암지대 생물다양성의 수준을 잘 이해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결과는 석회암 생육지를 보호하고 그 상호 특이적 생물다양성뿐만 아니라 고도로 위협받는 종내 생물다양성 보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유리알락하늘소를 포함한 14종 하늘소의 새로운 기주식물 보고 및 한국산 하늘소과(딱정벌레목: 잎벌레상과)의 기주식물 재검토 (A Review of Host Plants of Cerambycidae (Coleoptera: Chrysomeloidea) with new Host Records for Fourteen Cerambycids, Including the Asian Longhorn Beetle (Anoplophora glabripennis Motschulsky), in Korea)

  • 임종옥;정수영;임종수;장진;김경미;이유미;이봉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11-133
    • /
    • 2014
  • 직접적인 기주식물 조사와 기존 문헌자료의 기록을 재검토하여, 한국산 하늘소과(딱정벌레목: 잎벌레상과) 6아과 103속 181종의 기주식물 목록을 작성하였다. 유리알락하늘소의 새로운 기주식물로 산겨릅나무가 확인된 것을 포함하여 총 14종의 하늘소와 기주식물 관계를 구명하였다. 기주식물로 44과 107속 170종 이상이 정리되었다. 이 중, 네 과(느릅나무과, 소나무과, 참나무과, 자작나무과)가 주요 기주식물 과(하늘소 기록 종수의 23% 이상 차지)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기존 문헌들에서 기주식물과 하늘소류의 무효한 학명과 국명들은 현재 통용하고 있는 유효한 학명과 국명으로 수정하였다.

호남권 내 6개 지역에서의 도심 및 교외 수목 해충 발생 양상 (Occurrence of Insect Pests from Street Trees in Six Urban and Suburban Parks of Honam Region, South Korea)

  • 임종옥;유하늘;원정운;강석무;신수연;박용환;정찬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2권4호
    • /
    • pp.371-384
    • /
    • 2023
  • 도심과 교외에 식재 또는 자생하고 있는 수목의 해충 발생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2022년 5월부터 9월까지 전남 및 전북 내 총 6개소(전북 익산 2개소, 김제 1개소, 광주 3개소)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지 6개소는 조사지역(공원)이 위치한 지역 특성에 따라 산림인접지역, 수변지역, 도심지역 세 개의 지역으로 구분하여 각 특성 지역에 따라 확인되는 해충의 다양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6개소의 조사지역에서 총 5목 27과 49속 51종의 해충 분류군이 총 13과 21종의 주요 가로수종으로부터 확인되었다. 해충 분류군 중에서 노린재목이 12과 20속 22종으로 가장 많은 종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가로수 수종에서는 왕벚나무가 25종의 가장 다양한 해충의 피해를 입는 것을 확인하였다. 조사지역 특성별 비교를 하였을 때, 수변지역 공원에 식재 또는 자생하는 수종은 상대적으로 적었지만 산림인접지역과 도심지역 공원에 비해서 가장 많은 해충 종 수를 확인하였다. 해충이 가해하는 부위로는 잎을 가해하는 해충이 총 22종으로 가장 많았다. 본 조사를 통해 확보한 각 가로수 수종에 발생하는 해충의 분류군 목록을 작성하였으며, 이 중에서 피해가 심한 6종을 선정하였다. 도심 뿐만 아니라 교외지역에서의 다양한 가로수 분포 범위가 확대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수목 해충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해충 발생 양상 조사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