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wning ground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31초

한국 서해안의 어류 난추어 분포 (Distribution of Fish Eggs and Larvae in the Western Waters of Korea)

  • 허성범;유재명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536-542
    • /
    • 1984
  • 1982년 2월부터 $7{\sim}8$월까지 6회에 걸쳐 위도 $36^{\circ}0'{\sim}37^{\circ}20'$와 서해안으로부터 동경 $125^{\circ}00'$에 이르는 해역을 19개 해구로 구분하여 난치어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기간 중 출현한 어난은 6종, 추어는 42종이었다. 난은 멸치와 동갈양태류의 난만이 분류되었고 치어는 29종이 속 또는 종까지 분류되었다. 2. 멸치의 난은 5월부터, 치어는 6월부터 출현했다. 최고의 난출현은 6월 정점 26에서 77,511개체/$1,000m^3$였고, 치어는 $7{\sim}8$월 정점 28에서 2,780미/$1,000m^3$였다. 이와 같은 현상을 볼 때 조사해역에서의 멸치 주 산란시기는 6월이며 주산란장은 어청도, 외연열도, 격열비열도부근으로 산란 적수온 및 적염분도는 약 $17^{\circ}C$$32\%0$로 판단된다. 부화직후 치어는 연안쪽에서 주로 서식하나 $7{\sim}8$월이 되면 수온이 높은 연안보다는 수온이 낮은 외해쪽이 주 서식장으로 판단된다. 3. 동갈양태류의 산란은 멸치의 산란습성과 비슷하여 주산란시기는 6월, 주산란장은 남쪽연안의 정점 25부근이며, 산란 적수온 및 적염분도는 약 $19^{\circ}C$$32\%0$로 판단된다. 동갈양태류의 치어는 출현초기인 6월에는 멸치 치어 분포와 흡사하나 $7{\sim}8$월에는 멸치보다 다소 고위도의 연안에서 서식했다. 4. 2월부터 5월까지 출현한 까나리 치어는 2월에 가장 많은 출현량을 보였고 그 후 계속 감소했다. 2월에는 출현한 치어들 가운데 가장 우점적이었고, 3월, 4월에도 베도라치류 치어를 제외하면 가장 우세했다. 주산란시기는 $1{\sim}2$월이며 조사해역 안에서의 주산란장은 수온 약 $4^{\circ}C$, 염분도 약 $33\%0$의 어청도부근으로 판단된다. 또 치어는 외해쪽과 북쪽연안으로 회유하며, 3월경부터는 부유유생기를 마치고 표층에서 저층으로 이동하기 시작했다. 5. 망둑어류의 치어는 5월에서 $7{\sim}8$월까지 출현했고 주 분포시기는 6월이었다. 또 외해쪽에서는 전혀 나타나지 않고, 남쪽보다는 북쪽에서 출현이 우세했던 점을 볼 때 주산란시기는 $5{\sim}6$월이고 주 산란장은 수온 약 $15^{\circ}C$, 염분도 약 $32\%0$의 정점 4부근으로 사료된다. 6. 이외에도 2월에는 줄공치, 농어, 장갱이, 쥐노래미, 꼼치류, 볼낙류, 3월에는 넙치, 4월에는 둑중개류, 각시가자미류, 은어, 뱀장어, 5월에는 실고기 6월에는 전어, 붕장어, 쏨뱅이, 개볼낙, 볼낙양태, $7{\sim}8$월에는 준치 꼬치고기, 동갈돔류, 보리멸류, 고등어, 쉬쉬망둑, 눈볼대, 미역치류, 참서대류의 치어들이 최초로 출현했다.

  • PDF

2007년 남해안 멸치의 산란밀도와 어장가입 (Spawning Density and Recruitment of Janpanese Anchovy, Engraulis japonica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in 2007)

  • 차병열;양원석;김주일;장선익;추은경;박주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190-197
    • /
    • 2008
  • 우리나라 남해안에서 멸치의 주 산란기인 2007년 5월부터 8월까지 멸치 난자치어의 분포와 해양환경요인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권현망에 의한 해역별 어획량과 체장조성 자료와 종합하여 멸치의 시공간 분포 변화를 분석하였다. 1. 멸치의 난은 5월부터 8월까지 분포하였으나, 분포밀도는 7월에 가장 높고 8월에 가장 낮았다. 2. 난의 주 분포해역은 남해도와 거제도 간 해역이며, 난이 많이 채집된 곳의 수온범위는 $15{\sim}24^{\circ}C$, 그리고 염분범위는 32~34이었다. 3. 멸치의 자치어의 분포밀도는 난의 분포와 같이 남해도와 거제도 간 해역에서 높았다. 4. 고흥반도와 거제도 간 해역에서 권현망어업에 의한 2007년 멸치 어획량은 통영이 11,409톤, 마산이 4,137톤, 사천이 2,487톤, 그리고 여수가 4,411톤으로 대부분이 남해도와 거제도 사이 해역에서 어획되었다. 5. 고흥반도와 거제도 간 해역에서 권현망어업에 어획된 멸치는 3~4월에는 큰 멸치(4.6 cm 이상)가 많았고, 8월 이후에는 0.7 cm의 소형에서부터 13.0 cm의 대형 크기까지 분포하였다. 작은 멸치(4.6 cm 미만)는 연안측 가까이에서 많이 분포하였고, 큰 멸치(4.6 cm 이상)일수록 어장의 외해측에 분포하여 멸치는 내만측에서 어린 시기를 보내고 성장하면서 외해측으로 이동 확산해 나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국 연근해에 분포하는 고등어(Scomber japonicus) 난·자치어의 분포특성 및 초기 수송과정 연구 (Characteristics of the Eggs and Larval Distribution and Transport Process in the Early Life Stage of the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us Near Korean Waters)

  • 김소라;김중진;;김창신;강수경;차형기;지환성;장서하;백혜자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2권6호
    • /
    • pp.666-684
    • /
    • 2019
  • The horizontal distributions of eggs and larvae of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us were extensively surveyed in the vicinity of Korean waters between 31°75'N and 36°50'N during May and June in 2016 and 2017 (total of four surveys). We used a coupled bio-physical model (DisMELS) that combines an individual-based model (IBM) incorporating vertical migration of larvae and temperature-dependent survival to understand transport processes in the early life stage. Using the distributions of eggs and larvae from surveys, the potential spawning grounds were estimated at the northwest and southeast of Jeju Island and the central East China Sea in May, and at the southwestern East Sea and southern West Sea in June by running the model backward in time. In forward experiments within 30 days from the backward results, most larvae were transported to both the Korean and Japanese sides of the East Sea through the Korea Strait. However, the larvae released in the central East China Sea were transported to the Japanese side only, while those released in the southern West Sea were retained within that region. The survival rates at 30 days after release based on the simulation incorporating temperature-dependent survival throughout May and June were 29.7% in 2016 and 28.8% in 2017.

도시 내 묵논습지 생물서식 특성 및 관리방안 -북한산국립공원 울대습지를 대상으로- (Habitat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of Abandoned Rice Paddy Field Wetlands in Mountain - In Case of the Uldae Wetland in Bukhansan National Park -)

  • 유소연;허명진;한봉호;최진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1-23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biological interactions between species of the abandoned rice paddy field in mountainous areas and to suggest a management strategy for stable food chain formation and biodiversity enhancement. The study site is located in Uldae wetland of Songchu district Bukhansan National Park, site characteristics and biological habitat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through site survey and literature survey. With regard to physical environment, among geographical features, the Uldae Wetland and the neighborhood inside the basin was a gently sloping area($5{\sim}15^{\circ}$). And 64.0% of basin faced the north. With regard to water environment, the Uldae Wetland was wetland of rainfed paddy field depending on precipitation and the system of stream flowing into the wetland from valle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xamining flora in plant ecology, in general, they were herbaceous wetland species. 88.6% of existing plants inside the Uldae Wetland basin was a forest in the mountain. And Quercus spp. community and Pinus densiflora community accounted for 64.6% of that, and was dominant. Except for that, Salix koreensis community was distributed. The existing vegetation of Uldae Wetland inhabited wetland species and terrestrialization indicator species, and it was thought that partial terrestrialization inside the Uldae Wetland was in progress after the discontinuation of paddy cultivation, such as the expansion of Salix koreensis distribution area. In the status of appearing faunae in the Uldae Wetland with regard to wildbirds of appearing principal species, The Uldae wetland was based on a abandoned rice paddy field various wildlife, and was a wildlife feeding, spawning, and resting place. The water environment was an important factor in maintaining the wetland living creatures function, habitat of waterbirds and benthic macroinvertebrates, amphibians and odonate are spawning ground and habitat, it was affecting the vegetation ecosystem based on wetlands. In order to maintain the diversity of wildlife, it was important to maintain smooth water supply and water level. A stable food chain will be formed and the Uldae wetland biodiversity will be abundant by establish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ecies of Uldae wetland, which is abandoned rice paddy field, and the habitat environment favored by species belonging to the ecosystem stepwise linkage.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Uldae wetlands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species were analyzed and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were reflected in the planning and management plan of Uldae wetland ecology.

남해 여수 동부연안 각망에 어획된 어류의 종조성 및 월별 출현 양상 (Monthly Fish Species Composition Caught by Fyke Net in Eastern Coast Yeosu, the South Sea of Korea)

  • 차상훈;유태식;한경호;이성훈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74-181
    • /
    • 2024
  • 전라남도 여수 동부연안에서 2020년 9월부터 2021년 8월까지 월별로 3개의 정점에서 이각망을 이용하여 어획되는 어류의 군집 특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채집된 어류는 총 7목 28과 43종 4,539개체로 그중 숭어(Mugil cephalus)가 654개체 (14.4%)를 차지하여 가장 우점하였고, 다음으로 전어(Konosirus punctatus)가 497개체 (10.9%), 농어 (Lateolabrax japonicus)가 377개체 (8.3%), 감성돔 (Acanthopagrus schlegelii)이 360개체 (7.9%), 보구치 (Pennahia argentata)가 326개체 (7.2%)를 차지하였다. 군집구조에서 월별 종다양도지수는 2.075~2.888로 8월에 가장 높았고, 1월에 가장 낮았으며, 우점도지수는 0.178~0.524로 3월에 가장 높았고, 12월에 가장 낮았다. 계층 군집분석(HCA) 결과, 조사시기별 어류 군집은 Bray-Curtis 유사도에 따라 총 3개의 그룹으로 나타났다. Group 1은 6월에서 10월로 전어(Konosirus punctatus), 병어(Pampus punctatissimus), 전갱이 (Trachurus japonicus) 등이 주로 채집되어 하나의 cluster를 형성하였고, Group 2는 11월부터 2월로 겨울철 산란종인 문치가자미(Pseudopleuronectes yokohamae), 청어 (Clupea pallasii), 쥐노래미 (Hexagrammos otakii) 등이 속해 하나의 cluster를 형성하였다. Group 3은 3월에서 5월로 참조기(Larimichthys polyactis), 도화망둑(Amblychaeturichthys hexanema), 볼락 (Sebastes inermis) 등이 속해 하나의 cluster를 형성하였다. 이 연구가 진행된 여수 동부연안은 경제성이 높은 어종뿐만 아니라 다양한 수산자원들이 출현하는 것을 보아 수산자원의 서식에 적합한 해역이며, 많은 어종들의 산란 및 성육장으로써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 서해산 말뚝망둥어, Periophthalmus modestus의 번식생태 (Reproductive Ecology of the Dusky Mud Hopper, Periophthalmus modestus in Western Korea)

  • 양형수;정의영;신문섭;최대업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06-317
    • /
    • 2007
  • 전라북도 곰소만에 위치한 선운리 조간대에서 채집된 2007년 4월부터 2007년 10월까지 말뚝망둥어 Periophthalmus modestus Cantor의 산란기를 파악하기 위하여 생식소 발달과 생식주기를 조사하였다. 난소는 수많은 난소소엽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낭상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정소는 1쌍의 엽상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말뚝망둥어의 생식소 발달과 성숙 및 배정은 지온증가와 장일장의 환경요인에 의해 조절되고 있다. 암컷과 수컷에서, 생식소중량지수(GSI)는 지온이 증가되기 시작하는 늦은 4월부터 증가되기 시작하였고, 6월 하순(고지온-장일장)인 하계에 최대에 도달하였다. 그리고 7월부터 8월까지 점차 감소되었다가 9월부터 증가하였다. 간중량지수 값(HSI)은 암수 모두 4월부터 점차 감소되었으며 암컷은 7월(성숙기)에 수컷은 6월에 최소에 이르렀다. 이후 8월(배정 및 회복기)부터 점차 증가되기 시작하였다. 암컷에서, GSI와 HSI 사이에는 역상관 관계를 나타내었다. 비만도지수는 4월(초기성장기)부터 점차 증가되기 시작하여, 6월(성숙기)에 최대에 도달한 다음 7~8월에 점진적으로 감소되었다. 산란기의 난경빈도 분포에 의해 말뚝망둥어는 산란기간 중 2회 또는 그 이상 산란하는 비동기발달형의 다회산란종으로서, 총 포란수는 체장에 비례하여 증가되었다. 군성숙도에 이르는 비율은 체장 5.1~5.5 cm인 암 수 개체들에서 각각 56.5%와 60.0% (평균 58.3 %)로 나타나, 이 계급 구간에서 생물학적인 최소 성숙 크기를 보여주었다. 이 종의 생식주기는 암컷의 경우 초기 성장기(4~5월), 후기 성장기(4~5월), 성숙기(5~6월), 완숙기 및 산란기(6~8월), 회복 및 휴지기(8~3월)의 5단계로 수컷의 경우는 성장기(4~5월), 성숙기(5~6월), 완숙 및 배정기(6~8월), 회복 및 휴지기(8~10월)의 4단계로 구분되었다. 암수의 성비를 조사한 결과 암 수의 성비는 1:1로 유의한 차를 보이지 않았다(${\chi}^2=0.65$, p>0.05).

북부 동중국해 살오징어(Todarodes pacificus) 유생분포의 계절특성 (Seasonal Characteristics of Todarodes pacificus Paralarval Distribution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 김중진;김철호;이준수;김수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59-61
    • /
    • 2014
  • We conducted eight surveys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ECS) in winter (February - April), summer (July), and autumn (October) 2004-2009, to investigate the seasonal distribution of T. pacificus. A total of 482 paralarvae, ranging in mantle length (ML) from 1.0 - 17.0 mm, were collected at 73 out of 181 stations. There were higher numbers of paralarvae during the winter and summer months than in the autumn. There was significant seasonal variation in the paralarval mantle lengths; mantle lengths were longer in winter (April) than in summer (July). The position of oceanic fronts in the study area played an important role in restricting paralarval distribution along the inshore edge of the Tsushima Warm Current (TWC). When the TWC expanded to western Jeju Island in winter and autumn, the paralarval distribution range extended to include western Jeju Island. However, when the TWC was located southeast of Jeju Island in the summer, paralarvae were distributed along the frontal zone off southeast Jeju Island. Sites at which paralarval mantle length was <2.0 mm ML indicated that the spawning ground were likely to be within the northern ECS in winter and summer, but north of the study area in autumn.

1970-1990년대 동해에서 어획된 명태(Theragra chalcogramma)의 체장에 따른 체급별 어획 마릿수 추정 (Size-class Estimation of the Number of Walleye Pollock Theragra chalcogramma Caught in the Southwestern East Sea during the 1970s-1990s)

  • 강수경;박정호;김수암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45-453
    • /
    • 2013
  • Walleye pollock Theragra chalcogramma fisheries in Korean waters have changed dramatically during the last three decades: the highest catches occurred in 1981, followed by continuous decreases through the 1990s, ending with a complete collapse of the population in the 2000s. The major spawning ground of walleye pollock is located in North Korean waters, and some juveniles (called nogari in Korean, <300 mm) migrate to the south for feeding and growth. Since the 1960s, Korean fishermen have often caught juveniles, and the weight (metric tons) of juvenile catch was recorded from 1975-1997. However, because the walleye pollock were not aged, the population age structure was not delineated. We developed a model to estimate the number of walleye pollock of each size class based on catch statistics of adults and juveniles, the catch proportion of each size class, and length and weight information on specimens collected by Danish-seine and drift-gill-net fisheries. The model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recruitment size of walleye pollock was consistently within the 200-250mm size class, and the highest number of this size class occurred in 1981, although values greatly fluctuated interannually. The number of juvenile pollock was 10.4 times higher than that of adult pollock during 1975-1997. The total yield of juvenile pollock was 0.95 million tons, which was equivalent to about 68.2% of total pollock production. The number of juvenile pollock caught during the same period, however, was 16 billion, comprising about 91.2% of the total number caught. Such high fishing pressure on juvenile pollock is considered one of the main factors causing the collapse of the pollock population.

멸치, Engraulis japonica 난${\cdot}$치어의 연직분포 (Vertical Distribution of Anchovy, Engraulis japonica Eggs and Larvae)

  • 김진영;최영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39-144
    • /
    • 1988
  • 1985년 $6\~8$월 1986년 $6\~9$월에 동해남부해역 냉수조사의 일환으로서 실시된 수온관측자료 및 개폐형채집망을 사용하여 층별로 채집된 멸치난과 자${\cdot}$치어를 분석하였다. 수온약층은 1985년의 경우 연안측에서는 표층가까이에서, 외해측에서는 $20\~50m$층에서 형성되었으나 1986년에는 외해측까지 계절수온약층의 경사가 완만하게 형성되었다. 또한 멸치날${\cdot}$치어의 분포역은 1985연에는 울산 부근의 외해측에서, 1986년에는 감포부근의 연안측에서 주로 분포하였다. 특히 멸치 난은 일출시에는 대부분 발생초기에 해당되며 $10\~30m$층에 주로 분포하였으나 자정무렵에는 발생후기로 이행되고 $50\~100m$층에서의 분포비율이 높아지므로서 멸치 난은 발생이 진행됨에 따라 침하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자${\cdot}$치어의 경우에는 야간에는$0\~30m$층에서 주간에는 30m이심에서의 분포비율이 높았다.

  • PDF

2013년 8월, 9월 동해 남부연안 살오징어 유생 분포 (Distribution of the Common Squid Todarodes pacificus Paralavae in the Southern Coastal Waters in the East Sea in August and September 2013)

  • 김윤하;문창호;이충일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9권3호
    • /
    • pp.215-222
    • /
    • 2014
  • 동해연안에서 살오징어(Todarodes pacificus) 유생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2013년 8월과 9월 해양조사선 탐구 12호로 21정점에 대해 CTD 관측 및 지름 60 cm, 망목 $333{\mu}m$의 봉고네트를 이용한 복경사 채집을 하였다. 유생은 8월에 3개 정점에서 16 개체/$10m^3$, 9월에 1개 정점에서 7 개체/$10m^3$가 출현하였으며, 유생이 채집된 정점의 수심은 약 70 m-500 m 사이였다. 유생의 외투장은 1.7-6.0 mm였으며, 8월에는 주로 외양측 정점, 9월에는 장기갑 부근 정점에서 채집되었다. 배아발달과 유생이 생존하기에 가장 적합한 수온인 배아생존최적수온($18-24^{\circ}C$)은 35 m보다 깊지 않았고, 배아와 유생의 생존이 가능한 수온($15-24^{\circ}C$)은 75 m보다 얕은 수심에 분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