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o-temporal analysis

검색결과 383건 처리시간 0.028초

원격탐사와 지리정보시스템의 산림분야 활용 (Application of Remote Sensing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in Forest Sector)

  • 이우균;김문일;송철호;이슬기;차성은;김강선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6권2호
    • /
    • pp.27-42
    • /
    • 2016
  • 산림은 우리나라 토지피복 면적의 64%에 해당하는 넓은 면적을 차지한다. 이와 같이 넓은 면적의 산림을 조사, 모니터링, 관리하기 위해서는 원격탐사 및 지리정보시스템 기술이 필수적이다. 위성영상의 분광반사 특성을 이용하여 임상 및 수종분류가 가능하며, 이를 통해 임상도를 제작할 수 있다. 3차원 자료인 LiDAR를 이용하여 개체목의 위치와 수고 측정, 이를 통해 바이오매스와 탄소량 추정이 가능하다. 그 외에도 대상물의 반사특성을 이용해서 각종 지수들이 추출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식생지수와 표면토양지수 등을 통해 식생의 활력도와 산림 황폐화 정도를 파악 할 수 있다. 이러한 식생지수들의 변이를 파악하여 소나무 재선충병, 참나무 시들음병 등의 조기탐지 및 관리도 가능하다. 또한 A/R CDM, REDD+ 등 최근 기후변화 대응 사업에 있어서 원격탐사는 사업성 판단과 이산화탄소 흡수 및 저장량을 산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에서는 지리정보시스템의 시공간자료를 이용하여 국가 및 지자체 단위의 취약성이 시공간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또한, 시공간자료를 영향변수로 추가시킨 각종 모델을 통해 산림생장, 입목고사, 산사태 및 산불 등의 예측이 시공간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비상시 용수 연계공급 성능의 시·공간적 평가를 위한 A-PDA 모형 및 공급성능지표의 적용 (An application of the A-PDA model and the water supply performance index for the temporal and spatial evaluation of the performance of emergency water supply plans via interconnections)

  • 옥수연;김수리;전환돈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1권11호
    • /
    • pp.977-987
    • /
    • 2018
  • 상수관망시스템의 운영목적은 탄력성을 높여 각종 비정상상황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점차 변화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비정상상황에 따른 단수구역 발생에 대한 사후대책 대비를 통한 탄력성 향상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한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수계전환에 따른 비상공급 수원확보이며, 비상관로를 통하여 인접 배수블록으로부터 단수된 구역에 용수를 공급할 수 있다. 성공적인 비상연계 운영을 위해서는, 수리학적 해석을 통하여 시공간적인 측면에서의 공급성능을 평가해야 한다. 비상연계 시, 공간적인 범위를 결정하는 주요 요소는 관경, 위치 및 관저고와 같은 비상관로에 해당하는 제원이며, 시간적인 범위를 결정하는 주요 요소는 연계배수지의 용량과 정수장에 공급 가능한 추가수량이다. 본 연구에서는 A시의 상수관망에 대하여 배수지 1지에 문제가 발생하여 타 배수지들로부터 비상연계를 받는 시나리오에 대하여 모의를 진행하였다. 배수지의 저류량 및 유입량에 대한 모의를 위하여 Advanced-Pressure Driven Analysis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수리해석 결과를 바탕으로 공급범위기준지표 및 공급시간기준지표를 산정하여 연계공급성능에 대한 다각도적인 평가를 진행하였다. 이에 비상연계에 대하여 소비자들이 실제 체감하는 공급성능을 시공간적인 측면에서 파악할 수 있었으며, 설계제원의 타당성에 대한 검토가 가능하였다. 이는 비상연계 성능향상을 위한 구조적 대책 및 비구조적 대책 수립에 대한 의사결정에 용이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GIS와 RS를 이용한 토지피복 및 식생 분포의 시ㆍ공간적 변화 - 평안북도 서부 지역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n Spatio-Temporal Changes of Land Cover focusing on NDVI Using GIS and RS in Pyeongbuk Province, Northwest Korea)

  • 이민부;김남신;최한성;신근하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835-848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GIS 및 RS를 이용하여 평안북도 서부지역을 대상으로 1988년∼2001년 사이의 토지피복과 식생 분포의 시ㆍ공간적 변화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Landsat TM 및 ETM 영상을 사용하여, 기하 방사 보정 후, 감독 분류와 NDVI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평안북도 삭주, 대관, 구성, 의주 지역에서는 13년 동안 산림이 감소하고 시가지, 인간의 간섭에 의해 발생한 황무지, 범람과 사태 등의 자연적 요인에 의한 나대지 등이 증가한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DEM 분석을 통해 대부분 지역에서 고도가 높고 경사도가 큰 지역까지 시가지 개발 및 확장, 개간이 이루어지면서 더 많은 황무지가 발생하고, 비교적 높은 고도에서도 NDVI 값이 감소한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변화는 지형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채 이루어진 개발에 의한 것이며, 산사태 등의 자연재해 방지, 안정적인 식량공급 등을 위해 많은 연구 및 해결책 제시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GIS를 이용한 연안수질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Coastal Water Quality Using GIS)

  • 조홍래;정종철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4권2호
    • /
    • pp.223-234
    • /
    • 2006
  • 연안수질의 시공간적 분포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1997년부터 2004년 사이에 우리나라 연안해역에서 측정된 수질자료(chlorophyll-a, pH, DO, COD, SS,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dissolved inorganic phosphorous, salinity, temperature)에 대해 GIS 공간분석 기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수질자료는 공간상 모든 위치에 그 값이 존재하나, 실제 간의 수집은 고정관측 위치에서만 수행된다. 따라서 공간적으로 연속적으로 존재하는 연안수질의 분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미관측 지점의 값을 예측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분석 기법인 IDW를 연안수질 측정자료에 적용하였으며, IDW 기법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IDW 공간보간을 적용한 후, 전국 연안을 46개 구간으로 구분하여 각 구간의 수질특성을 GIS 시각화 기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적용결과 공간보간 및 GIS 기법이 다년간 광범위한 범위에서 수집된 수질 자료로부터 시공간적 분포 특성을 파악하는데 유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GIS와 RS를 이용한 농촌지역 토지이용 및 도시화 변화현상의 시공간 탐색 - 용인 및 안성지역을 중심으로 - (Spatio-temporal change detection of land-use and urbanization in rural areas using GIS and RS - Case studies of Yongin and Anseong regions -)

  • 고옥결;김대식
    • 농업과학연구
    • /
    • 제38권1호
    • /
    • pp.153-162
    • /
    • 2011
  • This study analyzed the spatio-temporal change detection of land-use and urbanization in Yongin and Anseong regions, Kyunggi Province, using three Landsat-5 TM images for 1990, 1996, and 2000. Remote sensing (RS)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techniques were used for image classification and result analysis. Six land-use types were classified using supervised maximum likelihood classification. In the two study areas, the land-use changed significantly, especially the decrease of arable land and forest and increase of built-up area. Spatially, the urban expansion of Yongin region showed a spreading trend mainly along the national road and expressways. But in Anseong region the expansion showed 'urban sprawl phenomenon' with irregular shape like starfish. Temporally, the urban expansion showed disparity - the growth rates of urbanized area rose from the period 1990-1996 to 1996-2000 in both study areas. The increased built-up areas were converted mainly from paddy, dry vegetation, and forest.

닫힌 사슬 하지 저항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lose Kinetic Chain Resistant Exercise of Lower Extremity on the Gait with Stroke)

  • 문상훈;김영민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75-483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close kinetic chain resistant exercise of lower extremity on the gait with stroke patients. METHODS: The subjects were 50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cerebrovascular accident. They were randomly assigned either to a close kinetic chain resistant exercise of lower extremity group (study group)(n=25) or open kinetic chain resistant exercise of lower extremity exercise group (control group)(n=25). Gait abilities were measured by using Timed Up & Go (TUG) test, Functional Gait Assessment (FGA) and spatio-temporal gait variable that were velocity, cadence, stride length, double limb support by 3 axises wireless accelerometer and sway angle of center of mass by same instrument. RESULTS: Study group and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 in TUG, FGA, spatio-temporal gait variables and sway angle of center of mass (p<.05).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study group and control group for all variables at post-exercise. CONCLUSION: When all is said and done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a method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in the process of rehabilitation of patients with stroke. In its final analysis when applying resistant exercise of lower extremity to stroke patients' gait, close kinetic chain is more effective than open kinetic chain.

SAD 해석을 이용한 기후변화가 가뭄의 시공간적 거동에 미치는 영향분석 (Effects of Clime Change on Spatio-Temporal Behavior of Drought Using SAD Analysis)

  • 최치현;최대규;김응석;김상단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0권6호
    • /
    • pp.89-9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현재 및 미래기후에서의 가뭄심도-영향면적-지속기간 곡선의 비교를 통하여 극한 가뭄사상의 시공간적 거동에 대한 기후변화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미래기후는 CGCM3.1-T63과 CSIRO-MK3.0으로부터 획득되었다. 분석 결과 CGCM3.1-T63의 경우에는 미래가뭄이 현재와 비슷할 것으로 예측되었으나, CSIRO-MK3.0의 경우에는 연강수량 총량의 변화가 거의 없음에도 불구하고 미래가뭄이 현재보다 더 극심해질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에 따라 현재의 수자원 공급 시스템에 대한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가 시급함을 제시하고 있다.

진해만 특별관리해역의 대형저서동물의 시공간 분포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Macrobenthic Communities in Jinhae Bay, Korea)

  • 서진영;임현식;최진우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7권4호
    • /
    • pp.295-315
    • /
    • 2015
  • In order to determine the spatio-temporal distribution of macrobenthic faunal communities in Jinhae Bay, quantitative faunal samples were collected seasonally at 23 sites in Jinhae Bay from February, 2011 to November, 2012. Sediment facies were found to be mud except for those at Chilcheon-do near Geoje Island. Mean values of TOC (%) ranged between 1.3 and 3.6%, and these are the highest values recorded excluding special management areas in Korea. Hypoxia occurred every summer in the whole areas of Jinhae Bay except around Geoje Island in the bay mouth. Due to the summer hypoxia, species richness, density and biomass also declined during the summer in Jinhae Bay. Opportunistic species such as Paraprionospio patiens, Sigambra bassi, Nectoneanthes oxypoda and Theora fragilis occurred as the dominant species before and after the hypoxia. However, Capitella capitata appeared as a dominant species only during the winter-spring season every year. From cluster analysis, Jinhae Bay could be divided into two sites groups: one group occupied the normoxic zone and the other one located in the hypoxic zone.

편마비환자에서 청각 신호 단하지 보조기가 시-거리 보행 변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uditory Cue AFO on Spatio-temporal Gait Parameters in Hemiplegia)

  • 한진태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27-133
    • /
    • 2011
  • Purpose: 본 연구는 단하지 보조기를 사용하는 뇌졸중환자의 시-거리 보행변수에 대한 청각신호 효과에 대한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Methods: 9명의 뇌졸중환자가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대상자는 보조기 착용이 없는 경우, 기존 보조기 착용의 경우 그리고 청각신호 보조기 착용의 경우에 각각 시-거리 보행 변수에 대해 측정하였다. 8대의 동작분석 카메라 시스템(Motion Analysis Corporation, Santa Rosa, USA)을 사용하여 시-거리 보행 변수를 측정하였으며 Wilcoxon rank sum test을 이용하여 양하지의 대칭성을 분석하였고 Friedman test를 사용하여 다른 보조기 사용에 따른 효과를 알아보았다. Results: 청각 신호 보조기의 경우, 손상측과 비손상측의 보행속도, 활보장 그리고 분속수가 대칭적으로 되었다. 손상측의 경우, 단하지 보조기를 착용하였을 때가 착용하지 않았을 때보다 대체적으로 보행 변수들이 증가하였다. 청각 신호 단하지 보조기를 착용하였을 때 손상측 하지의 보행 속도, 활보장, 보장, 양하지 지지 시간이 증가하였고 단하지 지지 시간은 감소하였다. Conclusion: 청각 신호 단하지 보조기 착용 시 보행 속도, 활보장, 보장은 보조기를 착용하지 않았을 때보다는 증가하였으나 청각 신호 단하지 보조기와 기존 단하지 보조기 착용 사이에는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본 연구의 결과는 청각 신호 단하지 보조기가 뇌졸중 환자의 시-거리 보행 변수를 개선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고 앞으로 다양한 보행 변수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미기상해석모듈 출력물의 정확성에 대한 객체기반 검증법: 한반도 풍속예측모형의 정확성 검증에의 응용 (An Object-Based Verification Method for Microscale Weather Analysis Module: Application to a Wind Speed Forecasting Model for the Korean Peninsula)

  • 김혜중;곽화륜;김상일;최영진
    • 응용통계연구
    • /
    • 제28권6호
    • /
    • pp.1275-1288
    • /
    • 2015
  • 미기상해석모듈(microscale weather analysis module)은 복사에너지, 열, 습도 등의 순환을 시-공간적으로 세밀하게 설명하고 모의실험 할 수 있도록 개발한 초고분해능($1km{\times}1km$ 이내)의 기상모델이다. 본 논문은 미기상해석모듈의 정확성을 시공간적으로 검증할 수 있도록 고안한 객체기반 검증법을 제안한다. 이 검증법은 통계그래픽을 사용하는 시각적인 방법이며, 미기상해석모듈의 평가통계출력장 구축단계, 객체식별 및 병합단계, 모듈의 정확성 검증단계로 이루진다. 이를 위해 두 가지 통계를 사용하여 삼차원의 평가통계출력장을 구축하였고, 구축된 출력장에서 정의되는 시계열통계들에 대해 합성(convolution), 가면화(masking) 및 병합작업(merging)을 시행하여 출력장에서 모듈검증대상 지역인 객체를 식별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또한, 사례연구를 통해 제안된 객체기반 검증법의 유용성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