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scheme

검색결과 983건 처리시간 0.033초

Bit-map-based Spatial Data Transmission Scheme

  • OH, Gi Ou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8호
    • /
    • pp.137-142
    • /
    • 2019
  • This paper proposed bitmap based spatial data transmission scheme in need of rapid transmission through network in mobile environment that use and creation of data are frequently happen. Former researches that used clustering algorithms, focused on providing service using spatial data can cause delay since it doesn't consider the transmission speed. This paper guaranteed rapid service for user by convert spatial data to bit, leads to more transmission of bit of MTU, the maximum transmission unit. In the experiment, we compared arithmetically default data composed of 16 byte and spatial data converted to bitmap and for simulation, we created virtual data and compared its network transmission speed and conversion time. Virtual data created as standard normal distribution and skewed distribution to compare difference of reading time. The experiment showed that converted bitmap and network transmission are 2.5 and 8 times faster for each.

숨은 객체 식별을 위한 향상된 공간객체 탐색기법 (An Advanced Scheme for Searching Spatial Objects and Identifying Hidden Objects)

  • 김종완;조양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1518-1524
    • /
    • 2014
  • 본 논문은 주변탐색(Surrounder Search: SuSe)이라는 새로운 공간질의 방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은 현재 사용자의 위치를 중심으로 주변에서 가까운 관심영역의 공간객체를 탐색하는 것이다. 사용자 중심의 주변탐색은 증강현실과 같이 사용자가 관심 있어 하는 공간객체 중 가까운 것을 찾기 때문에 기존의 공간질의와 구별된다. 기존 기법은 질의점과 객체 사이의 최단거리(MINDIST)를 기준으로 주변을 탐색하지만 제안 기법에서는 객체들 사이에 숨어있지만 관심의 대상인 숨은 객체를 식별하기 위해서 각도(Angle)를 함께 고려하여 탐색한다. 제안 기법의 특징은 기존기법이 거리만을 사용하여 가까운 객체를 탐색한 것과 달리 거리는 멀지만 숨은 객체까지도 찾아냄으로써 사용자의 선호도를 더 세밀하게 반영한다. 실험결과에서 제안기법인 SuSe는 최근접 이웃 탐색기법인 NN(Nearest Neighbor)과 비교하여 보다 정밀한 공간객체 탐색이 가능하며 향상된 탐색성능을 타나낸다.

중계기 시스템에서 비트 오류율 성능 향상을 위한 중계기 선택 및 전송 모드 결정 방법 (A Relay and Transmission Mode Selection Scheme to Enhance the Bit Error Rate Performance in Relay Systems)

  • 서종필;이명훈;이윤주;권동승;정재학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12A호
    • /
    • pp.941-949
    • /
    • 2011
  • 선택적 협력 공간 다중화 기술은 단일 안테나를 갖는 소스 노드, 다수의 중계기와 다중 안테나를 갖는 도착 노드가 있는 환경에서 공간 다중화 이득과 추가적인 선택적 다이버시티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특정 중계기에서 전달된 심볼이 경로 손실에 의해 손실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 비트 오류율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체 중계기 중에서 고정된 수의 중계기를 선택하는 대신 주어진 데이터 전송률 이상의 채널 용량을 갖는 중계기를 기회적으로 선택하고 협력 단계에서 신호를 전달할 때 선택된 중계기와 수신단 사이의 채널을 고려하여 공간 다중화 전송 모드와 공간 다이버시티 전송 모드 중 하나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기존의 방법에 비해 추가적인 공간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음으로써 낮은 SNR 영역에서 약 1.5~2dB의 이득을 얻을 수 있다.

Decode-and-Forward 협력 릴레이 통신에서의 Balanced 전송 기법 (Balanced Transmit Scheme in Decode-and-Forward Cooperative Relay Communication)

  • 조수범;박상규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35-42
    • /
    • 2011
  • 무선 네트워크를 위한 협력 릴레이 통신은 공간 다이버시티를 통해 페이딩현상을 효율적으로 감소 시킬 수 있기 때문에 최근 활발히 연구되어 오고 있다. 본 논문에서 협력 릴레이 통신환경에서 decode-and-forward 기법을 적용한 balanced 전송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최고의 협력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기 위해 피드백 비트들을 선택한다. 제안된 기법은 기존의 기법과 비교하여 비트 오류 확률 성능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을 모의 실험을 통해 증명하였다.

공간 유사도와 주석을 이용한 이미지 검색 기법 (Image Retrieval Scheme using Spatial Similarity and Annotation)

  • 이수철;황인준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0권2호
    • /
    • pp.134-144
    • /
    • 2003
  • 이미지를 비롯한 멀티미디어 데이타의 검색시스템에서 객체들 간의 공간 관계는 이미지를 표현하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검색 방식과는 달리 이미지에 나타나 있는 객체들간의 다양한 공간 관계와 각 객체들이 가지고 있는 특징을 이용한 새로운 방식의 이미지 검색 기법을 제안한다. 이것은 질의 이미지와 데이타베이스 내에 있는 이미지들 간의 유사성을 효율적으로 계산하는데 유용하다. 특히 각 객체들 간의 공간 정보와 그들의 특징들에 대한 정보들이 XML 형태로 주석 처리되어 있기 때문에 이전 검색 기법보다 정확하고 신속하게 질의를 처리한다. 마지막으로 제안된 검색기법을 이용한 이미지 검색 시스템을 구현하여, 실제 실험을 통하여 성능을 평가하였다.

Single Pixel Compressive Camera for Fast Video Acquisition using Spatial Cluster Regularization

  • Peng, Yang;Liu, Yu;Lu, Kuiyan;Zhang, Maoju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2권11호
    • /
    • pp.5481-5495
    • /
    • 2018
  • Single pixel imaging technology has developed for years, however the video acquisition on the single pixel camera is not a well-studied problem in computer vision. This work proposes a new scheme for single pixel camera to acquire video data and a new regularization for robust signal recovery algorithm. The method establishes a single pixel video compressive sensing scheme to reconstruct the video clips in spatial domain by recovering the difference of the consecutive frames. Different from traditional data acquisition method works in transform domain, the proposed scheme reconstructs the video frames directly in spatial domain. At the same time, a new regularization called spatial cluster is introduced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signal reconstruction. The regularization derives from the observation that the nonzero coefficients often tend to be clustered in the difference of the consecutive video frames. We implement an experiment platform to illu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algorithm. Numerous experiments show the well performance of video acquisition and frame reconstruction on single pixel camera.

정렬 및 비정렬 격자를 이용한 선체 주위 유동에서 TVD 기법이 공간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VD Schemes on the Spatial Accuracy of Turbulent Flows Around a Hull When Using Structured and Unstructured Grids)

  • 심민경;이상봉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58권3호
    • /
    • pp.182-190
    • /
    • 2021
  • Computational simulations of turbulent flows around a model ship have been performed to investigate an influence of TVD schemes on the accuracy of advective terms associated with ship resistances. Several TVD schemes including upwind, second-order upwind, vanLeer, and QUICK as well as a nonTVD linear scheme were studied by examining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accuracy transition in adjacent cells to the hull. Even though vanLeer scheme was the most accurate among TVD schemes in both structured and unstructured grid systems, the ratio of accuracy switch from 2nd order to 1st order in vanLeer scheme was considerable compared with the 2nd order linear scheme. Also, the accuracy transition was observed to be overally scattered in the unstructured grid while the accuracy transition in the structured grid appeared relatively clustered. It concluded that TVD schemes had to be carefully used in computational simulations of turbulent flows around a model ship due to the loss of accuracy despite its attraction of numerical stability.

대용량 이동객체의 위치정보 관리를 위한 S-GRID를 이용한 분산 그리드 기법 (Distributed Grid Scheme using S-GRID for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of a Large Number of Moving Objects)

  • 김영창;김영진;장재우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11-19
    • /
    • 2008
  • 최근 모바일 기기 및 무선 통신의 발달로 인하여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에 대한 연구가 증대되고 있으며, 이러한 위치 기반 서비스의 대표적 질의인 k-최근접 질의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어 왔다. 기존 연구들은 질의 처리 성능의 향상을 위해, 공간 네트워크 상의 POI와 노드 사이의 거리를 미리 계산하는 pre-computation 기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러한 pre-computation 기법들은 검색 대상이 되는 POI의 변경을 효과적으로 처리하지 못하는 단점을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pre-computation 기법들의 단점을 극복하고, 대용량 이동객체의 위치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S-GRID를 이용한 분산 그리드 기법을 제안한다. 아울러 제안하는 분산 그리드 기법을 위한 k-최근접 질의 처리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S-GRID 및 분산 그리드 기법의 k-최근접 질의처리 알고리즘의 성능 평가를 통해, 제안하는 기법의 우수성을 입증한다.

  • PDF

분산 공간 데이터 스트림 처리에서 질의 영역의 겹침을 고려한 공간 연산 배치 기법 (Spatial Operation Allocation Scheme over Common Query Regions for Distributed Spatial Data Stream Processing)

  • 정원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2713-2719
    • /
    • 2012
  •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서비스가 다양해짐에 따라 고가용성과 고확장성을 제공하기 위한 분산 데이터 스트림 처리 기법에 대한 연구가 널리 수행되고 있다. 기존 연구는 분산된 노드들에서 부하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공간 데이터 스트림의 지리적인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있어 공간적으로 인접한 연산을 수행함에 있어 전체 시스템의 부하를 증가시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분산 환경의 공간 데이터 스트림을 처리하기 위해 공간 영역의 겹침을 고려한 연산배치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에서는 인접한 공간 영역을 대상으로 하는 연산을 효율적으로 분리하기 위해 질의 영역이 겹치는 부분의 연산을 우선적으로 동일 노드에 분배하여 중복 영역에 대한 공유의 최대화를 보장한다.

지리정보시스템에서 공간 색인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tial Indexing Scheme i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황병연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6권2호
    • /
    • pp.125-132
    • /
    • 1998
  • 지리정보시스템을 위한 공간 데이터베이스는 공간 데이터의 특성에 의해 다차원의 대용량 데이터를 다루기 때문에 공간 질의의 I/O성능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공간 질의의 I/O성능을 높이기 위해서 복잡한 공간 객체들을 다루는 대표적인 접근기법들인 Z-변형을 이용한 B 트리, KDB트리, R트리, MAX트리에 대해 기술하였다. 또한, 다양한 실제 데이터와 질의 집합을 사용해서 여러 공간 색인 기법들의 성능을 측정하였다. 벤치마크 실험을 해본 결과, MAX 트리는 삽입, 영역 질의, 공간 조인 둥의 연산에 대해 다른 색인 기법들보다 상대적으로 좋은 성능을 나타냈다. MAX 트리는 향후 GIS의 하부 저장시스템을 구성하는 색인기법으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