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attention

검색결과 501건 처리시간 0.03초

노화에 의해 저하된 시공간 주의배분능력이 정서지각 편향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Deteriorated Visuo-spatial Attention Allocation Ability Caused by Aging on Emotional Perception Bias)

  • 김상엽;정재범;남기춘
    • 감성과학
    • /
    • 제23권4호
    • /
    • pp.3-2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노화에 따라 나타나는 시공간 주의배분능력과 정서지각 편향성의 변화에 대해 탐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공간 주의배분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useful field of view (UFOV) 과제와 정서지각 편향성을 측정하기 위해 정서지각과제(emotional perception task)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는 노인 집단의 23명과 청년 집단의 25명의 총 48명의 실험참가자가 참여하였다. 실험 결과, UFOV 과제에서는 노인 집단이 청년 집단에 비해 느린 반응속도와 낮은 정답률을 보여 노인 집단이 청년 집단보다 저하된 시공간 주의배분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나타냈다. 또한, 정서지각과제에서는 노인 집단이 청년 집단에 비해 긍정적 정서지각 편향성과 부정적 정서지각 편향성 모두 크게 나타났다. 상관분석 결과에서는 정서지각과제의 정답률에 대한 부정적 정서지각 편향성이 UFOV 과제의 시야각 30° 조건의 반응속도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r=.289). 또한, 정서지각과제의 정답률에 대한 긍정적 정서지각 편향성은 UFOV 과제의 모든 시야각 조건들의 정답률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r=.305, r=.322, r=.299), 반응속도와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r=-.345, r=-.295, r=-.308). 이러한 결과는 노화가 저하된 시공간 주의배분능력 그리고 긍정적 정서지각 편향성과 부정적 정서지각 편향성의 증가와 관련있다는 것을 의미하고, 노화에 따라 나타나는 긍정적 및 부정적 정서지각 편향성은 저하된 시공간 주의배분능력과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CNN과 Attention을 통한 깊이 화면 내 예측 방법 (Intra Prediction Method for Depth Picture Using CNN and Attention Mechanism)

  • 윤재혁;이동석;윤병주;권순각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2호
    • /
    • pp.35-45
    • /
    • 2024
  • 본 논문에서는 CNN과 Attention 기법을 통한 깊이 영상의 화면 내 예측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을 통해 예측하고자 하는 블록 내 화소마다 참조 화소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CNN을 통해 예측 블록의 상단과 좌단에서 각각 수직방향과 수평 방향의 공간적 특징을 검출한다. 두 공간적 특징은 예측블록과 참조 화소들에 대한 특징을 예측하기 위해 각각 특징차원과 공간적 차원으로 병합된다. Attention을 통해 예측 블록과 참조 화소간의 상관성을 입력된 공간적 특징을 통해 예측한다. Attention을 통해 예측된 상관성은 CNN 레이어를 통해 화소 도메인으로 복원되어 블록 내 화소 값이 예측된다. 제안된 방법이 VVC의 인트라 모드에 추가되었을 때 화면 예측 오차가 평균 5.8% 감소하였다.

A Vehicle License Plate Detection Scheme Using Spatial Attentions for Improving Detection Accuracy in Real-Road Situations

  • Lee, Sang-Won;Choi, Bumsuk;Kim, Yoo-S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1호
    • /
    • pp.93-101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실제 도로의 다양한 상황에서도 차량 번호판을 정확하게 탐지하기 위해 차량 번호판의 후보 지역을 공간 집중 영역으로 사용하는 차량 번호판 탐지 모델을 제안하였다. 먼저, 기존의 WPOD-NET이 전처리 과정에서 검출된 차량 영역을 이용하기 때문에 넓은 탐지 후보 영역으로 인해 불필요한 노이즈가 포함되어 탐지 정확도가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차량 번호판의 후보 지역을 공간 집중 영역으로 사용하는 차량 번호판 탐지 모델을 제안하였고, 제안한 방법이 기존 WPOD-NET보다 탐지 정확도를 어느 정도 개선하는지 분석하기 위해 GT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적의 공간 집중 영역을 설정한 경우와 함께 탐지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실험에 따르면 제안된 모델이 기존 WPOD-NET에 비해 타이트한 탐지 후보 영역을 갖기 때문에 약 20% 더 높은 탐지 정확도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초고해상도 복원에서 성능 향상을 위한 다양한 Attention 연구 (A Study on Various Attention for Improving Performance in Single Image Super Resolution)

  • 문환복;윤상민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898-910
    • /
    • 2020
  • 컴퓨터 비전에서 단일 영상 기반의 초고해상도 영상 복원의 중요성과 확장성으로 관련 분야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최근 딥러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딥러닝을 활용한 단안 영상 기반 초고해상도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대부분의 딥러닝을 기반으로 하는 단안 영상 기반 초고해상도 복원 연구는 복원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네트워크의 구조, 손실 함수, 학습 방법에 초점이 맞추어 연구가 진행되었다. 한편, 딥러닝 네트워크를 깊게 쌓지 않고 초고해상도 영상 복원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추출된 특징 맵을 강조하는 Attention Module에 대한 연구가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왔다. Attention Module은 다양한 관점에서 네트워크의 목적에 맞는 특징 정보를 강조 및 스케일링 한다. 본 논문에서는 초고해상도 복원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다양한 구조의 Channel Attention과 Spatial Attention을 설계하고, 다양한 관점에서 특징 맵을 강조하기 위해 다중 Attention Module 구조를 설계하여 성능을 분석 및 비교한다.

일반인들의 양극성 장애 경향성에 따른 시공간 주의집중력과 정서 지각 능력의 차이 (Variability in the Visuo-spatial Attention Ability and Emotional Perception Ability Related with Bipolar Disorder Tendency in the Normal Population)

  • 김상엽;정재범;남기춘
    • 감성과학
    • /
    • 제21권2호
    • /
    • pp.145-158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 질환을 진단받지 않은 일반인들이 양극성 장애 경향성에 따라 변화하는 시공간 주의집중력과 정서 지각 능력을 탐구하는 것이다. 양극성 장애 경향성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형 자기보고형 양극성 장애 검사(K-MDQ)를 사용하였고, 시공간 주의집중력와 정서 지각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시공간 주의 과제(useful field of view task)와 정서 지각 과제(emotional perception task)를 사용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는 정신 질환 혹은 기타 의학적 문제가 없는 참가자들만 참여하였고 K-MDQ 점수에 따라 세 집단으로 나뉘어졌다. 시공간 주의 과제 수행 결과, K-MDQ 점수가 높은 집단이 다른 집단들에 비해 수행 수준이 낮았다. 이는 양극성 장애 경향성이 높은 일반인은 시공간 주의집중력의 저하가 나타난 것을 의미했다. 또한 정서 지각 과제 수행 결과, K-MDQ 점수가 높은 집단이 다른 집단들에 비해 부정적 정서 지각 편향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양극성 장애 경향성이 높은 일반인은 부정적 정서 지각 편향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즉, 양극성 장애 경향성이 높은 일반인은 정서 지각 능력이 저하되었음을 의미했다. 이러한 결과는 양극성 장애 환자가 아닌 일반인이 양극성 장애 경향성이 높아지면 양극성 장애 환자에게 나타난 시공간 주의집중력과 정서 지각 능력의 저하가 점진적으로 나타난다는 것을 함의한다.

객체기반의 시공간 단서와 이들의 동적결합 된돌출맵에 의한 상향식 인공시각주의 시스템 (A New Covert Visual Attention System by Object-based Spatiotemporal Cues and Their Dynamic Fusioned Saliency Map)

  • 최경주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460-472
    • /
    • 2015
  • Most of previous visual attention system finds attention regions based on saliency map which is combined by multiple extracted features. The differences of these systems are in the methods of feature extraction and combination. This paper presents a new system which has an improvement in feature extraction method of color and motion, and in weight decision method of spatial and temporal features. Our system dynamically extracts one color which has the strongest response among two opponent colors, and detects the moving objects not moving pixels. As a combination method of spatial and temporal feature, the proposed system sets the weight dynamically by each features' relative activities. Comparative results show that our suggested feature extraction and integration method improved the detection rate of attention region.

GMLP를 이용한 한국어 자연어처리 및 BERT와 정량적 비교 (GMLP for Korea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nd its quantitative comparison with BERT)

  • 이성민;나승훈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21년도 제33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540-543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Multi-Head Attention 대신 Spatial Gating Unit을 사용하는 GMLP[1]에 작은 Attention 신경망을 추가한 모델을 구성하여 뉴스와 위키피디아 데이터로 사전학습을 실시하고 한국어 다운스트림 테스크(감성분석, 개체명 인식)에 적용해 본다. 그 결과, 감성분석에서 Multilingual BERT보다 0.27%높은 Accuracy인 87.70%를 보였으며, 개체명 인식에서는 1.6%높은 85.82%의 F1 Score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GMLP가 기존 Transformer Encoder의 Multi-head Attention[2]없이 SGU와 작은 Attention만으로도 BERT[3]와 견줄만한 성능을 보일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BERT와 추론 속도를 비교 실험했을 때 배치사이즈가 20보다 작을 때 BERT보다 1에서 6배 정도 빠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어린이병원 방문자의 색채지각에 나타난 시각적 주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isual Attention on Color Perception by Visitors of Children's Hospital)

  • 조은길;손광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50-58
    • /
    • 2016
  • The design of children's hospitals is highly dependent on color schemes. As a space shared together by both adults and children, the design of children's hospitals require color coordination that takes account of the users' characteristics. Visual perception tracking experiment was conducted on the 2 chosen experimental images with a target group made up of adults and children,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First, visual attention characteristics of spatial elements' colors were found. The contrast of colors were discovered to effect attention, especially the information desk region showed highest attention. Pillars are subjected to a higher attention relative to other spatial elements, it is suggested when using accent colors to use it only when it is absolutely necessary in partial areas. In contrast, floor patterns were found to be subjected to very low attention relative to other elements. Second, effects of color contrast on visual attention were uncovered. Although color contrast effects attention for both adults and children, children were found to be more effected by color contrast than adults. Especially, children's tendency to rely on color contrast for visual recognition was higher than adults. Since when using only one type on a wide surface children show higher attention on the < vivid > colors than adults, when planning a color coordination for children using < pale > colors instead of < vivid > ones in background for a large surface is seen as a more desired method to increase attention by putting emphasis on the [sharply contrasting] colors.

상업 몰(mall)공간에서 V.P의 주목도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 Feng-GUI와 space syntax를 적용한 평가방법 제안 - (A study on the Evaluation Methodology of Attention to V.P in Commercial Mall Space - Proposal of an Evaluation Method through the application of Feng-GUI and Space Syntax -)

  • 이지성;문정묵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0권5호
    • /
    • pp.51-58
    • /
    • 2011
  • As it gets nearer to the modern society, social and cultural situations are changing and the spatial form of public space is changing into the complex structure where it is interlinked with each other diversely. In particular, as the development of large-scale complex spreads nationwide, the form of complex commercial space assuming the nature of malls appears prominently. In such a large-scale complex commercial space, the diverse visual elements make the environment difficult to be perceived. Like this, the attention in the commercial space where a variety of visual stimuli are in the presence, is important element, so the plan of VP(visual presentation) is needed for effectively selecting or inducing the space. Thus, in this study, human visual and perception process will be reviewed and a method to evaluate the attention will be proposed. Also, the attention of each stores in the complex commercial spaces will be evaluated to propose the indicators for resonable spatial panning in the future.

주의력의 신경심리학 (Neuropsychology of Attention)

  • 김창윤;김성윤
    • 수면정신생리
    • /
    • 제6권1호
    • /
    • pp.26-31
    • /
    • 1999
  • "Attention" is not defined sufficiently. This term incorporates several dimensions or complex information processes such as alertness, spatial distribution, focused attention, sustained attention, divided attention and supervisory attentional control. In practice, however, various aspects of attention cannot be assessed separately with a single test. Moreover, a particular test is never assessing attention only, because the several intervening variables may influence the attentional component. Therefore, one can only assess a certain aspect of human behavior with special interest for its attentional component. This paper attempted to clarify various concepts of attention, reviewed signal detection theories with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ROC) curves, and listed practical methods for assessment of atten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