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ial and temporal patterns

검색결과 334건 처리시간 0.031초

시공간 이동 시퀀스 패턴 마이닝 기법 (Spatial-Temporal Moving Sequence Pattern Mining)

  • 한선영;용환승
    • 응용통계연구
    • /
    • 제19권3호
    • /
    • pp.599-617
    • /
    • 2006
  • 최근 모바일 컴퓨팅 시스템에서 위치 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ystem: LBS)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시공간 이동 시퀀스 마이닝은 이동 경로 데이터로부터 사용자 이동 패턴을 추출하는 새로운 마이닝 기법이다. 시공간 이동 시퀀스 패턴 마이닝은 기존의 빈발 패턴 마이닝 기법과 유사하나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빈발 패턴 마이닝은 장바구니 분석에서와 같이 고객이 구입한 아이템과 관련된 것이나 시공간 이동 시퀀스 패턴 마이닝은 사용자 이동 시퀀스 경로를 대상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의 관심도를 반영하기 위해 해당 위치에서의 소요시간을 고려한다. 본 연구는 대표적인 빈발 패턴 마이닝 기법의 하나인 Apriori 알고리즘에 이동 시퀀스 데이터를 적용하여 Apriori_msp 알고리즘을 제안하였으며 성능 평가를 수행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시각적 공간분석학 기법을 활용한 지역별 수출화물 발생패턴 유형화 (Classification of Regional Export Freight Generation based on Geovisual Analytics)

  • 이정윤;안재성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5권3호
    • /
    • pp.311-322
    • /
    • 2007
  • 시각적 공간분석학은 인간의 공간인지 및 분석 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다양한 시각화 도구를 개발함으로써 복잡한 시공간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분석하는 학문으로, 궁극적으로는 인간의 추론능력과 시각적 분석도구의 효과적인 융합을 목적으로 한다. 시각적 공간분석학은 최적의 의사결정지원 도구를 개발하는 방법론으로 그 활용 범위가 매우 넓은데, 최근에는 지리적 시각화의 연구 전통을 계승하여 새로운 시각화 도구를 개발하고 다양한 분석을 통해 그 유용성을 확인하는 연구들이 시작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에 제안된 시각화 도구인 T 산포도와 전산분석법을 통합하여 우리나라 지역별 수출화물 발생패턴을 7개 유형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공간의사결정 지원과정에서 시각적 공간분석학의 다양한 활용 가능성을 제시해주고 있다.

  • PDF

문화콘텐츠 상품 확산의 시·공간적 특성 -싸이의 "강남스타일" 뮤직비디오를 중심으로- (Spac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Cultural Contents Diffusion: The Case of PSY's "Gangnam Style" Music Video)

  • 이금숙;김호성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24-241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콘텐츠 상품의 소비 및 확산에 나타나는 시공간적 특징을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최근 전 세계적 인기를 누리며 확산되고 있는 싸이의 "강남스타일" 뮤직비디오의 확산과정을 분석한다. 특히 싸이의 "강남스타일"이 유튜브에 탑재된 이후 4~6개월간의 지역별 유튜브 조회 수와 트윗 자료 및 구글 검색 수를 바탕으로 이들이 확산되어 나가는 과정의 시공간적 특성을 파악 한다. 분석 결과 뮤직비디오와 같은 문화콘텐츠 상품의 경우 물리적인 공간 거리와 무관할 수 있는 온라인 매체를 통한 확산의 경우도 지역에 따라 전파되는 시점과 전개 과정이 상이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언어, 문화적 연관성 및 한류에 대한 호의성 및 배타성 등으로 정의될 수 있는 문화적 거리가 이러한 문화 상품의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기호공간에서 이동객체 스트림 데이터의 연속 시공간 셀프조인 질의 (Continuous Spatio-Temporal Self-Join Queries over Stream Data of Moving Objects for Symbolic Space)

  • 황병주;이기준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8권1호
    • /
    • pp.77-87
    • /
    • 2010
  • 시공간 조인은 이동객체와 같이 시공간의 특성을 가지는 데이터를 처리할 때 요구되는 중요한 연산자로, 이동객체들의 움직임을 분석하거나 이동객체들의 시공간적 패턴을 찾는 것과 같이 다양하게 활용된다. 현재까지 실외공간에서의 시공간 조인 질의에 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어왔다. 최근에는 실내측위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실외뿐만 아니라 실내에서도 다양한 위치기반 서비스가 점진적으로 제공되고 있으며, 특히 이동객체를 중심으로 다양한 응용 서비스들을 필요로 하게 된다. 하지만 실내공간에서의 시공간 조인에 관한 연구는 아직 전무하다. 본 논문에서는 실내공간에서 실시간으로 갱신되는 이동객체에 대한 연속 시공간 셀프조인 질의와 질의처리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연속 시공간 셀프조인 질의는 주어지는 특정 시간과 공간의 조건을 만족하는 모든 쌍들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속적으로 갱신하는 질의이다. 본 논문에서는 방이나 복도와 같이 특정한 기호를 중심으로 이동객체의 위치를 표현하며 이러한 특징을 가지는 공간을 기호공간이라 한다. 그리고 방대한 스트림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필터링하고 관리하기 위한 후보쌍 버퍼 테이블이라는 자료구조와 이를 활용한 질의처리 방법론을 제안하였으며 실험을 통해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의미 패턴 추출을 위한 이동 객체의 위치 일반화 (Location Generalization of Moving Objects for the Extraction of Significant Patterns)

  • 이연식;고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451-458
    • /
    • 2011
  • 최적 이동 경로 탐색이나 스케줄링 경로 예측 등 최적의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이동 객체의 위치 이력 데이터들에 대한 시공간적 속성들을 고려한 이동 객체들의 의미 있는 이동 패턴 추출 기법이 요구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의미 있는 이동 패턴 추출을 위하여 이동 객체의 연속적 위치 변화를 보다 효과적으로 패턴화하고 2차원 공간 영역으로의 인덱싱을 위한 $R^*$-tree 기반의 이동 객체 위치 속성 일반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위치 일반화 방법은 이동 객체들의 각 공간 영역 데이터를 이용하여 영역 간의 시간 간격에 대한 제약을 만족하는 이동 시퀀스를 생성하며, 생성된 이동 시퀀스들을 통하여 의미 있는 이동 패턴들을 추출한다. 추출된 이동 패턴들은 최적의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이동 객체의 시간 패턴 마이닝이나 객체의 이동 추이 분석 등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Temporal and Spatial Expression Patterns of Nine Arabidopsis Genes Encoding Jumonji C-Domain Proteins

  • Hong, Eun-Hye;Jeong, Young-Min;Ryu, Jee-Youn;Amasino, Richard M.;Noh, Bosl;Noh, Yoo-Sun
    • Molecules and Cells
    • /
    • 제27권4호
    • /
    • pp.481-490
    • /
    • 2009
  • Diverse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s of histones, such as acetylation and methylation, play important roles in controlling gene expression. Histone methylation in particular is involved in a broad range of biological processes, including heterochromatin formation, X-chromosome inactivation, genomic imprinting, and transcriptional regulation. Recently,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proteins containing the Jumonji (Jmj) C domain can demethylate histones. In Arabidopsis, twenty-one genes encode JmjC domain-containing proteins, which can be clustered into five clades. To address the biological roles of the Arabidopsis genes encoding JmjC-domain proteins, we analyzed the temporal and spatial expression patterns of nine genes. RT-PCR analyses indicate all nine Arabidopsis thaliana Jmj (AtJmj) genes studied are actively expressed in various tissues. Furthermore, studies of transgenic plants harboring AtJmj::${\beta}$-glucuronidase fusion constructs reveal that these nine AtJmj genes are expressed in a developmentally and spatially regulated manner.

시퀀스 빈발도와 가중치를 이용한 최적 이동 패턴 탐사 (Optimal Moving Pattern Mining using Frequency of Sequence and Weights)

  • 이연식;박성숙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79-93
    • /
    • 2009
  • 사용자들의 특성에 맞게 개인화되고 세분화된 위치 기반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공간 상에서 발생하는 이동 객체의 다양한 패턴들 중 의미있는 유용한 패턴을 추출하기 위한 시공간 패턴 탐사가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방대한 이동 객체의 이력 데이터로부터 패턴 탐사를 통해 실세계에 적용 가능한 위치 기반 서비스의 개발에 대한 응용으로, STOMP(F)[25]에서 정의한 최적의 이동 패턴을 탐사하는 문제들을 기반으로 시간 및 공간 제약을 갖는 패턴을 추출하기 위한 새로운 탐사 기법인 STOMP(FW)를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패턴 빈발도 만을 이용한 기존 연구(STOMP(F)[25])에 가중치(거리, 시간, 비용 등)를 복합적으로 이용하는 패턴 탐사 방법으로, 특정한 지점들 사이를 이동한 객체의 이동 패턴들 중 패턴 빈발도가 특정 임계치 이상이고 가중치가 가장 적게 소요되는 이동 패턴을 최적 경로로 결정하는 방법이다. 제안된 방법의 패턴 탐사는 경험적인 이동 이력을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최적 경로 탐색 기법들($A^*$, Dijkstra 알고리즘)이나 빈발도 만을 이용한 방법들 보다 접근하는 노드 수가 상대적으로 적어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최적 패턴을 탐색할 수 있음을 보인다.

  • PDF

수자원 분포의 시공간적 변동 (Temporal Variation and Spatial Distribution of Water Resources)

  • 김성준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175-196
    • /
    • 2002
  • The increase of meteorological uncertainty and unstable fluctuation of its behavior due to the global warming affect the temporal variation and spatial distribution of water resources and water use patterns in agriculture. There have been steady efforts to understand hydrological components and deal with such water related problems. This paper reviews firstly, the future effect of water resources due to climate changes, secondly, recent progress for precipitation, evapotranspiration, soil moisture, and thirdly, GIS/RS based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s conducted by both researchers and government ministries. There should be continuous studies and investments to cope with climate changes, and to accomplish sustainable development with the help of agricultural water resources. Some research topics were suggested to attempt with substantial contents considering our present capability and situation.

Inhibition of Submerged Macrophytes on Phytoplankton I. Field Evidence for Submerged Macrophyte Inhibition on Phytoplankton Biomass

  • Joo, Sung-Bae;Ji, Young-Jung;Park, Sang-Kyu
    • 생태와환경
    • /
    • 제40권4호
    • /
    • pp.511-519
    • /
    • 2007
  • It is known that phytoplankton biomass or turbidity are lower in waters with submerged macrophytes than those without submerged plants at a given nutrient level. We hypothesize that presence of submerged macrophytes would lower phytoplankton biomass below levels expected by total phosphorus levels through various mechanisms and that phytoplankton biomass would decrease more as the biomass increase of the submerged macrophytes. To find submerged macrophytes effectively lowering phytoplankton growth, we conducted spatial field surveys at 21 water bodies and a temporal monitoring at Seung-un 1 Reservoir, Anmyyeondo Island. We measured chlorophyll ${\alpha}$ concentrations and total phosphorus (TP) concentrations from waters in patches of submerged macrophytes with measurements of submerged plant biomass. Majority of our sites with submerged macrophytes showed much less chlorophyll a concentrations than the predicted ones from literature. Among submerged macrophytes studied, Myriophyllum spicatum and Hydrilla verticillata showed patterns of lowering chlorophyll ${\alpha}/TP$ ratios with increase of their biomass in both spatial and temporal surveys.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한 서울시 아파트 실거래가 변인의 시공간적 이질성 분석 (An Analysis on the Spatio-temporal Heterogeneity of Real Transaction Price of Apartment in Seoul Using the Geostatistical Methods)

  • 김정희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75-81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아파트 실거래가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공간적 이질성을 시공간적인 측면에서 탐색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아파트 실거래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되는 독립변수로서 교통 및 지역적 특성과 교육여건, 인구 경제적 특성을 고려하였다. 따라서 전역적인 측면과 국지적인 측면에서 독립변수의 영향력과 공간상의 분포패턴을 분석하였으며, 종속변수인 아파트 실거래가의 시공간적인 변화패턴을 살펴보았다. 먼저, 분석모형 구축을 위해 일반최소제곱분석과 지리가중회귀분석을 수행하여 보다 효율적이고 적합한 모형을 채택하였다. 2010년과 2013년의 모형 분석결과는 유사한 패턴을 보이며, 두 시기 모두 지리가중회귀모형이 일반최소제곱모형보다 더 설명력이 있는 모형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채택된 지리가중회귀모형을 이용하여 독립변수의 시공간적 이질성을 파악하기 위해 Local $R^2$를 이용하여 국지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Local $R^2$값은 지역별로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공간상의 이질성이 존재함을 보여주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셋째, 지리가중회귀분석 시 종속변수로 사용했던 아파트 실거래가의 시기별/전용면적별 공간분포를 살펴보기 위해 크리깅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아파트 실거래가와 같은 공간데이터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적 환경도 지역별 이질성이 크기 때문에 공간적 편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미시적인 주택하위시장분석을 수행할 수 있고, 부동산정책을 수립하는데 근간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