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thulenol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3초

초임계 유체 추출법을 이용한 용담사간탕(龍膽瀉肝湯) 약침액(藥鍼液)의 정유(精油)성분에 대한 연구(硏究) (The Study on the Composition of Yongdamsagan-tang(龍膽瀉肝湯)'s Essential Oil Obtained by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 이재은;김병우;임태진;김동희;;;권기록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77-187
    • /
    • 2008
  •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effective components of essential oil obtained from Yongdamsagantang, which has been efficacious against leukorrhea in gynecologic diseases. Methods : I obtained the essential oils of Yongdamsagan-tang by hydrodistillation extraction method and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SFE) method, and then I analyzed those by GC/MS(Gas Chromatography/Mass Spectrum). Results : 1. The optimum SFE(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condition was obtained in the following experiment conditions: pressure 200atm, temperature $45^{\circ}C$, duration of extraction 25minutes. 2. With GC(Gas Chromatography) and GC/MS(Gas Chromato- graphy/Mass Spectrum) analysis, I identified 37 compounds in the Yongdamsagan-tang's essential oil obtained through the SFE method. The main compounds were as follows : 3-Methyl-but-2-enoic acid,2,2-dimethyl-8-oxo-3,4-dihydro-2H,8H -pyrano[3,2-g]chromen-3-yl ester(49.81%), (Z)-6-Pentadecen-1 -ol(3.19%), (-)-Spathulenol(2.40%). 3. I identified 4 compounds in the Yongdamsagan-tang's essential oil obtained through the hydrodistillation method. The main compounds were as follows : 3-Methyl-but-2-enoic acid, 2,2-dimethyl-8-oxo-3,4-dihydro-2H,8H-pyrano [3,2-g]chromen-3-yl ester(2.61%). 4. 3-Methy I-but-2-enoic acid, 2,2-dimethyl-8-oxo-3,4-dihydro-2H,8H-pyrano[3,2-g] chromen-3-yl ester, all were identified in both the SFE method and the hydrodistillation method, but the others were not identified in common. 5. I also conducted an additional test in order to examine the essential oil's antimicrobial action against bacteria. Both MIC(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and MBC(Minimum Bactericidal Concentrations) were $0.125mg/m{\ell}$ against N. meningitidis, however MIC and MBC were $1.0mg/m{\ell}$ in antimicrobial action against 12 different genera of bacteria.

Chemical composition, antioxidant potential and cyto-protecting activity of essential oil of Liriodendron tulipifera L. leaves

  • Yadav, Anil Kumar;Kim, Sang Ho;Kang, Sun Chul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1-9
    • /
    • 2015
  • Objectives : The present study was under taken to characterize chemical composition, antioxidant and cyto-protecting capacity of essential oil obtained from leaves of Liriodendron tulipifera L. Methods : Essential oil from the leafof L. tulipifera L. (EOLL) was extracted by hydro-distillation process and further its chemical composition was evaluated by GC-MS analysis. The in vitro antioxidant potential of the EOLL was determined by DPPH , ABTS ●+, superoxide and nitric oxid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using different concentrations in the range of 50-800 μg/mL. In addition, cyto-protecting property of the EOLLwas determined by MTT assay on Raw 264.7 macrophage cells challenged with hydrogen peroxide (H 2 O 2 ). Results : The result of GC-MS analysis showed presence of 34 volatile compounds, principally germacrene D, spathulenol, and α -cadinol in EOLL. The in vitro antioxidant assays of EOLL at the highest used concentration of 800 μg/mL showed 81.62, 84.29, 83.59 and 58.59% inhibition of DPPH , ABTS ●+, superoxide, and nitric oxide radicals, respectively. It also showed ferric reducing ability with 1310.04 mM Fe (II)/g of essential oil. The EOLL at three different concentrations (200, 400 and 800 μg/mL) protected the cells from H 2 O 2 -induced cell damage through scavenging intracellular ROS. Conclusion : The findings from the study suggest that essential oil isolated from leaves of L tulipifera L. is a potent sources of natural antioxidants, which could be used to treat the diseases associated with oxidative stress condition.

구절초, 국화, 마리골드 및 캐모마일 꽃차의 향기 성분 비교 (Comparative Profiling of Volatiles in Flower Tea of Dendranthema zawadskii var. latilobum, Chrysanthemum morifolium, Tagetes erecta, and Matricaria chamomilla)

  • ;이영상;오승영;박석근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09-109
    • /
    • 2020
  • 꽃차(Flower tea)는 최근 다양한 제품이 개발되고 소비가 확대되는 등 그 산업적 가치가 증대하고 있다. 꽃차의 향기 특성은 우렸을 때 나타나는 색깔 및 인체에서의 생리활성과 더불어 주요한 꽃차 품질결정 요소이다. 본 연구는 꽃차로의 이용이 활발한 국화과 식물 중 구절초(Dendranthema zawadskii var. latilobum), 국화(Chrysanthemum morifolium), 노랑색 및 주황색 마리골드(Tagetes erecta 'Yellow' and 'Orange'), 그리고 캐모마일(Matricaria chamomilla)의 향기 성분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제조된 꽃차를 headspace-solidphase microextraction/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HS-SPME/GC-MS)를 이용하여 분리, 동정하였다. 국화과 꽃차로부터 총 117종의 휘발성 성분이 확인되었는데, 각 꽃차 종류별 동정된 휘발성 성분의 개수, 주요 3개 휘발성 성분과 전체 향기성분 peak중 이들이 차지하는 구성비율(%)은 다음과 같았다: 구절초 64종, camphor (31%), α-pinene(14%), camphene(14%); 국화 60종, camphor(15%), chrysantheny acetate(13%), eucalyptol (11%); 마리골드 '옐로우' 53종, 2,4-heptadienal(26%), trans-isocarveol(21%), cis-β-Copaene(18%); 마리골드 '오렌지' 61종, β-caryophyllene(16%), β-ocimene epoxide(12%), β-ocimene(12%); 캐모마일 50종, β-farnesene(63%), nonane(9%), spathulenol(5%). 국화과 꽃차 5종 모두에서 공통적으로 검출된 성분은 β-caryophyllene, α-pinene, β-farnesene 등 10종이었으며 마리골리 '옐로'는 '오렌지'와 주요 향기성분의 조성에서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비록 그 함량은 낮았으나 구절초, 국화, 마리골드 '오렌지', 그리고 캐모마일은 각각 10종, 12종, 3종 및 13종이었다. 마리골드 '엘로'의 경우 검출된 모든 향기성분은 마리골드 '오렌지'나 다른 국화과 식물의 꽃차에서도 검출된 바, 향기 성분이 다양성이 다소 낮게 나타났다.

  • PDF

광릉쥐오줌풀, 넓은잎쥐오줌풀, 네팔산쥐오줌풀의 정유성분(精油成分)차이 (Differences of Essential Oil Content in Valeriana fauriei var. dasycarpa Hara, V. officinalis var lalfolia Miq and V. wallichii DC)

  • 최영현;김영회;이종철;조정환;김충수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217-225
    • /
    • 1995
  • 한국산(韓國産) 식물자원(植輪資源)을 발굴(發掘)하여 약용(藥用) 또는 향료자원(香料資源)으로서의 활용을 목적으로 국내(國內)에서 자생(自生)하고 있는 쥐오줌풀 중 광릉쥐오줌풀 및 넓은잎쥐오줌풀과 세계시장에서 유통(流通)되고 있는 네팔산(産) 쥐오줌풀과의 유효성분(有效成分) 차리(差異)를 조사(調査)하였다. 정유성분(精油成分) 함량(含量)은 광증릉쥐오줌풀이 1.7%, 넓은잎쥐오줌풀과 네팔산(産) 쥐오줌풀에서는 각각 0. 82% 및 0. 83% 이었다. GC 및 GC-MS 분석에 의해 광릉쥐오줌풀의 정유(精油)에서 47종(種), 넓은쥐오줌풀에서는 21종(種) 그리고 네팔산(産) 쥐오줌풀에서는 25종(種)의 성분(成分)을 동정하였다. 확인된 성분들 증 광릉쥐오줌풀의 정유(精油)에서는 bornyl acetate(전체(全體) 정유(精油)의 33, 8%), camphene (10. 8%), cedrol (4. 1%) , ${\alpha}-pinene$(3. 2%), 분자양(分子量) 222의sesquiterpene alcohol(3%)이 주성분(主成分)이었고 넓은잎쥐오줌풀에서는 borneol (62. 5%), ${\beta}-sesquiphellandrene$(6.8%) , spathulenol (2. 1%) 그리고 네팔산(産) 쥐오줌풀에서는 borneol(74.3%), {\alpha}-elemene(2. 7%)$${\beta}-sesquiphellandrene$(2.3%)이 주성분(主成分)이었다. 쥐오 줌풀의 약리효능(藥理效能)의 원인물질(原因物質)들 중 valeranone, valrrenal, $[\alpha}-kessyl\;acetate$는 넓은잎쥐오줌풀이나 네팔산(産) 쥐오줌풀보다는 광릉쥐오줌풀에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kessoglycol diacetate는 세 시료 모두에서 검출(檢出)되지 않았다. Valepotriate계열(系列) 화합물의 함량(含量)은 네팔산(産) 쥐오줌풀이 광릉쥐오줌풀이나 넓은잎쥐오줌풀보다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광릉쥐오줌풀은 넓은잎쥐오줌풀에 비해 항산화첨성(抗酸化添性)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 PDF

인삼분말 및 증류액의 혼합첨가가 돈가스의 지방산화, 관능특성 및 향미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inseng Powder and Distillate on Lipid Oxidation, Sensory Properties and Flavor Profiles of Pork Cutlet)

  • 조수현;김진형;손현주;박범영;황인호;김학균;유영모;김용곤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9-45
    • /
    • 2003
  • 인삼 분말 및 증류액을 첨가하여 제조한 돈가스는 CIE로 측정한 결과 대조구와 비교하여 L값(lightness)이 유의적으로 낮고 a값(redness)이 유의적으로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저장 실험 결과 TBA값은 인삼분말 및 증류액 첨가구가 대조구와 비교하여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낮게 나타났다. 조직특성에 있어서 인삼증류액 또는 분말을 처리한 돈가스 처리구를 2$0^{\circ}C$에서 약 8주간 냉동저장시 초기에만 경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그 이외에 돈가스의 탄력성, 응집성 및 씹힙성에서는 처리구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저장기간 동안 인삼분말과 증류액을 혼합하여 처리한 첨가구가 인삼분말만 혼합한 처리구와 비교하여 돈육향미는 낮고 인삼만 및 향미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Pl.5Dl.5 처리구가 인삼 맛과 향미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인삼향기성분은 주로 spahulenol, panasinsanol, neointermedol, ginsenol 등 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삼분말 단독첨가보다 증류액과 혼합첨가한 처리구내 인삼향기 성분이 더 많이 검출되었다. 한편, 관능평가 결과 인삼분말 및 증류액을 혼합 첨가한 처리구가 인삼 향미 및 인삼 맛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인삼증류액은 인삼분말과 혼합하여 육가공품 제조시 이용한다면 항산화 효과와 함께 천연 향미강화제로도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추측된다.

추출방법에 따른 솔잎의 휘발성 성분 조성 비교 (Determination of Aroma Components in Pinus densiflora (Pine Needles) Studied by Using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 이재곤;이창국;백신;권영주;장희진;곽재진;이문수;이계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61-168
    • /
    • 2006
  • 식물체의 향기성분을 분리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headspace(DHS, RPHS)법, SPME법, SDE법, SFE법과 최근에 개발된 PDE법으로 솔잎의 휘발성 성분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성분을 Ge/MS를 이용하여 총 65종의 휘발성 성분을 확인하였다. 확인된 성분은 terpene류 25종, alcoholfb류 16종, carbonyls류 9종, esters류 6종, acids류 7종, esters 화합물이 2종인 것으로 나타났다. Headspace(DHS, RPHS)법과 SPME 법에서는 휘발성이 강한 ethyl acetate, 2-ethyl furan, $\beta$-myrcene 등과 같은 저비점 휘발성 성분들이 많이 추출되었다. 반면에, 고비점 휘발성 성분들인 nerolidol, spathulenol, benzoic acid 등은 휘발 성분 추출시 열이 가해지는 SDE법, SFE법, PDE법 등에서는 확인되었으나 headspace법과 SPME법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들 6가지 추출방법에서 저비점 휘발성 성분 분석에는 headspace(DHS)법이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비점 휘발성 성분 분석에는 SDE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에 개발된 PDE법은 SDE법에 비해 추출효율 변에서 약간 떨어지나 전처리 방법이 간단하므로 짧은 시간에 많은 시료를 분석할 때 가장 적합한 방법인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