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ce-time codes

검색결과 180건 처리시간 0.031초

Combination of Array Processing and Space-Time Coding In MC-CDMA System

  • Hung Nguyen Viet;Fernando W. A. C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4년도 ICEIC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onics Informations and Communications
    • /
    • pp.302-309
    • /
    • 2004
  • The transmission capacity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may become dramatically high by employ multiple transmit and receive antennas with space-time coding techniques appropriate to multiple transmit antennas. For large number of transmit antennas and at high bandwidth efficiencies, the receiver may become too complex whenever correlation across transmit antennas is introduced. Reducing decoding complexity at receiver by combining array processing and space-time codes (STC) helps a communication system using STC to overcome the big obstacle that prevents it from achieving a desired high transmission rate. Multi-carrier CDMA (MC-CDMA) allows providing good performance in a channel with high inter-symbol interference. Antenna array, STC and MC-CDMA system have a similar characteristic that transmit-receive data streams are divided into sub-streams. Thus, there may be a noticeable reduction of receiver complexity when we combine them together. In this paper, the combination of array processing and STC in MC-CDMA system over slow selective-fading channel is investigated and compared with corresponding existing MC-CDMA system using STC. A refinement of this basic structure leads to a system design principle in which we have to make a trade off between transmission rate, decoding complexity, and length of spreading code to reach a given desired design goal.

  • PDF

홉 카운트 정보를 이용한 스페이스와이어 네트워크 시각동기화 방안 (Time Synchronization over SpaceWire Network using Hop Count Information)

  • 류상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15-718
    • /
    • 2016
  • 우주 비행체의 온보드(on-board) 데이터 처리를 위해 고안된 스페이스와이어(SpaceWire)에는 네트워크의 시각 동기화를 위한 타임코드(time-code)가 정의되어있다. 타임코드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되는 과정에서 전송 지연 및 지터(jitter)가 발생하며 이것은 시각 동기화 오차의 주요 원인이 된다. 본 논문은 스페이스와이어 표준에 정의되어 있는 타임코드를 확장하여 스페이스와이어 네트워크의 시각 동기화 오차를 줄이는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안은 타임코드의 전송 지터에 따른 오차를 제거하고 타임코드가 링크를 거칠 때마다 발생하는 전송 지연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그 효과는 OMNeT++을 이용하여 개발된 스페이스와이어 네트워크 시뮬레이션 환경을 이용하여 검증한다.

  • PDF

Performance Analysis of Space-Time Codes in Realistic Propagation Environments: A Moment Generating Function-Based Approach

  • Lamahewa Tharaka A.;Simon Marvin K.;Kennedy Rodney A.;Abhayapala Thushara D.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7권4호
    • /
    • pp.450-461
    • /
    • 2005
  • In this paper, we derive analytical expressions for the exact pairwise error probability (PEP) of a space-time coded system operating over spatially correlated fast (constant over the duration of a symbol) and slow (constant over the length of a code word) fad­ing channels using a moment-generating function-based approach. We discuss two analytical techniques that can be used to evaluate the exact-PEPs (and therefore, approximate the average bit error probability (BEP)) in closed form. These analytical expressions are more realistic than previously published PEP expressions as they fully account for antenna spacing, antenna geometries (uniform linear array, uniform grid array, uniform circular array, etc.) and scattering models (uniform, Gaussian, Laplacian, Von-mises, etc.). Inclusion of spatial information in these expressions provides valuable insights into the physical factors determining the performance of a space-time code. Using these new PEP expressions,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antenna spacing, antenna geometries and azimuth power distribution parameters (angle of arrival/departure and angular spread) on the performance of a four-state QPSK space-time trellis code proposed by Tarokh et al. for two transmit antennas.

개선된 ABAB 형 준직교 시공간 블록 부호 (Improved ABAB Type Quasi-orthogonal Space-Time Block Codes)

  • 김창중;여승준;이호경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6권4호
    • /
    • pp.70-76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ABAB 형 준직교 시공간 부호(Quasi-Orthogonal Space-Time Block Code; QOSTBC)에 사용되는 전처리 과정을 설계하는 조건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설계 조건은 최대 다이버시티 및 최대 전송율(Full Diversity and Full Rate; FDFR), 단일 심볼 복호 능력, 향상된 부호 이득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설계 조건을 이용하여 개선된 ABAB 형 QOSTBC를 설계하였다. 이 QOSTBC는 기존에 Dalton이 제안했던 ABAB 형 QOSTBC 부호 보다 뛰어난 성능을 가질 뿐 아니라, 동일하게 FDFR을 충족하며, PAM 신호 성좌가 사용되는 경우, 단일 심볼 복호가 가능하다.

LTE 하향링크에서 단말의 이동 속도에 따른 적응적 차등 시공간블록부호 복호화 기법 (An Adaptive Detection Scheme of Differential Space-Time Block Codes for Mobiles Operating with Various Speeds in LTE Downlink Scenario)

  • 김득규;황재균;김병길;최병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11-614
    • /
    • 2012
  • 시공간 블록 부호화(STBC: Space-Time Block Code) 기법은 단순하면서도 효과적인 다이버시티 기법으로 WCDMA, HSDPA 및 LTE 이동통신 표준에 채택되었다. 이러한 STBC 기법은 페이딩 채널의 추정 정확도에 따라 그 성능이 좌우된다. 채널 추정을 위한 기준 심볼의 오버헤드를 수용할 수 없거나 고속으로 이동하는 모바일의 경우 채널 추정이 힘든 경우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차등 시공간 블록 부호화(DSTM: Differential Space-Time Modulation) 기법들이 제안되어 왔다. 이 기법들은 채널 추정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위와 같은 고속 이동 환경에 적합한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속도로 이동하는 모바일 채널에 LTE 파라미터를 적용하여 기존의 STBC 및 DSTM의 성능을 고찰해 보고, 단말에 적용 가능한 적응적 DSTM 복호 기법을 제안하여 그 성능을 고찰하였다.

  • PDF

폐-루프 다중안테나시스템에서 제한된 피드백을 이용한 시공간블록부호기술의 적용 (Unitary precoding space time block coding with limited feedback)

  • 김정미;오동진;김철성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5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85-88
    • /
    • 2005
  • Space-time code is a good solution to get transmit diversity. During the last years a number of space-time block codes have been proposed for use in multiple transmit antenna systems. This code, however, was presented only for the special case of the certain numbers of transmit antennas and the certain modulation schemes. and designed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 transmitter has no knowledge about the channel. In this work, on the other hand, we consider the case when the transmitter has partial, but not perfect knowledge about the channel. This system can have full diversity for arbitrary number of the transmit antennas with a little bits of feedback.

  • PDF

A Study on Complexity Reduction for Space-Time Block Codes Decoder in MIMO OFDM systems

  • Pham, Van-Su;Le, Minh-Tuan;Mai, Linh;Yoon, Gi-Wan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5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117-121
    • /
    • 2005
  • In this work, we first present our study on the decoding schemes for space-time block code as well as our comments on their complexity. Then, we propose a new modified complex sphere decoding scheme, which has lower computational load than that of conventional complex sphere decoders. In the proposed scheme, the boundary for searching is defined by the intersection of an approximate polygon of searching circle and disk of lattice constellation. Therefore, the proposed scheme can reduce the searching boundary and it can avoid missing searching points as well.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cheme, which is verified by computer simulations, consolidates our scheme.

  • PDF

Complexity Reduction for Space-Time Block Codes Decoder in MIMO OFDM Systems

  • Pham Van-Su;Le Minh-Tuan;Mai Linh;Yoon Giwan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3권2호
    • /
    • pp.72-75
    • /
    • 2005
  • In this work, we first present our study on the decoding schemes for space-time block code as well as our comments on their complexity. Then, we propose a new modified complex sphere decoding scheme, which has lower computational load than that of conventional complex sphere decoders. In the proposed scheme, the boundary for searching is aided with the intersection of approximate polygon of searching circle and disk of constellation. Therefore, the proposed scheme can reduce the searching boundary while can avoid missing searching points.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cheme is verified by computer simulation that consolidates our scheme.

타임코드 확장을 통한 스페이스와이어 네트워크의 시각 동기화 성능 개선 (Improvement of Time Synchronization of SpaceWire Network through Time-Code Extension)

  • 류상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724-730
    • /
    • 2017
  • 항공우주분야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현을 위해 고안된 스페이스와이어에는 네트워크의 시각 동기화를 위한 타임코드가 정의되어있다. 스페이스와이어 네트워크에서 타임코드가 링크를 통과할 때마다 14[bit-period]의 전송 지연과 최대값이 10[bit-period]인 전송 지터가 발생하며 이것은 시각 동기화 오차의 주요 원인이다. 본 논문은 스페이스와이어 표준에 정의되어 있는 타임코드를 확장하여 시각 동기화 성능을 개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타임 마스터와 시각 동기화를 수행하는 노드들은 확장된 타임코드들을 이용하여 시각 정보가 전송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전송 지연과 지터를 파악하고 이를 이용하여 시각 동기화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제안된 방법의 효과는 OMNeT++ 기반의 스페이스와이어 네트워크 시뮬레이션 환경을 이용하여 분석되었으며 그 결과 수 [bit-period] 이내의 오차로 시각 동기화가 가능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제안된 방법은 소규모 스페이스와이어 네트워크 시스템에 적합하며 이전 연구 결과들에 비해 구현에 따른 비용 대비 매우 효과적인 성능 향상을 얻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