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ace weather effects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6초

Development of UAV Teleoperation Virtual Environment Based-on GSM Networks and Real Weather Effects

  • AbdElHamid, Amr;Zong, Pe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 /
    • 제16권3호
    • /
    • pp.463-474
    • /
    • 2015
  • Future Ground Control Stations (GCSs)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UAVs) teleoperation targets better situational awareness by providing extra motion cues to stimulate the vestibular system. This paper proposes a new virtual environment for long range Unmanned Aerial Vehicle (UAV) control via Non-Line-of-Sight (NLoS) communications, which is based on motion platforms. It generates motion cues for the teleoperator for extra sensory stimulation to enhance the guidance performance. The proposed environment employs the distributed component simulation over GSM network as a simulation platform. GSM communications are utilized as a multi-hop communication network, which is similar to global satellite communications. It considers a UAV mathematical model and wind turbulence effects to simulate a realistic UAV dynamics. Moreover, the proposed virtual environment simulates a Multiple Axis Rotating Device (MARD) as Human Machine Interface (HMI) device to provide a complete delay analysis. The demonstrated measurements cover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capabilities, NLoS GSM communications delay, MARD performance, and different software workload. The proposed virtual environment succeeded to provide visual and vestibular feedbacks for teleoperators via GSM networks. The overall system performance is acceptable relative to other Line-of-Sight (LoS) systems, which promises a good potential for future long range, medium altitude UAV teleoperation researches.

Effects of Geography, Weather Variability, and Climate Change on Potato Model Uncertainty

  • Fleisher, D.H.;Condori, B.;Quiroz, R.;Alva, A.;Asseng, S.;Barreda, C.;Bindi, M.;Boote, K.J.;Ferrise, R.;Franke, A.C.;Govindakrishnan, P.M.;Harahagazwe, D.;Hoogenboom, G.;Naresh Kumar, S.;Merante, P.;Nendel, C.;Olesen, J.E.;Parker, P.S.;Raes, D.;Raymundo, R.;Ruane, A.C.;Stockle, C.;Supit, I.;Vanuytrecht, E.;Wolf, J.;Woli, P.
    • 한국농림기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림기상학회 2016년도 추계 학술발표논문집
    • /
    • pp.41-43
    • /
    • 2016
  • PDF

기상자료와 냉난방 실측자료를 이용한 열부하 추정과 예측: 다계층모형의 활용 (Estimation and Prediction of the Heat Load Profile Using Weather and Heating/Cooling Data : An Application of the Multilevel Model)

  • 문춘걸;김수덕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16권4호
    • /
    • pp.803-832
    • /
    • 2007
  • 새로운 접단에너지 사업에 대한 경제성 평가와 기존 집단에너지 시설의 최적운용을 위해서는 적어도 시간대 단위로 계측된 세부용도별 에너지 부하패턴에 관한 정보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자료와 냉난방 실측자료를 활용하여 열부하를 추정 예측하기 위하여 다계층모형을 선태하였다. 다계층모형은 수집한 자료의 패널자료 특성을 유연하게 모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계층모형을 일대일의 대응관계에 있는 선형혼합효과모형으로 변환한 후 패널 FGLS(연산가능한 일반화최소자승추정법)를 적용하여 세부용도별로 열부하모형을 추정하였다. 추정된 부하모형은 온도, 습도, 시간대, 요일, 설날연휴/추석연휴 등 법정공휴일 특성, 난방면적/냉방면적이 열에너지사용량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고 있다. 지면을 고려하여 본 논문에서는 가정용 난방부하모형의 추정치와 난방부하곡선의 예측치에 제한하여 실증결과를 설명하고 있다.

  • PDF

국내 통합기준점에서 지자기 편각 조사의 타당성 연구 (A Study on the Feasibility of Geomagnetic Declination Investigation at Unified Control Points in South Korea)

  • 이용창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9-38
    • /
    • 2016
  • 우주전파환경 변화의 중요성과 스마트 폰 및 드론과 같은 지자기 방향성과 연계된 전자장비의 보편화로 지자기 편각성분에 대한 효율적인 관측 방안 및 지자기 교란 영향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외에 설치된 통합기준점을 방위표지로 한 지자기 편각관측의 타당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 중앙에 위치하며 INTERMAGNET에 가입된 청양 지자기관측소 자료를 활용하여 지자기 성분의 일변화 및 교란수준을 KP, KK와 연계하여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국내 지역 내, 통합기준점 3곳 및 개활지 1곳에 대한 지자기편각 관측을 수행하였다. 통합기준점을 활용한 편각측정의 타당성 검토를 위한 비교 기준으로 세계지자기모델을 선정하고 모델 값과 절대 관측 값 및 모델간의 편각편차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외 통합기준점을 방위표지로 활용한 지자기 편각성분의 절대관측의 적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단파 스펙트럼 수신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Radio Spectrum Monitor for HF Communication)

  • 박성원;김영윤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6권9호
    • /
    • pp.821-827
    • /
    • 2015
  • 태양 흑점 폭발로 인해 방출되는 전자파는 지구상 낮 지역의 전파 통신에 장애를 일으킨다. 전세계에서 사용하는 태양 흑점 폭발 경보의 등급은 Geostationary Operational Environmental Satellite의 X선 세기에 따라 분류되고, 통신 장애를 판단한다. 하지만 태양과 직하점이 지구 자전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동일한 경보라도 통신 장애 영향은 같지 않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단파 통신을 전파 스펙트럼으로 수신하고, 통신 두절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은 단파 스펙트럼을 실시간 측정한 후 매분마다 자동으로 신호대 잡음비를 산출하고, ITU 권고의 간섭기준에 비교하여 통신 두절 시간을 산출한다.

부산지역 워터프런트의 기후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limate Characteristics of Waterfront in Busan Area)

  • 도근영;이한석;고성철;현범수;유종수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65-472
    • /
    • 2002
  • 워터프린트는 도심 및 내륙지역과는 다른 독특한 기후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고려하지 않고 개발할 경우 시설물의 하자발생, 에너지 및 유지관리비용의 상승을 초래하게 됨은 물론 배후지, 도시기후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연구는 부산지역의 10개 기상관측지점을 해안선에서 거리에 따라 워터프린트 및 내륙지역으로 분류하고 5년 간의 기상데이터를 이용하여 워터프런트의 기후특성에 대해 검토한다. 또 한 워터프런트 지역임에도 내륙지역과 유사한 기후특성이 나타나고 있는 대연지점을 대상으로 기후특성변화의 원인에 대해 검토한다.

아트리움의 수직온도 분포해석 프로그램의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Vertical Air Temperature Distribution Model in Atrium)

  • 김용인;조균형;김광우
    • 태양에너지
    • /
    • 제17권3호
    • /
    • pp.3-11
    • /
    • 1997
  • Recently the construction of atrium buildings has increased but along with it many problems in thermal environment have arised. since the exterior wall of glass, indoor temperature is greatly influenced by weather conditions and since the space volume is very large, the vertical air temperature is not uniform. So, in this study, a Vertical Temperature Distribution Model was developed to predict the vertical air temperature of an atrium and evaluate the effects of the design parameters on the air temperature distribution of an atrium.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rtical air temperature distribution in an atrium, the Satosh Togari's Macroscopic Model was used basically for the calculation of the vertical air temperature distribution in large space and the solar radiation analysis model and natural ventilation analysis model in atrium. And to calculate the unsteady-state inside wall surface temperature(boundary condition), the finite difference method was used. For the verification of the developed temperature distribution program, numerical evaluation of air flow by the ${\kappa}-{\varepsilon}$ turbulence model and in-situ test was conducted in parallel.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developed temperature distribution program was seen to predict the thermal condition of the atrium very accurately.

  • PDF

프로운라움 공간특성에서 나타나는 디지털 조명의 확장적 의미 (An Analysis on the Meaning of Digital light a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Proun Raum)

  • 정근영;김유신;최안섭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89-92
    • /
    • 2008
  • Light is the essential element for people to live and do creative activities in architecture. The meaning of light has been changed as time has changed, and today it has more sophisticated roles. The meaning of light was to create static ambience in the past but it can create dynamic ambience currently. The digital light can be a source which creates this dynamic effects such as a human behavior, thought and weather data, and also creates new realm of spatial experience such as the metaphysical. complex, and illusionary space. These characteristics can be revealed from Proun raum spati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proun raum, and also compare such characteristics to the variable meanings of digital light.

  • PDF

The Effects of Activities and Working Conditions on Fire Accidents on Construction Sites

  • Yi, Kyoo-Jin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83-389
    • /
    • 2020
  • Accidents on construction sites involving fires do not occur as often as accidents involving falls from height or collapses. However, once a fire accident occurs, there is a high risk of a large number of casualties. Fire on construction sites is affected by working conditions and the types of activities the construction workers are engaged in at the site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ctivities and working conditions at construction sites that are vulnerable to fire, and analyse how they correlate with each other and how they affect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fire accidents at construction sties. I analysed 40 fire accident reports and listed the situations vulnerable to fire at construction sites considering direct causes, activities, and working conditions. The most dangerous combination of fire hazards can be the heating devices used during rest/sleep in the office/cabin/storage during cold weather. The next most hazardous combination can be sparks arising from painting, waterproofing, insulation, plumbing, or welding/melting work in an underground or confined space.

시계열 기온 분포도 작성을 위한 시공간 자기상관성 정보의 결합 (Use of Space-time Autocorrelation Information in Time-series Temperature Mapping)

  • 박노욱;장동호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32-442
    • /
    • 2011
  • 기온, 강수와 같은 기후관측 자료들은 공간과 더불어 시간적인 변이를 동시에 나타낸다. 따라서 신뢰성 높은 시계열 분포도 작성을 위해 공간적 자기상관성만을 고려하는 기존 공간 내삽 기법에 시공간적 자기상관성 정보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시계열 기온 분포도 제작을 위해 1개월 동안 1시간 간격으로 획득된 기온 관측소 자료를 대상으로 시공간 크리깅을 적용하였다. 우선 기온자료를 결정론적 경향 성분과 확률론적 잔차 성분으로 분해한 후에, 경향 성분 모델링 과정에 기온과 연관성이 높은 고도 자료를 부가 자료로 통합하여 지형 효과를 반영하는 경향 성분을 모델링하였다. 잔차 성분에 대한 시공간 베리오그램 모델링에는 곱-합 모델을 적용하여 시간과 공간 베리오그램의 상호 연관성을 반영하도록 하였다. 이러한 시공간 베리오그램 모델을 이용하여 시공간 정규 크리깅을 적용한 결과, 기존 공간적 자기상관성만을 고려하는 정규 크리깅과 고도 자료를 부가 자료로 이용하는 회귀분석 크리깅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예측 능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고도 자료와 더불어 시공간 자기상관성 정보의 이용이 중요함을 지시한다. 따라서 공간적으로 가용할 수 있는 자료의 수가 한계가 있지만 시계열적으로 자료 획득이 가능한 변수를 분석할 때, 시공간 크리깅이 유용한 내삽 방법론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