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ybean sprouts

검색결과 245건 처리시간 0.035초

Colletotrichum species에 의한 콩나물 부패 (Soybean Sprout Rot Caused by Colletotrichum species)

  • 김용기;류재기;류재당;이상엽;이승돈
    • 식물병연구
    • /
    • 제8권3호
    • /
    • pp.175-178
    • /
    • 2002
  • 1997년 수원 근교 콩나물공장에서 재배하는 콩나물에서 2종의 Colletotrichum에 의한 부패증상이 발생되었다. 한 종은 검은 계란모양의 분생자층을 형성하였으며, 그위에 검은 바늘모양의 강모(65~110$\times$3.5~6.6 $\mu\textrm{m}$)를 다수형성하였다. 포자는 초생달모양으로 격막이 없고 투명하였으며 그 크기는 21.5~22.5$\times$3.5~4.0 $\mu\textrm{m}$이었다. 다른 한가지 병원균의 포자는 곧은 타원형으로 크기가 14.0~17.5$\times$3.5~4.5 $\mu\textrm{m}$ 이었고 부착기의 크기는 6.3~8.5$\times$4.5~5.0 $\mu\textrm{m}$ 이었다. 이들 병원균의 배양적, 형태적 특성에 의거, Colletotrichum tmncatum과 C. gloeosporioides로 동정되었다. 두 가지 병원균은 병원성에 있어서 큰 차이를 보였다. C. tuncatum은 콩나물의 부위에 관계없이 진한 갈색 병반을 형성하였고, 병원성도 높았으며 병 진전도 빨랐다. 반면에 C. gioeosporioides는 자엽에 연한 갈색의 반점을 일으켰으며, 병원성은 강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 최초로 보고되는 C. tuncatum과 C. gloeosporioides 에 의한 부패병을 콩나물탄저병으로 명명하고자 한다

콩나물제조중(製造中) 질소화합물(窒素化合物)의 변화(變化)와 그 영양학적(營養學的) 연구(硏究) - 제2보(第二報). 총(總)아미노산조성(組成)의 변화(變化) - (Changes of Nitrogen Compounds and Nutritional Evaluation of Soybean Sprout - Part II. Changes of amino acid composition -)

  • 양차범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4권2호
    • /
    • pp.94-100
    • /
    • 1981
  • 콩나물제조중(製造中) 단백질(蛋白質)의 영양가(營養價)를 화학적(化學的)으로 평가(評價)하기 위해서 대두중(大豆中)의 아미노산조성(組成)과 이들대두(大豆)가 발아하여 콩나물로 자라는 동안의 아미노산의 변화(變化)를 분석(分析)하였다. 콩나물제조중(製造中) 총(總)아미노산의 변화(變化)를 분석(分析)하였다. 콩나물제조중(製造中) 총(總)아미노산의 변화(變化)는 2일(日)까지는 거의 함량변화(變化)가 없으나 그 이후(以後)부터는 감소(減少)되었고 부위별(部位別)로는 자엽부(子葉部)에서는 감소(減少)되나 배유부(胚乳部)에서는 증가(增加)되었다. 총(總)아미노산에 대(對)한 필수(必修)아미노산의 비(比)는 4일(日) 이후(以後)에 급격(急激)히 감소(減少)되는데 특히 배유부(胚乳部)에서 더 크게 감소(減少)되었다. 여러 아미노산중(中) 특히 aspartic acid의 증가(增加)가 크고 glutamic acid의 감소(減少)가 현저하였다. 총(總)아미노산조성(組成)에 의하여 chemical score를 구(求)하면 A/E와 A/T치(値)는 불규칙(不規則)하게 나타났으나 대두(大豆)와 콩나물 다같이 대체적(大體的)으로 낮은 치(値)를 보였으며 제한(制限)아미노산은 methionin이었다. FAO refernce protein과 requirement pattern을 기준으로하여 구(求)한 chemical score의 값은 2일(日)콩나물>콩>4일(日)콩나물>8일(日)콩나물>6일(日)콩나물의 순(順)으로 나타났고 반면에 essential amino acid index와 requirement index로는 2일(日) 콩나물>콩>4일(日)콩나물>6일(日)콩나물>8일(日)콩나물의 순(順)으로 나타났다.

  • PDF

Analysis of soyasaponin content and biosynthesis-related gene expression in young pea (Pisum sativum L.) sprouts

  • Gang Deok Han;HanGyeol Lee;Jae-Hyeok Park;Young Jae Yun;Gee Woo Kim;Sangyun Jeong;So-Yeon Moon;Hye-Young Seo;Young-Cheon, Kim;Woo Duck Seo;Jeong Hwan Lee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50권
    • /
    • pp.70-75
    • /
    • 2023
  • In legumes, soyasaponins, one of triterpenoid saponins, are major components of secondary metabolites with a more diverse array of bioactive chemicals. Although the biosynthetic pathway of soyasaponins has been largely studied in soybean, the study on the soyasaponin contents and biosynthesis-related gene expression in pea (Pisum sativum L.) is poorly understood. Here, we found the accumulation of only soyasaponin Bb component in the sprouts of two Korean domestic pea cultivars (Dachung and Sachul). This pattern was consistent with our observation that increased expression of PsUGT73P2 and PsUGT91H4 genes, but not PsCYP72A69, could be responsible for biosynthesis of only soyasaponin Bb in pea by examining their gene expression. However, gradual accumulation of soyasaponin Bb at developmental stages was not consistent with the expression of PsUGT73P2 and PsUGT91H4, suggesting that the changes of their protein activities may affect the accumulation patterns of soyasaponin Bb. We also revealed that the increased expression levels of PsUGT73P2 and PsUGT91H4 during light to dark transition led to increase of soyasaponin Bb contents. Collectively, our results provided a molecular basis of metabolic engineering for enhancing useful soyasaponin Bb metabolites in Korean domestic pea cultivars.

만성 알코올 처리 쥐에 대한 헛개나무 열매 농축액을 함유한 콩나물 혼합물의 숙취해소 및 간 기능 개선 효과 (Effects of a soybean sprouts mixture containing Hovenia dulcis Thunb. fruit concentrate on hangover relief and liver function improvement in chronically alcohol-treated rats)

  • 허지안;민혜지;박울림;김정호;원영선;서권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86-498
    • /
    • 2024
  • 본 연구는 만성 알코올 유도 쥐에 대한 1.5% 헛개나무 열매 농축액이 첨가된 콩나물 혼합물의 숙취해소 및 간 기능 개선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헛개나무 열매 농축액을 함유한 콩나물 혼합물군(SHM) 내 ampelopsin 및 L-asparagine의 함량은 10.52, 35.19 ppm으로 확인되었으며, 만성 알코올 급여에 의해 체중 변화량이 감소하고, 간 중량은 증가한 반면 SHM 처리시 유의적으로 체중 변화량이 증가하였으며, 간 중량이 감소하였다. 혈중 alcohol 및 acetaldehyde의 농도는 SHM군에서 2.89, 0.53 g/L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으며, 간 조직 ADH 및 ALDH의 활성은 SHM군에서 33.11, 102.06 U/L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만성 알코올 유도는 ALT, AST 및 GGT와 같은 간 기능 지표 효소들의 활성을 증가시켰지만, SHM 처리시 각각 41.00, 130.83 및 0.47 U/L로 활성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간 조직 및 혈중 triglyceride 함량은 SHM군에서 1.45와 33.00 mmol/L로 가장 낮은 값으로 나타났고, 만성 알코올 투여로 증가된 혈중 total cholesterol 및 LDL cholesterol 함량은 SHM에 의해 감소하였으며, 만성 알코올 투여로 인해 감소된 혈중 HDL cholesterol 함량은 SHM 처리시 증가하였다. 간 조직을 형태학적 및 병리학적으로 관찰한 결과, 만성 알코올 유도군의 간 조직은 형태학적 관찰에서 황갈색을 띠었고, 병리학적 관찰에서는 지질방울의 크기 및 수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SHM 처리시 형태학적으로 관찰한 간 조직의 색은 적갈색으로 나타났고, 병리학적으로 관찰한 간 조직의 지질방울 크기 및 수는 감소하였다. SHM군의 간 조직 및 혈중 지질 과산화 함량은 677.68, 76.26 nmol/g으로 가장 낮은 값으로 확인되었으며, 간 조직 및 혈중 GSH 함량은 SHM군에서 가장 높은 값인 19.93 및 20.08 μmol/kg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콩나물 또는 헛개나무 열매의 단일 섭취보다 혼합하였을 때 ampelopsin 및 asparagine과 같은 유효성분들의 시너지에 의해 SHM군에서 증진된 숙취해소 및 간 기능 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기능성 식품 소재화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콩 종실의 미생물 제어방법과 수주온도에 따른 콩나물의 초기 생육 및 수율 (Effect of Microbe Control and Water Temperature on Early Growth and Yield of Soybean Sprouts)

  • 배경근;남승우;김경남;황영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453-458
    • /
    • 2002
  • 원료 콩에서의 초기미생물 제어방법에 따른 효과와 살수온도조건에 따른 콩나물의 생육특성 및 수율향상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콩나물 재배시 초기 미생물 제어방안으로 실시된 열탕살균, 염소, 이온수, 오존수 등의 방법중 열수를 이용한 열탕살균법(1차 예열 $40^{\circ}C$, 2차 열탕 $70^{\circ}C$, 3차 냉각 $20^{\circ}C$ 각 30초)이 가장 효과가 좋았다. 열탕살균법은 초기 발아율 향상과 생육기간중 미생물 억제효과가 양호하여 재배완료 후 부패감소(미생물 $10^2$ 감소) 및 수율향상, 선도유지가 관행의 방법에 비해 2일정도 향상되었다. 2. 콩나물 재배수온에는 재배완료까지 동일수온(18.5 $\pm$ $0.5^{\circ}C$)을 적용하는 방법과 재배일차별 수온을 다르게 하는 3-stage방법 등이 있다. 3-stage방법의 특징은 초기발아시간 단축(약 4시간정도)과 재배일차별 수온을 다르게 하는 즉, 2-3일차(침지시간 제외)에는 21$\pm$1$^{\circ}C$, 4-5일차에는 18.5$\pm$ $0.5^{\circ}C$, 6-7일차에는 17.0$\pm$ $0.5^{\circ}C$로. 재배수온을 달리하는 방법이며, 3-stage 방법을 적용하면 초기생육이 양호하여 미생물에 대한 저항력이 높게 되고, 재배 중, 후기에는 생육을 제어하게 되어 규격품의 콩나물(길이 8-9cm, 두께 2.15-2.30mm)과 좋은 색택의 콩나물 생산이 가능하며 수율도 약 6%향상되었다.

나물콩 재배시기가 종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wing Date for Seed Quality of Sprout-soybean)

  • 김학신;김홍식;김경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spc1호
    • /
    • pp.152-159
    • /
    • 2006
  • 본 연구는 나물용 콩의 파종기가 콩나물 원료콩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함으로써 양질 콩나물 품종육성과 재배기술 확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2000{\sim}2001$년에 호남농업연구소 전작시험포장에서 파종시기 시험과 콩나물 간이검정실에서 콩나물생장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종실의 자반립, 열피립 및 미숙립 발생율은 5월 25일 파종이 6월 15일과 7월 5일 파종에 비하여 높았고, 풍산나물콩이 자반립, 열피립 및 미숙립 발생율이 가장 낮았으며 한남콩이 발생율이 가장 높았다. 2. 조단백질함량은 파종기가 늦어지면서 감소하였고, 5월 25일과 6월 15일 파종에서 다원콩이 가장 높았고 7월 5일 파종에서는 풍산나물콩이 가장 높았다. 조지방함량은 파종기에 따른 일정한 경향이 없었으며 소명콩이 가장 높았고 다원콩이 가장 낮았다. 3. Isoflavone의 aglycone 함량은 6월 15일 파종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7월 5일파종이 많았으며, 5월 25일파종이 적었고, 품종간에는 소명콩이 가장 많았고 다원콩이 가장 낮았다. 4. 종실의 품질향상을 위한 나물콩의 파종기는 지나친 일찍 또는 늦게 심는 것 보다 품종 특성을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침지조건에 따른 콩 종실의 수분흡수율 및 발아특성 (Water Uptake and Germination of Soybean Seed as Affected by Soaking Condition)

  • 배경근;남승우;김경남;신상진;황영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44-249
    • /
    • 2002
  • 콩나물 재배시 침지조건과 방법에 따른 품종별 형태적 특성과 수분흡수율 및 생육특성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외형적 특성은 100립중이 평균 9.0$\pm$2g인 소립종으로, 종피색은 황색이며 구형인 것이 좋으며, 공시 품종 중 풍산나물콩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2. 나물콩 품종의 수분흡수율은 품종간에 다소의 차이가 인정되었으며, 준저리와 길림3호는 온도가 높을수록 수분흡수율이 높았고, 풍산나물콩의 경우는 20-$25^{\circ}C$구간에서 양호하였다. 3. 침지 후 콩 종실의 길이는 l10mm 이상에 도달하는 시간이 약 15시간, 두께의 경우는 건수침 반복은 침지완료 이후, 1회 침지는 3시간이후, 무침지는 9시간이후 이었고, 콩 종실의 수분흡수는 수온이 2$0^{\circ}C$이내인 경우 1회 침지구나 건수침 반복구의 경우 초기 3시간 이내에 급속하게 이루어졌다. 4. 콩의 발아율은 2$0^{\circ}C$에서 1시간 처리구와 15$^{\circ}C$에서 2시간 처리한 것에서 품종간의 차이가 인정되었으며, 발아세의 경우 길림 3호는 침지방법과 처리온도에 관계없이 양호하였고, 준저리와 풍산나물콩의 경우는 3시간 침지구에서 처리온도에 관계없이 가장 양호하였다. 5. 콩나물의 길이는 다른 무침지와 1회침지 방법에 비해 건수침 반복구에서 빠른 생육을 보였고, 두께의 증가는 1회 침지구가 건수침 반복구보다 양호하였다.

초등학교 급식의 비빔밥 생산과정에 따른 미생물적 품질평가 (Microbiological Quality Assessment of Bibimbap Production Flow in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 김복란;채순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9-31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icrobiological quality and assure the hygienic safety of the Bibimbap production in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in accordance with the HACCP(Haz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program. The time-temperature relationship and the microbiological quality(total plate count and coliform bacteria count) were assessed to find the critical control point(CCP) during each of the production phase. In the pre-preparation phase, the risk factors of the raw ingredients exceeded the standard level suggested by Solberg et al. Mungbean starch jelly, egg and Kochujang were satisfactory in that no coliform groups were observed over the standard TPC level. In particular, there was a high the risk of beef from the early stages in terms of the coliform level. In the pre-preparation phase, green pumpkin had more coliform groups than the standard level even after washed, which calls for special attention to washing, sterilization, secondary infection of the handler, and the required time for pre-preparation of raw vegetables. In the cooking phase, the temperature of the soybean sprout and mungbean starch jelly decreased to 42$^{\circ}C$ and 26$^{\circ}C$, respectively, which was within the risk zone. In particular, mungbean starch jelly had a great risk factor even after boiling in hot water. During the storage stage before serving, a lot of ingredients were exposed to poor management of temperature and time and thus exceeded the standard level in the total plate counts. In particular, the microbiological count of beef was five times the standard level. Green pumpkins and soybean sprouts were left at 15-38$^{\circ}C$ that is within the risk zone for a long period of time after they were cooked. It is highly recommended that the time of the storage stage before consumption should be shortened and that proper devices should be used to prevent proliferation of bacteria. The number of TPC of the utensils was satisfactory enough, but the knife used exceeded the standard level and thus was a risk factor of bacteria proliferation.

대구.경북지역 초등학교 급식에 공급되는 식재료의 제조.가공단계별 미생물 평가 (Microbiological Safety During Processing of Food Ingredients Supplied to Elementary School Food Services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s)

  • 김윤화;류경;이연경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5권2호
    • /
    • pp.152-167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changes in the microbiological safety of food ingredients supplied to elementary school food services during processing. For this purpose, fifteen food ingredients and twelve factories were chosen in the provinces of Daegu and Gyeongbuk. Total plate counts and coliform counts were reduced in the ingredients after washing, but they increased after packing. After packing, the following levels of total plate counts and coliforms were detected, respectively: peeled bellflower roots ($1.2{\sim}3.6{\times}10^6$, $3.1{\sim}4.6{\times}10^5$ CFU/g), blanched vegetables ($5.6{\times}10^3{\sim}2.0{\times}10^5$, <5~$1.5{\times}10^4$ CFU/g), soybean curd (<5~$5.4{\times}10^3$, <5~$2.2{\times}10^3$ CFU/g), buckwheat starch jelly (<5, <5 CFU/g), soybean sprouts ($1.2{\times}10^6{\sim}1.8{\times}10^7$, $2.4{\times}10^5{\sim}4.3{\times}10^6$ CFU/g), mackerel ($2.2{\times}10^2$, $1.3{\times}10^2$ CFU/g), chicken ($3.8{\times}10^4$, $6.7{\times}10^2$ CFU/g), pork ($6.7{\times}10^2$, <5 CFU/g), and beef ($9.4{\times}10^2{\sim}5.2{\times}10^4$, <5~$2.1{\times}10^3$ CFU/g). Generally, the microbiological safety of the food ingredients was better during the processing stage than during the other stages, with the exception of packing. Staphylococcus aureus, E. coli, and Bacillus cereus were detected in small amounts on the peeled bellflower roots, chicken, and pork,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eeled bellflower roots, chicken, and pork need to be sanitized at the washing stage and cross contamination must be prevented at the packing stage.

  • PDF

폐경후 골밀도 저하 여성의 골밀도와 식생활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Dietary Risk Factors Related to Bone Mineral Density in the Postmenopausal Women with Low Bone Mineral Density)

  • 이은주;손숙미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644-653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nnine the dietary and lifestyle factors related to bone the mineral density (BMD) of postmenopausal women with decreased BMD. The subjects (N =163) were recruited from women who visited a orthopedic clinic for BMD check up. A trained dietition interviewed subjects individually to obtain data about dietary behavior, consumption frequency of foods known as main dietary source of calcium and potassium, and clinical symptoms. The risk factors were identified by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variables.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66.8 yews. Most of them showed low levels of education and monthly income. The mean age of menarche and menopause were 17.2 and 48 year, respectively. The mean menopause duration was 18.7 year. Most of the consumption of calcium was centered to vegetable foods. Education level were positively correlated (r =0.272, P < 0.05) with BMD whereas age, menarch age, menopause duration, number of children were negatively correlated (r=-0.355, r=-0.240, r=-0.283, r=-0.193, respectively, p < 0.05) with BMD. The consumption of soybean, radish were positively correlated (r=0.187, r=0.158, respectively, p < 0.05) with BMD. Potassium intake with rice showe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BMD (r =-0.189, P < 0.05), but calcium intake with brown seaweeds, bean sprouts were positively correlated (r =0.247, r =0.254 respectively, p < 0.05) with BMD. Protein intake with roasted pork was also positively correlated (r =0.216, P < 0.05) with BM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most prominent negative predictor influencing the BMD was age. Minor negative factors influencing the BMI were age of menarche, potassium intake from rice. But the significantly positively factors influencing the BMD were consumption of radish and soybean intake, education, and protein intake with roasted pork. In conclusion brown seaweeds, radish or soybeans can be promoted as cheap foods replacing milk and milk products for menopausal women with low inc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