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ybean pods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22초

열대환경하에 있어서 대두재식밀도가 각종형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lant spacing on several agronomic traits of a soybean variety under the tropical environment)

  • 권신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33-137
    • /
    • 1969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um row width and plant spacing within row under the tropical environment for a leading soybean variety Palmetto and it was carried out at Eakmat Experiment Station in Vietnam. The experiments were arranged in a split plot design with four replications and the test was repeated twice in two years. Variations for seed yield due to the distance between rows were significant at 1 per cent level in 1967 test(dry season growing) and at 5 per cent level in 1968 test. Significant differences for plant height, lodging, maturity, number of branches per plant, and number of pods per plant due to the row width were not found in both tests, whil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ifference spacing within row was found in all traits studied. Interaction between width of row and spacing within row for seed yield and plant height were found at five percent level in 1967 tes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lose planting may increase in seed yield and plant height in both seasons, and decrease in loadging. From these studies, one could be understood that the plant population, particularly in dry season, plays decisive roles on seed yield in soybean culture, and the maximum plant height and minimum value of lodging index were also observed in closest spacing plots. The highest soybean yield in late planting would be expected by a combinations of 30 cm(between rows)${\times}$5cm(between hills) plot, while 40cm ${\times}$ 5cm planting method would be suggested for rainy season growing. Highest seed yield was obtained at closet spacing in both dry and rainy season, and these results led to drilling method in seeding where about 20 seeds per meter of row could be recommended. Besides the seed yield, the close planting may produce some advantages, such as increase plant height and decrease lodging, weeds and erosion of surface soil.

  • PDF

파종기이동에 따른 두과작물의 생육특성 비교연구 제2보 콩, 팥, 녹두의 개화기 분포 및 결협율의 변이 (Comparative Studies on Growth Patterns of Pulse Crops at Different Growing Seasons II. Variation in Distribution of Flowering Dates and Pod Setting Ratio of Soybean, Azuki -bean and Mungbean)

  • 김기준;김광호;김영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43-250
    • /
    • 1981
  • 파종기이동에 따른 콩, 팥, 녹두의 개화기분포와 결협율의 변이를 알기 위하여 중부지방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는 품종 하나씩을 공시, 5월 10일, 6월9일, 7월 9일 파종구 및 5월 10일 파종후 단일 처리한 구를 두어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각 처리별 개화까지의 일수, 개화기간 그리고 개화시에서 정엽출현까지의 일수를 비교한 결과 공시된 중 품종은 유한신육형에 그리고 팥과 녹두는 무한신육형에 속하는 것이었다. 2. 주당개화수 및 성숙협수는 3작물이 모두 7월9일 파종구 및 단일처리구에서 현저히 감소되었으나 결협율은 파종기에 따라서 일정한 경향 없이 콩 38\sim48%, 팥 23\sim34%, 그리고 녹두 46\sim60%였는데 콩과 녹두는 낙화 그리고 팥은 낙협이 각각의 결협률에 더 큰 영향을 주었다. 3. 콩은 어느 파종구에서든지 1회의 개화성기를 보인 반면 팥과 녹두는 극만파구민 7월9일 파종구를 제외하고는 2\sim3회의 개화성기를 보였고 개화최성기는 콩이 개화시로부터 10일 이내에 왔으나 팥과 녹두는 파종기에 따라서 개화시로부터 25\sim45일 사이에 왔다. 4. 개화기에 따른 성숙협수의 분포는 모든 처리구에서 개화분포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고 콩의 결협율은 개화최성기 직후에 핀 꽃들이 가장 낮았으며 그 이전 및 이후에 핀 꽃들이 점점 높은 값을 보였다. 팥과 녹두의 결협율은 각 개화성기 직전에 된 꽃들이 높았고 그 직후에 핀 꽃들이 낮은 값을 보였는데 7월 9일 파종구는 3작물에서 모두 시기적으로 늦게 핀 꽃일수록 결협률이 낮아졌다. 5. 중은 모든 파종구에서 정엽출현일을 전후로 한 5일 동안에 개화최성기를 보였으며 정엽전개 이전에 핀 꽃 및 여기서 생긴 성숙협수가 더 큰 비중을 차지한 반면 팥과 녹두는 정엽출현기와 개화 또는 결협간에 아무런 관계도 없었고 정엽전관 이후에 더 많은 꽃을 피웠다.

  • PDF

대두 양적형질의 유전적 변이와 선발(I) (Genetic Variability of Important Quantitative Characters and Selection for Yield in Soybean (I))

  • 권신한;김재리;이경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92-96
    • /
    • 1976
  • 본 실험은 대두육종을 위한 유전자원으로서 우리나라 재래종 825계통을 대상으로 2년간 재배하면서 그 집단내의 유전적 변이성과 특성을 구명하고 이들을 이용한 다수확 품종의 육성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단위면적당 평균 수량은 1,004.1kg/ha이고 대부분의 계통이 795kg에서 1,245kg의 수량성을 보였으며 백립중은 8.6gr∼44.4gr의 범위에서 평균 23.0gr이였다. 성숙기는 평균 144.7일로써 대부분의 계통이 만숙성이였고 초장 및 주당협수의 변이폭은 비교적 컸다. 2. 단백질함량은 평균 42.83%이고 40.7%∼44.2%, 지방함량은 평균 17.46%로서 전체계통의 70%가 16.5%∼19.0% 범위에 속해 있어 저지방성임을 나타내었다. 3. 유전분산은 수량과 초장 및 주당협수가 컸고 백립중 및 성숙기도 비교적 컸으나 단백질과 지방함량은 적은 유전분산을 보였다. 4. 백립중, 초장 및 주당협수의 유전력과 선발에 대한 기대치는 비교적 높았으며 성숙기의 유전력은 높았으나 선발효율은 낮았는데 그 원인은 재래종 집단의 표현형분산이 적은데 있다고 할 수 있다.

  • PDF

Effects of Planting Dates on Growth and Yield of Soybean Cultivated in Drained-Paddy Field

  • Cho Jin-Woong;Lee Jung-Joon;Kim Choong-So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25-330
    • /
    • 200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adequate planting date, to compare the growth characteristics between early and late maturing cultivars, and to provide the data for the cultivation techniques of soybean [Glycine max (L.) Merr.] in double cropping system with winter crops on paddy field in Korea. Cultivars were planted on 26 May, 16 June, and 7 July with a planting density of $70cm(row\;widtb)\;{\times}\;10cm$ (planting spacing). Seed yield of soybean planted on June 16 and July 7 was approximately $37\%\;and\;53\%$, respectively, less than that of conventional planting date of May 26 in Pungsan-namulkong, and planted on June 16 and July 7 was about $30\%\;and\;37\%$, respectively, less then that of conventional planting date of May 26 in Hanamkong. The number of pods and seeds per plant decreased as planting date delayed. Seed weight increased in Pungsan-namulkong but decreased in Hannamkong as planting date delayed. The flowering date was late in delayed planting plots, but it was shorted for days from emergence to flowering and from emergence to maturity. The plant height of Hannamkong was greater than Pungsan-namulkong from the emergence to flowering stages, but in contrast, it was greater in Pungsan-namulkong than Hannamkong after flowering stage (50d after emergence) when it planted on May 26.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soybean cultivars at planting dates of June 16 and July 7. Leaf number, leaf area, and dry matter were also reduced by late planting, and Both of them were shown in high reduction at the later planting. There was a high significant difference at the flowering $(r\;=\;0.87^{**})$ and pod formation $(r\;=\;0.91^{**})$ stages between leaf dry matter and seed yield. Crop growth rate (CGR) was greater at $R2\~R3$ growth stages compared to $R3\~R4\;or\;R4\~R5$ growth stages in two soybean cultivars and the greatest CGR was obtained at planting date of May 26 in two soybean cultivars except for R4-R5 growth stage in Pungsan-namulkong. There was a highly significant positive difference between the seed yield and the leaf area index (LAI) across R3 to R4 and R2 to R3 stages. The photosynthetic rate $(P_N)$ of the uppermost leaf position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planting dates and between two soybean cultivars. However, $P_N$ of the $7^{th}$ leaf position increased as the planting date delayed.

수집(蒐集) 소립(小粒)콩의 주요 생태적(生態的) 특성(特性)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llected Small Grain Soybean (Glycine max L.) Varieties)

  • 박기선;조진웅;송희섭;최재을;구자형;김충수
    • 농업과학연구
    • /
    • 제25권1호
    • /
    • pp.6-11
    • /
    • 1998
  • 우리 나라 고유한 식품의 하나인 콩나물을 생산하는 나물용 콩의 재료인 소립종 콩 수집종의 주요 특성을 알고자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종피색은 모두 8가지로 분류되었으며 그 중 노란색이 8계통으로 가장 많았으며, 경장, 절수, 분지수는 각각 평균 58.5cm, 16.5개, 11.8개 였다. 2.주경 협수와 분지 협수는 평균 43.1개와 62.7개였으며, 100립중은 평균 9.9g으로 나물용 콩의 육성목표 100립중인 10~12g보다 다소 낮았으며 분지나비는 평균이 13.2cm 이었으며 장경 개장형이 1 계통이었으며, 단경 폐쇄형이 14가지 계통으로 분류되었다. 3 공시 계통의 개화기는 8월 8일부터 8월 13일 사이였으며 개화일수는 74~85일 사이로 만생종이었다. 또한 성숙기는 9월 12일부터 10월 12일 사이로 다소 계통간 넓은 변이를 보이고 있다.

  • PDF

콩 종실비대성기에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 가해에 의한 피해 해석 (Injury of Full Seed Stage Soybeans by The Bean Bug, Riptortus pedestris)

  • 정진교;서보윤;윤종탁;박종호;조점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357-362
    • /
    • 2010
  • 콩 종실비대성기에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노린재목: 호리허리노린재과)에 의한 콩 피해 정도를 파악하고자 망사로 씌운 콩 포트에 실험곤충을 접종하여 수확기에 피해를 조사하였다. 콩 종실비대성기에 실험곤충 2령부터 성충까지 접종하였을 때, 수확된 종자 수와 기형종자(C형)의 비율은 대조구이에 비해 차이가 없었으나, 2령을 제외한 다른 모든 발육태들은 흡즙 흔적이 있는 종자(B형)를 많이 생성하였다. B형 종자 생성 수는 2령과 5령 약층에서 적었으나, B형종자의 무게감소율은 5령 약층에 의한 피해에서 가장 컸다. 성충 수를 증가시켜 접종하였을 때, 수확된 종자수는 대조구에 비해 차이가 없었으나, B형 종자의 생성비는 4, 8, 16마리 접종구에서 유의하게 컸으며, C형종자 비율은 16마리 접종구에서만 대조구에 비해 컸다. 곤충 접종기간을 달리하였을 때는 전체 꼬투리 수는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으나 수확된 종자 수는 실험곤충을 수확기까지 방치한(48일) 처리구에서 현저하게 적었다. 이중 B형종자 비율은 8일과 16일간 접종된 것들이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 C형종자 비율은 수확기까지는 장기간 실험곤충을 방치한 처리에서 그 값이 대조구에 비해 높았다. 결과적으로 종실비대성기의 피해는 흡즙흔이 있는 종자들 주로 생성하면서, 곤충 밀도와 가해 기간이 어느 한계 이상으로 증가할 때 기형종자가 생성되고 때로는 종자들이 탈락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피해입률은 곤충 수와 접종기간 각각에 대해 정의 상관관계로 증가하는 것을 보였다.

신개발 심층시비장치를 이용한 심층시비가 벼와 콩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rtilizer Deep Placement on Rice and Soybean Yield Using Newly Developed Device for Deep Fertilization)

  • 홍성창;김민욱;김진호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44-51
    • /
    • 2023
  • Nitrogen fertilizer is an essential macronutrient that requires repeated input for crop cultivation. Excessive use of nitrogen fertilizers can adversely affect the environment by discharging NH3, NO, and N2O into the air and leaching into surrounding water systems through rainfall runoff.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chnology that reduces the amount of nitrogen fertilizer used without compromising crop yields. Fertilizer deep placement could be a technology employ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nitrogen fertilizer use. In this study, a deep fertilization device that can be coupled to a tractor and used to inject fertilizer into the soil was developed. The deep fertilization device consisted of a tractor attachment part, fertilizer amount control and supply part, and an underground fertilizer input part. The fertilization depth was designed to be adjustable from the soil surface down to a depth of 40 cm in the soil. This device injected fertilizer at a speed of 2,000 m2/hr to a depth of 25 to 30 cm through an underground fertilizer injection pipe while being attached to and towed by a 62-horsepower agricultural tractor. Furthermore, it had no difficulty in employing various fertilizers currently utilized in agricultural fields, and it operated well. It could also perform fertilization and plowing work, thereby further simplifying agricultural labor. In this study, a newly developed device was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eep fertilizer placement (FDP) compared to those with urea surface broadcasting, in terms of rice and soybean grain yields. FDP increased the number of rice grains, resulting in an average improvement of 9% in rice yields across three regions. It also increased the number of soybean pods, resulting in an average increase of 23% in soybean yields across the three reg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newly developed deep fertilization device can efficiently and rapidly inject fertilizer into the soil at depths of 25 to 30 cm. This fertilizer deep placement strategy will be an effective fertilizer application method used to increase rice and soybean yields, in addition to reducing nitrogen fertilizer use, under conventional rice and soybean cultivation conditions.

암기간과 야간조파에 따른 벼와 콩의 출수ㆍ개화 반응 (Flowering Responses of Rice and Soybean to Nyctoperiod and Night Break)

  • 김충국;서종호;최성호;최경진;이진모;변종영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208-212
    • /
    • 2003
  • 가로등과 보안등의 증가로 인한 야간조명의 확대와 야간 이동차량의 증가로 전조등 등 농경지 주변에 간헐적으로 조명이 이루어지고 있어 2000년부터 2001년까지 2년 동안 암기간과 야간조파가 벼와 콩의 출수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2시간 암기 중 3시간마다 10분간 백열등(50∼60 lux)으로 조명한 야간조파 처리에 의하여 벼 생육은 두 품종 모두 암기처리 12시간에 비해 간장은 증가되었으며, 수당립수는 감소되었다. 벼의 출수는 야간조파시 암기처리 12시간에 비하여 일품벼 9일, 화성벼는 26일 지연되었으며, 12시간의 암기처리에 비하여 9시간 암기처리시 일품벼 47일, 화성벼는 41일 지연되었다. 야간조파에 의한 황금콩의 생육은 야간조파시 암기처리 12시간에 비해 경장파 절수가 증가되었으며, 협수는 감소되었고, 12시간의 암기처리에 비하여 9시간 암기처리시 경장 및 절수는 증가되었지만 협수는 감소되었다. 콩의 개화까지 소요일수는 야간조파시 암기처리 12시간에 비하여 4일 지연되었으며, 12시간의 암기처리에 비해 9시간 암기처리시 19일 지연되었다.

대두성력재배에 관한 연구 II. 대두의 만파밀식재배에 있어서 질소의 시용량이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Labour Saving Culture of Soybean. II. The effect of Nitrogen fertilization Amount on the Growth and Grain Yield of densely and lately seeded Soybean.)

  • 최창열;김충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4권
    • /
    • pp.65-69
    • /
    • 1973
  • 본시험은 대두성력재배의 일환으로 만파밀식재배에 있어서 알맞은 질소의 시용량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던바 그 결고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발아기는 질소시용량의 차이에 따라 아무런 변이도 나타내지 않으나 개화기 및 성숙기는 질소의 시용량이 증가할수록 늦어지는 경향이었다. 2) 간장 및 절간장은 질소시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길어졌으며 경경은 반대로 질소의 시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가늘어 짐으로써 이들이 도복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었다. 3) 주당협수는 질소의 시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되었으며 1,000입중도 또한 같은 경향을 나타냈다. 4) 10a당 수량은 품종간에는 고도의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나 처리간에는 유의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조생종인 품종(충북백)은 극만파재배(7월5일 파종)인 경우도 10a당 질소의 시용량을 6kg 수준으로 증시함으로써 수량의 증가를 초래할 수 있었다.

  • PDF

재래종대두의 결실일수군별과 제형질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Fruiting Period and Agronomic Characters in Korean Local Soybean Collections)

  • 송희섭;김봉용;권신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80-385
    • /
    • 1988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agronomic characters of the soybean germplasm which was collected from the sites covering whole areas of southern Korean peninsula. A total of 2,748 Korean native soybeans was grouped for fruiting period and in this group frequency distribution of the important agronomic characters and relationships among the characters were determined.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soybean germplasm was comprised of SeoulㆍKyonggi-do 7.5%, Kangwon-do 13.3%, Chungchongbuk-6.6%. Chungchongnam-do 12.3%, Chollabuk-do 10.7%, Chollanam-do 12.6%, Kyongsangbuk-do 20.8%, Kyongsangnam-do 15.3% and Cheju-do 0.6% in number of collections. Frequency distribution of the germplasm for fruiting period was 0.14% in Group I (below 55 days). 1.67% in Group II (56-60 days), 10.58% in (Group III(61-65 days), 23.18% in Group IV(66-70 days), 25.91% in Group V(71-75 days) 19.79% in Group Ⅵ(76-80 days), 15.1% in Group Ⅶ(81-85 days) and 3.6% in Group Ⅷ(over 85 days). The lines over 70 days in fruiting period were as much as 64.4% of germplasm. The fruiting period varied largely from 45 days to 91 days. Fruiting period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seed weight, days to maturity, days to flowering, plant height and number of branches per plant, respectively. While. it was negatively correlated to number of pods, lodging and virus infectivity, repectively, and in particular negative correlation was shown significantly between yield and fruiting period. Average yield was very high as much a 1.389kg/ha in fruiting period Group I, and decreased with increment of fruiting period, 1.400kg/ha in Group II. 1.384kg/ha in Group III. 1,299kg/ha in Group IV, 1,197kg/ha in Group V, 1,117kg/ha in Group Ⅵ, 967kg/ha in Group Ⅶ and 832kg/ha in Group Ⅷ.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