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ybean mosaic virus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35초

Development of Virus-Induced Gene Expression and Silencing Vector Derived from Grapevine Algerian Latent Virus

  • Park, Sang-Ho;Choi, Hoseong;Kim, Semin;Cho, Won Kyong;Kim, Kook-Hyung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2권4호
    • /
    • pp.371-376
    • /
    • 2016
  • Grapevine Algerian latent virus (GALV) is a member of the genus Tombusvirus in the Tombusviridae and infects not only woody perennial grapevine plant but also herbaceous Nicotiana benthamiana plant. In this study, we developed GALV-based gene expression and virus-induced gene silencing (VIGS) vectors in N. benthamiana. The GALV coat protein deletion vector, pGMG, was applied to express the reporter gene, green fluorescence protein (GFP), but the expression of GFP was not detected due to the necrotic cell death on the infiltrated leaves. The p19 silencing suppressor of GALV was engineered to inactivate its expression and GFP was successfully expressed with unrelated silencing suppressor, HC-Pro, from soybean mosaic virus. The pGMG vector was used to knock down magnesium chelatase (ChlH) gene in N. benthamaina and the silencing phenotype was clearly observed on systemic leaves. Altogether, the GALV-derived vector is expected to be an attractive tool for useful gene expression and VIGS vectors in grapevine as well as N. benthamiana.

Five Newly Collected Turnip Mosaic Virus (TuMV) Isolates from Jeju Island, Korea are Closely Related to Previously Reported Korean TuMV Isolates but Show Distinctive Symptom Development

  • Hu, Wen-Xing;Kim, Byoung-Jo;Kwak, Younghwan;Seo, Eun-Young;Kim, Jung-Kyu;Han, Jae-Yeong;Kim, Ik-Hyun;Lim, Yong Pyo;Cho, In-Sook;Domier, Leslie L;Hammond, John;Lim, Hyoun-Sub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5권4호
    • /
    • pp.381-388
    • /
    • 2019
  • For several years, temperatures in the Korean peninsula have gradually increased due to climate change, resulting in a changing environment for growth of crops and vegetables. An associated consequence is that emerging species of insect vector have caused increased viral transmission. In Jeju Island, Korea, occurrences of viral disease have increased. Here, we report characterization of five newly collected turnip mosaic virus (TuMV) isolates named KBJ1, KBJ2, KBJ3, KBJ4 and KBJ5 from a survey on Jeju Island in 2017. Full-length cDNAs of each isolate were cloned into the pJY vector downstream of cauliflower mosaic virus 35S and bacteriophage T7 RNA polymerase promoters. Their fulllength sequences share 98.9-99.9% nucleotide sequence identity and were most closely related to previously reported Korean TuMV isolates. All isolates belonged to the BR group and infected both Chinese cabbage and radish. Four isolates induced very mild symptoms in Nicotiana benthamiana but KBJ5 induced a hypersensitive response. Symptom differences may result from three amino acid differences uniquely present in KBJ5; Gly(382)Asp, Ile(891)Val, and Lys(2522)Glu in P1, P3, and NIb, respectively.

대두모자이크바이러스에 의한 결협절위별 갈반립의 형성과 바이러의 종자전염 (The Relation of Soybean Seedcoat Mottling with Podding Location and Seed Transmissibility in Soybean Mosaic Virus)

  • Oh, Jeung-Haing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80-284
    • /
    • 1984
  • 콩모자이크 바이러스(SMV)에 의한 갈반립의 형성율과 SMV의 종자전염율을 조사하기 위하여 대두품종 Clark, Woodworth, 북해1호를 재료로 SMV 이병정도와 갈반립율 결협절위 및 갈반립형성등의 관계를 조사하고 그 갈반립을 통한 SMV의 종자전염율을 면역이중확산법과 유묘감염률로 조사하였다. 1. 갈반립의 형성율은 식물체의 이병정도와 정비례적인 상관(r=0.796)을 보였다. 2. 이병식물체의 갈반립형성은 결협절립 및 협중종실위치와 유의상관이 없었으며 (r=0.34), 동일절위 및 협내에서도 갈반립과 비갈반립이 함께 형성되었다. 3. 면역이중확산법으로 조사한 SMV의 종자전염율은 4.2 -33.3%로 비교적 낮았으며 품종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4. 유묘에 나타난 SMV 증상으로 조사한 종자전염율은 면역이중확산법으로 검정한 종자감염율보다 약관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항혈청의 역가 또는 Virus의 체내증식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였다. 5. 이병직물의 갈반립은 SMV 종자전염율과 일치하지는 않으나 SMV의 포장이병율 추정에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으며 파종시 갈반립의 제거는 SMV 전염원의 감소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보였다.

  • PDF

Detection of Soybean Mosaic Virus Using RT-PCR

  • Kim, Yul-Ho;Kim, Ok-Sun;Lee, Bong-Choon;Roh, Jae-Hwan;Kim, Myoung-Ki;Im, Dae-Joon;Hur, Il-Bong;Lee, Sang-Chul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53-255
    • /
    • 1999
  • Reverse transcription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ssay was used to detect SMV strains. A pair of oligonucleotide primers were designed to include the cylindrical inclusion (CI) coding region between 4,176 to 5,560 nt. Amplification from the total RNA extracted from infected plants with SMV yielded a 1,385 bp DNA fragment. RT-PCR was shown to be $10^3$ times more sensitive than the ELISA assay and it could detect a virus in $10^{-6}$ dilution. Restriction enzyme analysis of RT- PCR products using EcoR I showed that SMV isolates were classified into six groups according to the patterns of restriction fragments.

  • PDF

콩모자이크바이러스병의 역학적 연구 (Epidemiology of Soybean Mosaic Virus Diseases)

  • 조의규;최성호;황창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97-202
    • /
    • 1984
  • 콩 모자이크 바이러스계통 SMV-G7의 감염에 의하여 모자이크 병징이 나타나는 함안 품종과 괴저병징이 나타나는 광교를 공시하여 $320.7m^2$(99평)의 포장 중앙 $2.2m^2$ (1평)에 함안을 파종, 접종한 후 주변 시험구(1평씩 99구)에는 광교를 파종하여 SMV의 발생생태를 조사하였다. 광교에서 SMV 이병주율은 7월 13일에 가장 심하였고 황색수반으로 채집한 진딧물 밀도는 6월 22일에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함안과 인접한 시험구의 SMV 이병주율은 평균 $56\%$, 포장전체의 이병주율은 평균 $20.4\%$로 나타났다. 풍향과 바이러스 이병율을 분석한 결과 SMV의 전파는 바람부는 쪽으로 일정한 gradient를 형성하여 SMV 전파에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 PDF

콩모자이크바이러스병(病)의 전염(傳染) 및 저항성(抵抗性) 검정(檢定)에 대하여 (Epidemics of Soybean Mosaic Virus and Varietal Resistance in Soybean)

  • 김상규;이기운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13-120
    • /
    • 1986
  • 콩모자이크바이러스병(病)의 방제(防除)를 위(爲)하여 본(本) 바이러스병(病)의 몇가지 발생요인조사(發生要因調査) 및 저항성(抵抗性) 검정(檢定)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 각지역(各地域)에서 재배(栽培)되는 대두(大豆)의 콩모자이크바이러스 종자전염율(種子傳染率)은 영주외(榮州外) 14개지역(個地域)의 수집종자(蒐集種子)가 30%이상(以上), 남해외(南海外) 22개지역(個地域)의 수집종자(蒐集種子)는 $20.5%{\sim}29.5%$, 완도외(莞島外) 43개지역(個地域)의 수집종자(蒐集種子)는 $12%{\sim}19%$이었고 연기용호에는 종자전염주(種子傳染株)가 없었다. 포장(圃場)에서 진딧물발생밀도(發生密度)의 증감(增減) 1개월후(個月後)부터 발병율(發病率)에 차이(差異)가 나타났다. 엽모(葉毛)의 길이가 짧고 조밀(稠密)한 품종(品種)에 가장 매개(媒介)진딧물의 부착(附着) 및 흡즙충수가 적었고, 엽모(葉毛)가 길고 조밀(稠密)한 것에는 시간(時間)의 경과(經過)에 따라 부착충수가 적었으며, 엽모(葉毛)가 길고 엉성한 것에 부착(附着) 및 흡즙충수가 가장 많았다. 감염시기(感染時期)에 따른 종자전염율(種子傳染率)은 6월(月) 20일(日)에 감염(感染)된 대두(大豆)에서 높았고, 7월(月) 20일(日)과 8월(月) 20일(日)에 감염(感染)된 대두(大豆)에서는 아주 낮았다. 대두종자부분(大豆種子部分)의 부위별(部位別) 바이러스전염(傳染) 조사(調査)에서는 배(胚)와 배유(胚乳)에서 바이러스소재(所在)가 확인(確認)되었고, 미숙종자(未熟種子)가 완숙종자(完熟種子)보다는 감염율(感染率)이 높았다. 반문(斑紋)이 있는 종자(種子)는 반문(斑紋)이 없는 종자(種子)보다 다소(多少) 높은 종자전염율(種子傳染率)을 보였으나 반문(斑紋)이 심(甚)하여도 종자전염율(種子傳染率)은 높지 않았다. 그리고 발아율(發芽率)에서는 반문(斑紋)의 영향(影響)이 없었다. 저항성품종(抵抗性品種) 검정(檢定)에서 Columbus외(外) 14품종(品種)이 이병성(罹病性), Chief외(外) 14품종(品種)이 중도저항성(中度抵抗性), 장백(長白)콩외(外) 17품종(品種)이 저항성(抵抗性)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 고랭지와 일본에서 채종된 풋콩종자의 생육, 병해 및 수량 비교 (Growth, Disease Damage and Yield of Vegetable Soybean Seeds Produced at Highland of Korea and in Japan)

  • 김홍식;이충식;박은우;홍은희;김석동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57-265
    • /
    • 1996
  • 본 시험은 풋콩 채종기술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미카와시마, 화엄풋콩 및 석량풋콩의 3품종을 1992년 고냉지인 강원도 평창지역에서 생산된 종자와 일본 북해도에서 생산되어 1993년 춘계에 도입된 종자를, 1993년 4월 20일 수원 작물시험장에 채종하여 생육, 병해 및 수량들을 비교 검토한 바 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포장 출현율은 품종간에 차이가 있었고, 채종지간에는 국내고냉지 평창산 종자가 일본산 종자들보다 7% 정도 높았다. 2. 콩 생육경과중에 발생한 미이라병균에 의한 꼬투리 감염, 탄저병, 모자이크바이러스 및 노균병은 채종지간에 차이가 없었다. 3. 채종지간에 풋콩의 생육, 수량구성요소 및 수량성 차이가 없었다. 4. 이상의 결과로서 국내 고냉지에서 풋콩종자를 생산하면 일본산 도입종자에 비하여 출현율이 높고 생육과 수량면에서 저하되지 않는 양질종자의 생산이 가능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