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ybean fermentation starter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3초

곡류 및 두류를 이용한 젖산균 전배양용 식용 배지의 제조 (Edible Culture Media from Cereals and Soybeans for Pre-cultiv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 박소림;박선현;장지은;양혜정;문성원;이명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991-995
    • /
    • 2013
  • 본 연구는 곡류 및 두류를 이용하여 식용 가능한 젖산균 모배양용 식용배지를 개발하고자 실시하였다. 식용 배지의 제조를 위하여 곡류는 발아현미, 찰현미, 발아찰현미를 사용하였고, 두류는 대두콩(대두콩, 껍질을 제거한 대두콩, 발아 대두콩, 껍질을 제거한 발아 대두콩)과 검은 대두콩(검은 대두콩, 껍질을 제거한 검은 대두콩, 발아 검은 대두콩, 껍질을 제거한 발아 검은 대두콩)으로 나누어서 젖산균 증식배지를 제조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젖산균은 Lactobacillus(Lb.) farciminis, Lb. homohiochii, Lb. pentosus, Lb. plantarum, Leuconostoc(Leu.) paramesenteroides, Leu. citreum 및 Leu. lactis 총 7종이다. 곡류를 이용한 식용배지에서 배양한 경우, 7개 종균의 평균 균수는 7.6~8.0 log CFU/mL의 균수를 나타내었다. 대두콩으로 제조한 식용배지는 껍질을 제거한 발아 대두콩 배지에서 대부분의 균이 높은 증식량을 나타내었다. 특히 Lb. plantarum은 10.08 log CFU/mL로 가장 높은 균수를 보였다. 검은 대두콩의 경우는 껍질을 제거한 발아 검은 콩배지에서 증식량이 많았다. Lb. homohiochii는 껍질제거 발아 검은 콩배지에서 9.90 log CFU/mL로 가장 많은 증식량을 보였다. 모든 결과에서 곡류와 두류를 이용한 식용배지를 이용하여 배양할 때 젖산균 증균량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고, 특히 가장 증식량이 우수한 '껍질을 제거한 발아 검은 대두콩' 식용 배지를 향후 젖산균 모배양에 이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콩을 이용한 치-즈제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Preparation of a Cheese-like product from Soybean Milk)

  • 김창식;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57-63
    • /
    • 1971
  • 1. 5섯가지 젖산균을 대두유에 접종배양 하여 산 생성도를 비교 하였드니 Str. thermophilus 와 Str. diacetilactis가 Str. lactis, Str. cremoris 및 L. bulgaricus보다 높았다. 2. 대두유와 탈지 분유를 7 : 3의 비로 혼합하여 젖산균 발효를 하였을 때에 침전물의 수획량이 가장 많고 또한 그의 단백질 함량이 가장 많으며 수분의 량이 적고 견고한 curd를 만들수 있음을 알았다. 3. 대두유와 탈지분유를 7 : 3의 비로 혼합한 것에 젖산균 starter로 Str. thermophilus를 첨가하고 Pen. caseicolum을 접종하여 제조한 치-즈를 3주간 숙성$(15^{\circ}C,\;RH:\;85{\sim}90%)$ 하였드니 숙성 7일째부터 Pen. caseicolum의 생육이 왕성하게 되며 pH가 상승함과 동시에 proteolytic activity는 14일째에 최고치에 도달하였다, 또 total water soluble nitrogen, water soluble protein nitrogen 및 amino-N도 숙성 7일째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숙성 21일째는 이들의 값이 각각 total nitrogen의 52%, 32% 및 14%에 이르렀다. 그리고 이차원 paper chromatography에 의하여 3주간 숙성한 치-즈에서 17종의 아미노산을 검출 하였다. 또 3주간 숙성한 후 제품의 일반성분 조성은 수분 63.2%, 조단백질 17.5%, 조지방 13.2%, 조회분 2.8% 및 식염 2.5%였다.

  • PDF

Detection of Foodborne Pathogens and Analysis of Aflatoxin Levels in Home-made Doenjang Samples

  • Kim, Myung-Hee;Kim, Yo-Sep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7권2호
    • /
    • pp.172-176
    • /
    • 2012
  • Doenjang is a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soybean product that provides a major source of protein. In this study, a total of 18 different home-made doenjang samples were examined for the presence of foodborne pathogens and the total aflatoxin levels. Using an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to assess microbial quality and potential public health risk, we showed that total coliform levels in the doenjang samples ranged from 0 to $4.43{\pm}2.32{\times}10^6\;CFU/g$, and the maximum limit of Bacillus cereus was $4.67{\pm}2.0{\times}10^5\;CFU/g$. However, other foodborne pathogens, such as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O157:H7 and Salmonella spp., were not detected among the tested samples. One of the samples (S3) showed a maximum limit of $42.2{\pm}9.1\;{\mu}g/kg$ for aflatoxin levels, which was above the safety limit allowed by the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CAC) regulatory agency. Further research is necessary to determine whether and how doenjang safety can be improved via elimination/reduction of microbial contamination during fermentation and storage or using microbial starter cultures for its fermentation.

메주 유래의 Syncephalastrum racemosum PDA 132-2가 생산하는 Protease의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Protease Produced by Syncephalastrum racemosum PDA 132-2 from Korean Traditional Meju)

  • 유진영;임성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1010-1016
    • /
    • 1999
  • Protease related mold was isolated and selected as a starter culture for commercial production of meju. Isolated microorganism was identified as Syncephalastrum racemosum PDA 132 2. To obtain basic data about protease for production of soybean peptides and application of the strain in meju fermentation, we extrated and purified protease and charateristics of the enzyme were investigated. The optimum condition for the production of enzyme was pH 4.0, 30oC, 5 days. The protease was purified 19.7 folds by gel filtration and ion exchange chromatography and specific activity was 12.4unit/mg. The purified enzyme was 34kDa in size, thiol protease(100% inhibited by PCMB), and was acidic protease(stable between pH 2.0~5.0). Vmax of the enzyme was 2.14 g/min which was lower(1/50) than that of by Asp. wentti and B. subtilis.

  • PDF

발아콩으로 제조한 청국장의 발효 및 품질특성 (Ferment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kookjang Prepared with Germinated Soybean)

  • 백낙민;강경명;박나영;이신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47-553
    • /
    • 2012
  • 짚에서 분리한B. licheniformis B-59를 starter로 사용하여 12시간(GS12), 24시간(GS24) 동안 발아시킨 발아콩을 이용한 청국장의 발효 및 품질 특성을 대조구(NG)과 비교하였다. 청국장의 발효 과정 중 발아시간에 따른 총균수와 pH의 변화는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총균수는 발효 48시간 후 $10^8{\sim}10^9$ CFU/mL, pH는 6.90~7.01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발효 과정 중 점질물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유의적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환원당 함량은 발효 12시간째 1.5~3배 증가하였으며, 이후 감소하였다. 발아시간에 따른 원료 콩의 총 폴리페놀 함량, 전자공여능은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발효 과정 중 발아시간에 따른 증가현상은 뚜렷하였다. 이소플라본 함량 중 daidzein함량은 발효전 처리구간의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발효 후 NG 0.095 mg/g, GS12 0.218 mg/g 그리고 GS24 0.344 mg/g로 원료 콩의 발아 시간에 따라 청국장의 daidzein 함량은 증가하였다. 발효 후 청국장의 genistein 함량은 NG는 0.046 mg/g, GS12 0.151 mg/g, GS24 0.225 mg/g로 발아에 의해 증가하였다. 원료 콩의 유리 아미노산 함량은 각각 135.18 mg% (NG), 194.31 mg% (GS12), 262.32 mg% (GS24)로 발아시간에 따라 증가하였다. 발효 후 총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각각 254.26 mg% (NG), 337.49 mg% (GS12), 528.78 mg% (GS24)로 뚜렷하게 증가하였다. 맛, 색상, 풍미, 쓴맛, 조직감, 종합적기호도 등 청국장의 기호성은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대두(大豆)요구르트 제조과정중(製造過程中)의 성분변화(成分變化) (Changes of Chemical Composition during Lactic Acid Fermentation of Soy Milk)

  • 금종화;오만진
    • 농업과학연구
    • /
    • 제11권1호
    • /
    • pp.34-44
    • /
    • 1984
  • 대두(大豆)요구르트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소화율이 증진된 제품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대두(大豆), 탈지대두(脫脂大豆) 및 발아대두(發芽大豆)를 원료로 대두(大豆)요구르트를 제조하였다. 이때 제조과정중의 각종성분, 생균수 및 당류의 변화를 측정하고, 기호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Lactobacillus acidophilus의 초기산생성은 탈지두유에서 가장 높았고, 균의 생육은 발아두유에서 가장 왕성하였다. 2. 두유에 2% glucose를 첨가하면 산생성은 촉진되었다. 3. 대두유 및 탈지두유에 환원탈지유(還元脫脂乳)의 첨가로 산생성은 촉진되었으나, 발아두유에 있어서는 첨가효과가 인정되지 않았다. 4. 대두를 발아처리하면 raffinose와 stachyose의 함량은 감소되었고 glucose는 증가하였다. 5. 두유를 젖산발효시키면 raffinose나 stachyose의 함량은 감소되었다. 6. 관능검사(官能儉査)결과 발아두유에 10%의 환원세지유(還元稅脂乳)를 첨가하여 조제한 발아대두요구르트가 풍미면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 PDF

콩 삶은 물을 첨가한 청국장 제조시 항산화활성 및 관련 성분들의 변화 (Changes of Antioxidative Activity and Related Compounds on the Chungkukjang Preparation by Adding Drained Boiling Water)

  • 이경희;류승희;이영순;김영만;문갑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63-170
    • /
    • 2005
  • Soybean is an important plant as the source of protein and oil, as well as phytochemicals such as genistien, daidzein, phenolic acids, phytic acid, tocopherol, and saponin. Chungkukjang, a fermented soybean paste, is common in Korean meals and bacillus is usually used in the fermentation of steamed soybean. For its processing, whole soybeans are boiled in water until the beans are soft, and then the drained beans are wrapped with rice straw or starter and set in a warm place at $65^{\circ}C\;for\;3\;\~\;4\;days$. Normally, the remaining cooked water which was drained from the steamed beans is discarded. We supposed that this water possesses hish amounts of useful components, and we therefore developed a modified method using the cooked water. After fermentation, we added the remaining cooked water which had been drained from the beans to the fermented soy beans and boiled them together. To investigate the bio-functionality of the modified Chungkukjang, the total antioxidative activity, isoflavones contents, phenolic acids, and 3-deoxyglucosone (3-DG) were measured at each stage of the preparation of chungkukjang. The original and modified chungkukjang possessed a high antioxidative activity compared with the other samples, as did the drained water after steaming of the soybean. The contents of genistein, daidzein, and phenolic acids, which contained antioxidative activity, were also increased in the original chungkukjang and their contents were similar in the modified chungkukjang. The content of 3-DG was increased in the modified chungkukjang compare with the original. It is suggested that the active soybean components delivered to the drained water during the steaming process were useful for increasing the bio-functionality of the modified chungkukjang.

Bacillus subtilis HJ18-9로 제조한 된장의 페놀성분 및 라디칼 소거 활성의 변화 (Changes in Phenolic Compounds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Doenjang Prepared by Fermentation with Bacillus Subtilis HJ18-9)

  • 이경하;송진;장연정;이은준;김현주;오세관;우관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843-850
    • /
    • 2016
  • 본 연구는 된장 제조 시 자연 발효시킨 대조구와 Bacillus subtilis KACC15935, B. subtilis HJ18-9 균주를 starter로 접종하여 발효시킨 된장의 품질 특성과 isoflavone의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beta}-Glucosidase$ 활성은 발효 50일에 가장 높은 효소 활성을 보였으며, HJ18-9 처리구가 발효 35일부터 발효가 끝나는 시점까지 유의적으로 높은 효소 활성을 나타내었다. 발효종료시점인 60일에 된장의 체내 이용률이 높은 isoflavone 비배당체 함량은 대조구, KACC15935, HJ18-9 처리구가 각각 $122.10{\pm}0.11$, $137.78{\pm}1.12$$703.80{\pm}11.09{\mu}g/g$으로 나타났다. 이는 발효 10일차 된장의 비배당체 함량에 비하여 각각 2.74, 1.88 및 10.27배 높은 전환율을 보였다. 또한 발효 60일 차에 HJ18-9 처리구가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은 29.08%, 총페놀 함량은 378.14 mg/100 g으로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본 연구를 통해 ${\beta}-glucosidase$ 활성이 있는 HJ18-9 균주를 starter로 접종하여 체내흡수율이 높은 isoflavone 비배당체 함량이 높으며 총페놀 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이 우수한 기능성 된장을 제조함으로써, 기능성 장류 가공품 개발의 기초연구가 되고자 하였다.

β-Glucosidase 활성이 있는 균주 Bacillus Strains를 접종해 제조한 Soy Grits 청국장의 품질 특성 (Changes in Biological Qualities of Soy Grits Cheonggukjang by Fermentation with β-Glucosidase-Producing Bacillus Strains)

  • 이경하;최혜선;황경아;송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702-710
    • /
    • 2016
  • 본 연구는 ${\beta}$-glucosidase 활성이 있는 Bacillus subtilis HJ18-9와 HJ25-8, 두 가지 균주를 혼합한 HJ18-9+HJ25-8의 3가지 균주를 스타터로 접종하여 발효시킨 soy grits 청국장의 품질 특성과 isoflavone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환원당을 유리하는 데 관여하는 ${\alpha}$-amylase 효소 활성의 경우 두 가지 균주를 혼합한 HJ18-9+HJ25-8을 접종해 발효한 시료에서 다른 시료와 비교하였을 때 높은 활성을 보였다. 청국장의 단백질을 분해하여 특유의 구수한 맛 성분을 유리하는 protease 활성의 경우 HJ25-8, HJ18-9+HJ25-8, HJ18-9의 순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아미노태 질소와 암모니아태질소의 함량은 HJ25-8을 접종해 발효한 SG 청국장에서 높았으며, 청국장 isoflavone 비배당체 함량은 HJ18-9+HJ25-8의 $272.40{\pm}2.04{\mu}g/g$에 비해 HJ18-9와 HJ25-8 접종구에서 $697.03{\pm}9.46$, $683.10{\pm}2.05{\mu}g/g$으로 높았다. ${\beta}$-glucosidase 활성이 있는 두 가지 균의 혼합으로 isoflavone aglycone 함량의 전환율을 더 높일 수 있는 시너지 효과를 기대했으나 단일 균주로 접종하여 발효했을 때 더 높은 aglycone 함량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청국장 제조에 알맞은 균주를 개발 평가하여 청국장 가공품 개발의 기초연구가 되고자 하였다.

Nisin생성 유산균을 이용한 저염 된장의 제조 (Preparation of Low Salt Doenjang Using by Nisin-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 이정옥;류충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75-80
    • /
    • 2002
  • 된장 제조과정 중 불쾌취와 점질물을 생성하는 부패균인 B. subtilis의 생육억제를 위해 nisin을 생성하는 L. lactis subsp. lactis ATCC 7962, ATCC 11454, IFO 12007을 이용하여 유산발효를 수행하여 pH변화, B. subtilis의 생육저해도등을 검토하였다. 증자콩에서 nisin 생성유산균들의 생육특성을 살펴본 결과, 세 가지의 균주 모두가 증자대두 1g 당 $10^{6}$ CFU 접종하여 24시간 이내에 $10^{9}$ CFU로 급격하게 자라므로 영양요구성이 복잡한 유산균이 증자대두에서 다른 영양소의 첨가없이도 잘 생육함을 확인하였다. 증자콩에서 7962와 11454는 생육에 따라 pH가 급격히 저하되어 된장발효용 종균으로 사용할 수 없었다. 증자한 콩 중에 잘 증식하고 유산발효 후 pH 변화가 완만한 12007을 된장발효의 종균으로 전혀 문제점 없어 사용시 부패균인 B. subtilis의 생육이 효과적으로 저해됨이 확인되었다. 생성된 nisin은 황국균이 생성하는 protease에 의해 분해되며 콩 속에 다량으로 존재하던 유산균은 사입시 첨가되는 식염으로 불화성화되거나 사멸하여 된장의 산패를 막아준다. 그리고 8% 식염을 첨가하여 된장 제조시, 즉 저염 된장 제조시 B. subtilis의 생육이 효과적으로 억제되고 다수로 존재하던 유산균은 담금 후 점차 줄어들어 시간경과 후에는 관찰되지 않았다. 8%함유 식염된장의 숙성 중 pH 변화 역시 12% 함유 식염된장과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