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ybean extract

검색결과 539건 처리시간 0.032초

Isolation of a Fermenting Microorganism Involved in Formation of ortho-Dihydroxyisoflavones in Doenjang (Korean Fermented Soybean Paste)

  • Seo, Hyo-Seel;Lee, Jae-Hwan;Kwon, Dae-Yong;Park, Jin-Byung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4호
    • /
    • pp.1030-1034
    • /
    • 2009
  • A fermenting microorganism involved in formation of ortho-dihydroxyisoflavones (ODIs) during aging of doenjang (Korean fermented soybean paste) has been investigated. Microorganisms in ODI-containing doenjang were isolated by cultivating on yeast mold (YM) agar medium containing 0-7% NaCl. ODI formation of the isolated strains was examin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analysis after cultivation in modified YM broth or soybean extract medium. An ODI-producing microbe was identified as Bacillus subtilis HS-1 based on 16S rRNA gene sequence analysis. The strain has produced 8-hydroxydaidzein as a major product during growth in the modified YM broth or soybean extract medium.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one of the microorganisms involved in the formation of ODIs in doenjang was B. subtilis HS-1.

초음파와 대두유 용매를 이용한 감 껍질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arotenoid-enriched extract prepared from persimmon peels by ultrasound-assisted extraction with soybean oil solvent)

  • 정헌식;윤광섭;이수원;문혜경;김종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22-131
    • /
    • 2023
  • 초음파와 대두유 용매를 병용하여 감 껍질 유래 카로티노이드 함유 대두유를 제조하고 그의 이화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Box-Behnken design과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하여 추출물의 카로티노이드 농도 기준 최적 추출조건(온도 62℃, 시간 32 min, 대두유/감 껍질 비율 3.1)을 결정하였고, 이 조건에서 얻은 추출물(카로티노이드 강화 대두유)과 무처리 대두유(control)의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추출물의 총카로티노이드 함량은 강화되었고, 이러한 카로티노이드 강화 대두유의 색도는 대조구보다 명도는 낮았지만 높은 적색도와 황색도값을 보였다. 대두유의 산화 및 가열 안정성에 대한 초음파 처리와 감 껍질 유래 카로티노이드의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카로티노이드 강화 대두유의 점도와 활성화 에너지는 대조구보다 약간 높았다. 이로써 감 껍질에 초음파-대두유 용매 추출법을 적용하여 황적색의 카로티노이드 강화 대두유의 제조가 가능하였고, 이는 일반 유지 대체제는 물론 첨가물로서도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미 발효된 청국장 콩의 시비가 토양의 이화학적 성질 변화와 상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y-Product Fertilizing of the Unfermented Soybean (Cheongguk-jang) on Chemical Properties of Soil and Growth of Lettuce)

  • 홍주화;장기운;강영모;조천휘;한기필;이종진
    • 유기물자원화
    • /
    • 제14권4호
    • /
    • pp.132-140
    • /
    • 2006
  • 본 연구는 청국장을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콩 중에서 발효가 되지 않아 버려지는 콩을 이용하여 친환경농업에 맞는 유기질비료와 액비로서의 활용 가능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충남대학교 부속농장 유리온실에서 1/5000a Wagner pot을 이용해 상추 재배시험을 수행하였다. 생육조사 결과 엽장의 경우 대조구와 청국장 콩을 첨가한 CS 처리구는 비슷한 결과를 보였으며, 청국장 콩 추출액(액비)을 엽면시비 한 CSE 처리구의 경우 26~33% 증가율을 보였다. 그리고 엽폭과 엽수에서도 CSE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9~20%정도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생체중은 청국장 콩과 추출액(액비)을 엽면 시비 한 CSE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9~27% 정도 수량증가 효과를 보였고, 퇴비와 청국장 콩 추출액(액비)를 추비형식으로 시비한 CE 처리구에서도 대조구보다 최대 26% 정도 수량증대 효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청국장 제조시 버려지는 미 발효된 청국장 콩과 추출액(액비)이 친환경농업에 맞는 유기질비료와 액비로서의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중국산 대두 (Heinong 48)의 페놀성 화합물 검출 및 항산화 효과 (Identification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Phenolic Compounds from Chinese Soybean (Heinong 48))

  • 전기숙;서윤룡;박신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59-26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중국산 대두의 천연 항산화성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 하고자 페놀성 화합물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중국산 대두(Heinong 48)의 메탄올 추출물의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9.91{\pm}0.57GAE\;mg/g$$4.15{\pm}0.39QE\;mg/g$이었다. 중국산 대두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IC_{50}$$2.04{\pm}0.16mg/mL$이었다. 중국산 대두 추출물의 ABTS 라디칼 소거능은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IC_{50}$$3.31{\pm}0.31mg/mL$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중국산 대두는 페놀성 화합물이 풍부하며, 항산화성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기대된다.

양파 메탄올 추출물의 생리활성 및 항산화효과 (Physiological Activity and Antioxidative Effect of Methanol Extract from Onion (Allium cepa L.))

  • 김현구;곽희진;권영주;정필호;권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349-355
    • /
    • 2000
  • Onion was extracted by methyl alcohol and some physiological activities and antioxidative effect of the extracts on soybean oil, corn oil, lard and shortening were compared with commercial antioxidants such as $\alpha$-tocopherol and BHT.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was about 70% at concentration above of 30mg/mL. Nitrite scavenging effects of all concentrations diminished at higher pH, while in the case of pH 1.2, it showed a nitrite scavenging effect of more than 80% af concentration above of 30mg/mL. And also, the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inhibitory effect was good above 80%. The soybean oil, corn oil, lard and shortening containing different levels of the onion extract were stored at 6$0^{\circ}C$ to evaluate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onion extracts. Peroxide value, acid value and TBA value of each oil were detected. Onion extract was very effective to retard oxidation of soybean oil, corn oil and lard, and especially, the very high antioxidative effect was observed for lard.

  • PDF

Biological Effects of Black Colored Soybean

  • Kim, Yong-Ho;Yun, Hong-Tae;Park, Keum-Yong
    • Plant Resources
    • /
    • 제7권3호
    • /
    • pp.195-199
    • /
    • 2004
  • It has been believed that supplementation of human diets with soybean products markedly reduces human cancer mortality rates. Specifically the black colored soybean has been considered as having a medicinal effect since ancient times in Korea. Six genotypes of black colored soybean and a normal variety were investigated for their biological effect. While the isoflavone content of black colored soybean was higher than the normal soybean, saponin content of the seeds was not different among varieties. In the case of antioxidant activity, black colored soybean showed over 3 times increase in the active effect than the control variety. When feeding soybean extract, a general change of alcohol resolving effect, such as alcohol dehydrogenase activity, was observed in the blood and liver of rats.

  • PDF

양파 알코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중금속 제거 가능성 연구 (Studies on the Heavy Metals Elimination and Antioxidation of the Onion Ethnolic Extract)

  • 이미경;정영희;남현근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43-146
    • /
    • 1999
  • In order to study for Onion ethanolic extract on the Heavy Metal Elimination and antioxidation, the peroxide values of oil and eliminated metal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follows: It was very effective as a retardant for autoxidation processing of the soybean and olive oil by the Onion ethanolic extract. Quercetin in the Onion ethanolic extract was affected as a ligand for chelating with some metals. Through out this study, Quercetin in the Onion ethanolic extract was affected as eliminator of the Mercury, Lead, and Cadmium.Abstracts In order to study for Onion ethanolic extract on the Heavy Metal Elimination and antioxidation, the peroxide values of oil and eliminated metal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follows: It was very effective as a retardant for autoxidation processing of the soybean and olive oil by the Onion ethanolic extract. Quercetin in the Onion ethanolic extract was affected as a ligand for chelating with some metals. Through out this study, quercetin in the Onion ethanolic extract was affected as eliminator of the mercury, lead, and cadmium.

알팔파와 베치의 추출물 및 잔유물의 콩과 옥수수에 대한 타감작용 (Allelopathic Influence of Alfalfa and Vetch Extracts and Residues on Soybean and Corn)

  • 정일민;김기준;김광호;안종국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95-305
    • /
    • 1994
  • 본 실험은 alfalfa 와 vetch의 추출물과 잔유물의 콩과 옥수수에 대한 타감작용을 검정하기 위해서 실시 되었다. 콩과 옥수수에 대한 타감작용을 검정하기 위해서 영양생장기 때에 수확된 alfalfa 와 vetch를 건조시켜 추출물을 얻었고 또한 이들 잔기를 silica sand와 혼합처리하여 콩과 옥수수의 생육을 검토 하였고, 콩에 대해서는 근류균의 착생정도를 조사 하였다. 1. 발아시험에서는 롱과 옥수수의 발아율, 유근의 생장, 무게 등이 추출물 농도가 증가할수록 억제 되었으며, 최고 억제정도는 추출물 농도 20%에서 발생되었다. 추출물에 대하여 콩이 옥수수보다 더 민감하게 반응하였으며, alfalfa의 추출물이 vetch의 추출물보다 더 억제적이었다. 2. Alfalfa와 vetch를 silica sand에 혼합하여 콩과 옥수수의 간장, 엽면적, 지상부의 생육정도를 비교하였을 때 콩의 간장, 업면적, 지상부 생육은 alfalfa처리에서 더 억제적 이었으며, 옥수수의 생육은 vetch 처리에서 촉진 되었다. 3. Alfalfa와 vetch처리가 모두 콩 뿌리혹의 형성을 억제시켰는데 alfalfa처리가 vetch의 처리보다 뿌리혹의 형성을 더 억제 시켰다. 4. Alfalfa와 vetch의 추출물과 잔기의 처리는 옥수수보다는 콩의 발아와 생육에 더 억제적으로 작용하므로 콩 재배의 경우에는 이들 잔기의 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되어진다.

  • PDF

대두와 쥐눈이콩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에 관한 연구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soybean and small black bean)

  • 홍주연;신승렬;공현주;최은미;우상철;이명희;양경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404-411
    • /
    • 2014
  • 본 연구는 대두와 쥐눈이콩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평가함으로서 기능성 식품소재 개발로 활용하고자 한다. 대두와 쥐눈이콩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수율은 대두 추출물에서 높았으며, 열수 추출물이 에탄올 추출물보다 수율이 높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쥐눈이콩 에탄올 추출물에서 26.22 mg/g으로 가장 높았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쥐눈이콩 열수 추출물에서 30.52 mg/g으로 가장 높았다. 전자공여능은 대두와 쥐눈이콩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자공여능은 증가하였으며, 낮은 농도에서 전체적으로 쥐눈이콩 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이 높았다. SOD 유사활성능은 대두와 쥐눈이콩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SOD 유사활성능은 증가하였으며, 대체적으로 쥐눈이콩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았고, 10mg/mL 농도에서 쥐눈이콩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은 각각 73%, 62%이상의 SOD 유사활성능을 보였다. pH 1.2에서의 아질산염 소거능은 대두 열수 추출물 10 mg/mL 농도에서 47.60%의 소거능을 보였다.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은 각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낮은 농도에서는 쥐눈이콩 에탄올 추출물에서 저해활성이 높았고, 5 mg/mL 이상의 농도에서는 대두 열수 추출물에서 저해활성이 높았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대두 및 쥐눈이콩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고, 10 mg/mL 농도에서 쥐눈이콩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은 각각 42.05%, 45.67%으로 다른 추출물에 비해 저해활성이 높았다. 환원력은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대두 추출물보다 쥐눈이콩 추출물에서 높은 환원력을 보였으며, 각 농도에서 쥐눈이콩 추출물이 대두 추출물보다 약 2배 이상의 높은 환원력을 보였다.

솔잎 추출물의 기능적 특성과 대두유 산화억제 효과에 관한 연구 (Functional Properties of Pine Needle Extract and Its Antioxidant Effect on Soybean Oil)

  • 정갑섭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7권10호
    • /
    • pp.1139-1146
    • /
    • 2008
  • To investigate the functional properties and the antioxidant effect of pine needle(Pinus densiflora), the pine needle extract was obtained with methanol and its functionality was measured by spectrophotometric method, and the antioxidant experiment on soybean oil was carried out by the active oxygen method. The extraction yield of pine needle with 99% methanol was about 19%, the total flavonoid content of the pine needle-methanol extract was 11.32 mg/g on dry basis and the superoxide dismutase-like activity was 94.3%. The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the extract was pH dependent with the values of 77.44% at pH 1.2, 48.45% at pH 3.0 and 11.04% at pH 6.0, respectively. The peroxide value was 92.6 meq/kg at 5% dosage, 138.4 meq/kg at 2% dosage of the extract on 8 oxidation days. The period of the peroxide value to be 100 mg/kg was 4.9, 6.3 and 8.5 days at control, 2% and 5% dosage of extract, respectively. And the relative antioxidant effectiveness of the extract was 27.9% and 72.3% increase at 2% and 5% dosage, respectively, compared to control. The thiobarbituric acid value showed few differences within 4 oxidation days, but with the dosage of the extract it fairly decreased with considerable antioxidant effect to control above 4 day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