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ybean

검색결과 6,755건 처리시간 0.044초

3단 발효에 의한 메주 제조방법 (Preparation Method of meju by Three Step Fermentation)

  • 김익조;이정옥;박미화;손동화;하영래;류충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536-539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증자 콩에 증식하여 부패취를 유발하는 오염균인 야생고초균의 생육을 억제하고 정상발효를 유도하기위해 젖산, 과산화수소 등과 항균성 물질인 bacteriocin을 생성하는 유산균으로 1단 발효를 실시한 후 장류용 황국균을 접종하여 2단 발효 후 다시 고초균으로 3단 발효시켜 황국균과 고초균의 protease, peptidase를 효과적으로 사용함으로서 단백질 분해율이 높아 아미노산 생성량이 많은 기호성 높은 고품질의 메주를 제조하였다. 3단 발효법으로 제조된 메주의 수분함량과 pH를 측정한 결과 각각 54.0 %와 pH 7.0였고 제조된 메주를 30일간 20% 염수로 용출하여 총 유리 아미노산함량을 비교한 결과 3단 발효법으로 제조된 메주구가 대조구에 비해 약 $3{\sim}5$배 높게 나타났다. 특히 장류의 맛을 좌우하는 감칠 맛 성분인 glutamic acid와 aspartic acid의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매우 높아 메주를 원료로 제조하는 장류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유리아미노산이 용출되는 시간이 대조구보다 짧아 장류 제조시 발효기간을 1/3정도로 단축시킬 수 있다.

시판되는 밥밑콩류의 이소플라본 함량, 항산화활성 및 혈전용해활성 (Isoflavone Contents, Antioxidative and Fibrinolytic Activities of Some Commercial Cooking-with-Rice Soybeans)

  • 오혜숙;박영훈;김준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98-504
    • /
    • 2002
  • 우리나라 자생콩류중 주로 밥밑콩으로 이용되는 7품종(강남콩, 거두, 서리태, 선비콩, 울타리콩, 청태, 황태)의 isoflavone 함량과 일부 항산화 및 혈전용해활성을 조사하였다. Isoflavone 함량 분석 결과, 서리태에서는 daidzein과 genistein 모두, 강남콩과 거두에서는 daidzein이 검출되지 않았다. 청태의 daidzein 및 genistein 함량은 각각 278 mg/kg과 223 mg/kg이었으며, 황태중에는 총 1552 mg/kg으로 대두와 비교할 만한 정도였다. 청태와 황태의 경우 daizein/genistein의 비율이 1.25와 1.42로서 daidzein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공여능은 울타리콩, 황태, 강남콩이 90% 이상으로 가장 높았고, 거두와 서리태 역시 황태와 강남콩과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선비콩과 청태의 경우 각각 57%와 50%로 유의적으로 낮았다(p<0.001). 울타리콩과 강남콩, 거두는 SOD 유사활성도 다른 종류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전자공여능이 컸던 황태와 서리태는 SOD 유사활성이 낮았고, 전자공여능이 낮았던 선비콩은 황태나 서리태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형전용해활성은 선비콩, 황태, 강남콩 등이 비교적 컸고, 청태는 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혈전용해효소의 저해성분을 부분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추출액의 pH를 6.4로 조절한 후 18시간 동안 냉장처리한 결과 대부분의 품종에서 활성이 뚜렷이 증가하였다(비활성도 값으로 비교시 거두, 서리태, 울타리콩류는 $10{\sim}15$배, 강남콩은 2배 내외, 선비콩과 황태는 $18{\sim}19%$ 증가). pH를 3.0으로 조정시 비활성도가 선비콩과 황태, 청태, 강남콩에서는 크게 증가한 반면, pH 6.4 조절 및 냉장처리시 혈전용해활성이 컸던 거두, 서리태 및 울타리콩에서는 실활되었다. 활성을 보이지 않던 청태는 $55^{\circ}C$에서 30분간 열처리하였을 때 약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100^{\circ}C$로 처리시 실활되었다. 거두와 서리태, 선비콩, 황태, 강남콩은 $55^{\circ}C$에서 30분 및 $100^{\circ}C$에서 10분의 열처리로 활성이 점차 증가하였으나 $100^{\circ}C$에서 30분 처리시 활성을 대부분 혹은 완전 상실하였다. 울타리콩의 혈전용해활성은 $100^{\circ}C$에서 30분간 가열시에도 높은 비활성도를 유지하여 내열성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속성어간장 제조 및 품질 평가 (Rapid Processing of the Fish Sauce and Its Quality Evaluation)

  • 신석우;권미애;장미순;강태중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666-672
    • /
    • 2002
  • 속성 어간장을 제조하기 위해 동결된 멸치를 분쇄, 가열 및 여과하여 Protease로 가수분해한 후 코지, 식염을 가한 것을 시료A로 하고 여기에 젖산, 솔비톨, 에칠알콜을 가한 것을 시료B로 하여 $30^{\circ}C$에서 35일간 발효하면서 1주일 간격으로 분취해서 성분변화, 세균 flora 및 관능검사를 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pH와 TMAO는 발효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감소하였고 TMA와 VBN은 증가하였다. 분리균의 세균 flora 는 Lactobacillus sp.가 A,B시료에서 각각 $70{\sim}71%$ Bacillus sp.가 $13{\sim}18%$로 이 두종이 우점종이였다. 총 유리아미노산은 A시료에서 발효 28일째 9.731 mg/100g 중 alanine, tyrosine, valine, methionine 순으로 총 유리아미노산의 38%, B시료에서는 5,559 mg 중 glutamic acid, lysine, histidine, leucine 순으로 40% 검출되었다. 총 비휘발성 유기산은 A,B시료에서 발효 28일째 각각 4,295, 4,075 mg/100g 으로 양 시료 모두 lactic acid가 76%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propionic acid, acetic acid 순이였다. 핵산관련물질은 A,B시료에서 발효 28일째 각각 54, 51 mg/100g 중 hypoxantine이 각각 93, 96%, inosine이 7.2, 4.0%였다. 관능검사 결과는 맛, 냄새, 색택 등으로 보아 발효 28일째가 가장 우수하였다.

감마선 조사된 쌈장의 보존 중 품질특성 (Quality Properties of Gamma Irradiated Samjang, Seasoned Soybean Paste during Storage)

  • 김동호;안현주;육홍선;김미정;손천배;변명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396-401
    • /
    • 2000
  • 장류를 이용한 대표적 조미식품인 쌈장에 감마선을 조사한 후 $25^{\circ}C$$37^{\circ}C$에 10주간 저장하면서 제품의 품질변화를 살펴보았다. 감마선조사에 의하여 효모는 2.5 kGy 조사구에서도 완전 사멸되었으며, 일반세균은 10 kGy 조사구에서 5 log cycle 정도의 감소율을 나타내었고 보존 기간 중에도 미생물의 생장이 억제되었다. 감마선조사는 제품의 외관평가 요소인 gas 발생에 의한 제품의 swelling과 갈색화를 유의적으로 억제하였으며, 장류제품의 숙성정도 및 보존기간 중의 품질 평가 지표가 되는 아미노태질소와 pH의 변화, 그리고 효소활성평가의 지표가 되는 단백질분해효소의 활성변화에서도 안정적인 품질유지 효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관능평가에 있어서도 감마선조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선호도를 나타내어 감마선 조사 기술이 쌈장의 관능적, 생화학적 품질을 유지시키는 효과적인 방법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메주와 콩 고오지를 혼용하여 담금한 고추장 숙성중의 휘발성 향기성분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Kochujangs with Meju and Soybean Koji during Fermentation)

  • 최진영;이택수;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1035-1042
    • /
    • 2000
  • 메주와 콩고오지로 담금한 혼용고추장의 숙성 과정 중 휘발성 향기성분을 포집하여 GC-MSD로 분석, 동정한 결과 알코올 13종, 에스테르 17종, 유기산 7종, 알데하이드 6종, 기타 9종 등 52종의 향기성분이 동정되었다. 동정된 향기성분 수는 담금일에 알코올 7종, 에스테르 9종 등 24종이었으나, 30일에 알코올 1종, 에스테르 3종을 비롯한 6종이 추가 검출되어 30종으로 증가하였다. 150일에는 49종으로 향기성분 수가 최대에 달하였다. 숙성 전과정을 통하여 검출된 향기 성분은 에탄올, 2-methyl-1-propanol, 3-methyl-butanol, 1-butanol 등 알코올류 6종, ethyl acetate, ethyl butyrate, ethyl caproate, ethyl carpylate 등 에스테르류 9종, 산류 2종, 알데하이드 2종, 기타 3종 등 22종이었다. 향기성분의 면적 비율은 담금일과 30일에 1-butanol이, 숙성 60일, 90일 및 150일에 에탄올이, 120일에 3-methyl-1-butanol이 각각 가장 높았고 숙성기간에 따라서는 ethyl acetate, 2-methyl-1-propanol, ethyl butyrate, acetaldehyde, ethoxyethene, ethenone, methylbenzene의 면적 비율도 높았다.

  • PDF

안동지역의 제례에 따른 음식문화(I) -불천위제례(不遷位祭禮)와 제수(祭羞)- (Dietary Culture for Sacrificial Rituals and Foods in Andong Area (I) -Bul-Chun-Wi Sacrificial Rituals and Foods-)

  • 윤숙경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439-454
    • /
    • 1996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Bul-Chun-Wi Sacrificial Ritual (sacrificial service which has been hand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to worship the family ancestors in the period of $1400{\sim}1800$) and foods for the sacrificial service among fourteen head families in Andong area.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In Bul-Chun-Wi Sacrificial Rituals, family shrine has been maintained in good shape, and the table, dishes, and foods used in the rituals have not been changed so much until these days. 2. While vegetable soup is widely used as soup, one family uses the seaweed soup, the other soup mixed with meat, fish, and vegetable. Specially soybean-powdered soup, which is the distinguishable food in Andong area, has been used. 3. As a basic Ddock, mainly Si-Ru-Ddock(a steamed rice cake), piled up to 13-15 stacks, is used. Additional 7-9 kinds of Ddock are placed on top of the basic Ddock. 4. For grilled-meat food(Geuck), eight families use the raw meat, and one family uses the half-cooked meat. Recently, five families have used the cooked meat. Mostly used ones are meat-Geuck, fish-Geuck, chicken-Geuck, and the Geuck are not served one by one. Instead the Geuck are stacked in one dish designed for Geuck in order of meats from poultry, animal, fish, and shell. As the sub-dishes for rice, raw and cooked Geuck are used. 5. The number of stew (Tang) are 3 to 6 and 5 stews is the most popular. Commonly used stews are meat stew, fish stew, chicken stew, vegetable stew, blood stew, and organs stew. For the vegetable stew, buckwheat gel can be used. 6. As the fruit, chinese date, pear, nut and dried persimmons are the basic ones. The even number of 6 or 8 colorful fruits are used, while the odd number of 7 or 9 colorful fruits are used in three head families. 7. As Sik-Hae which is a drink and made from fermented rice, rice Sik-Hae or fish Sik-Hae has been necessarily used. 8. As raw meat dish, the liver of cow or meat is used. As a wrapping materials, the reticulum of a ruminant, green seaweed or thinly fried egg can be used.

  • PDF

HPLC를 이용한 지역 농산물의 비타민 B6 함량 분석 (Determination of Vitamin B6 Content using HPLC in Agricultural Products cultivated in Local Areas in Korea)

  • 최소라;송은주;송영은;최민경;한현아;이인석;신소희;이기권;최용민;김행란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710-718
    • /
    • 2017
  • Contents of water soluble vitamin $B_6$ in a total of 62 agricultural products cultivated in local areas in Korea were analyz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fluorescence detector (HPLC/FLD). To verify the method of vitamin $B_6$ analysis, a quality control chart was formulated with in-house control using a mixture of broccoli and shiitake mushrooms. Among cereals, high content of vitamin $B_6$ measured $234.3{\sim}260.3{\mu}g/100g$ in dried mung bean and soybean. Vitamin $B_6$ content of non-glutinous and glutinous black rice measured $105.0{\mu}g/100g$ and $129.7{\mu}g/100g$, respectively. In vegetables, high content of vitamin $B_6$ were measured in passion fruit ($104.3{\mu}g/100g$), gat ($55.7{\sim}84.3{\mu}g/100g$), gomchwi ($31.3{\sim}88.0{\mu}g/100g$) and garlic ($72.7{\sim}98.3{\mu}g/100g$). Among fruits, gold kiwi 'Zespri' and green kiwi 'Hayward' revealed high vitamin $B_6$ content of $116.3{\mu}g/100g$ and $78.7{\mu}g/100g$, respectively. In persimmons, daebongsi had high vitamin $B_6$ content ($36.0{\sim}72.7{\mu}g/100g$) than bansi and sweet persimmon. Vitamin $B_6$ content in dried jujube and persimmon increased more than $86.7{\mu}g/100g$ compared to fresh materials. Among specialty crops, green tea powder ($64.7{\sim}251.0{\mu}g/100g$) and sansuyu ($172.3{\mu}g/100g$) revealed high content. Of mushrooms, vitamin $B_6$ content of Sparassis crispa ($139.3{\mu}g/100g$) was the highest. Vitamin $B_6$ content informa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in local areas in Korea collected from this experiment will be used as valuable preliminary data for grasp national nutritional status.

Glucose-Ammonia 및 Glucose-Glycine 갈색화(褐色化) 반응액(反應液)에서 얻어진 Ethanol 추출물(抽出物)의 항산화효과의 비교(比較)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Extracts obtained from a Glucose-Ammonia and a Glucose-Glycine Browning Mixtures)

  • 이향희;김동훈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50-355
    • /
    • 1978
  • Glucose-ammonia(각 0.2M)와 glucose-glycine(각 0.2M) 갈색화(褐色化) 반응액(反應液)의 색깔을 측정하고, 또한 이들의 ethanol 추출물(抽出物)들이 함유된 대두유(大豆油)의 POV, TBA가(價) 및 산가(酸價)를 정기적으로 측정하여 그항산화작용(抗酸化作用)을 비교하였다. Glucose-ammonia 반응액(反應液)의 2, 5시간후의 absorbance (470 nm)는 각 1.88 및 3.42였으며, 후자(後者)의 경우 0.02와 0.07였다. 반응액(反應後) 2,15 및 40시간이 경과한 glucose-ammonia 및 glucose-glycine 반응액(反應液)에서 얻은 추출물(抽出物)들이 들은 기질(基質)$(42.3{\pm}2.6^{\circ}C)$의 30일간 저장후의 과산화(過酸化) 물가(物價)는 15.8, 14.2, 12.6과 17.4, 16.1, 15.8였으며 control의 경우 82.1였다. TBA가(價)및 산가(酸價)도 비슷한 추세를 보였다. Glucose-ammonia반응액(反應液)의 ethanol추출물(抽出物)의 항산화작용(抗酸化作用)은 glucose-glycine 반응액(反應液)의 경우보다 다소 컸으며, 다같이 반응초기(反應初期)에 이미 항산화물질(抗酸化物質)들이 형성(形成)된듯 했다. 한편, 전자(前者)의 경우, 형성(形成)된 갈색물질(褐色物質)들은 그항산화작용(抗酸化作用)에는 크게 기여(寄與)하지 않는듯 했다.

  • PDF

어미 쥐의 $\omega$3계 및 $\omega$6계 지방산 식이가 제2세대 쥐의 뇌조직 지방산 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aternal Dietary $\omega$3 and $\omega$6 Polyunsaturated Fatty Acids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Second Generation Rat Brain)

  • 김미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6권6호
    • /
    • pp.661-671
    • /
    • 1993
  • The change in fatty acid composition in brain tissue of the second generation rats(Sprague-Dawley strain) was studied using four different fat diets(Corn oil=CO, Soybean oil=SO, Perilla oil=PO, Fish oil=FO, 10% by Wt). The experimental diets were started from pregnancy in four different groups, each consisting of 9 rats. The seound generation rats were fed the same diet as their mothers. Animals were anesthetized with ether at 0, 3, 9 & 16 weeks of age. Whole brains were dissected out, brain tissues were, then, homogenized and lipids were extracted from brain tissues. The fatty acid compositions were measured after methylation by gas-liquid chromatography at 0, 3, 9 and 16 weeks of age of offspring. The changes in the relative concentrations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PUFA) or more specifically docosahexaenoic acid(22 : 6, $\omega$3, DHA), the major $\omega$3 fatty acid component in rat brain at different age were similar to changes in the amount of DNA in brain tissue showing the maximum value during the lactation. The changes in saturated fatty acid(SFA) content showed a contrasting patten to those of PUFA, while monounsaturated fatty acid(MUFA) increased steadily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 At birth, the relative concentrations of $\omega$3 series fatty acids the relative concentrations of PUFA, MUFA and SFA converged to very similar values respectively regardless of the dietary fatty acid compositions. In brain tissue, it is of value to note that while changes in relative concentrations of linoleic acid (18 : 2, $\omega$6, LA) and arachidonic acid(20 : 4, $\omega$6, AA) showed a precursor-product-like relationship, $\alpha$-linolenic acid(18 : 3, $\omega$3, $\alpha$-LnA) and DHA showed a different pattern. Even when the $\omega$3 fatty acid content in very low in maternal diet(CO), the second generation rat brain tissues appeared to secure DHA content, suggesting an essential role of this fatty acid in the brain. The fact that a large amount of $\alpha$-LnA in the maternal die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econd generation rat brain $\alpha$-LnA content, indicated that DHA seemed essential component for the brain development in our experimental condition. In all groups, the relative content of $\alpha$-LnA in the brain tissues remained relatively constant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 at the very low level. The study of the specific concentrations and essential role(s) of DHA in each parts of brain tissue is needed in more details.

  • PDF

축육 가공품의 열확산도 추정에 관한 연구 (Prediction of Thermal Diffusivities of Pork Meat Products)

  • 박철환;박상민;조현덕;한봉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22-225
    • /
    • 1993
  • 축육제품의 실제 열처리 온도범위에서 적용가능한 열확산도 추정식을 제시하고자, 식염 1.5%, 중합인산염 0.2%, lard 및 대두단백질을 임의의 농도로 혼합한 돼지고기를 사용하여 열전달실험을 행하고 열확산도 추정식을 구하였다. 수분함량 49.01~77.55%, 가열온도 80.76~121.03$^{\circ}C$의 범위에서 열확산도는 동일온도에서는 수분함량의 증가에 따라, 동일 수분함량에서는 가열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커졌으며, 각 온도에서의 실측 열확산도는 다음의 식들로 나타낼 수 있었다. $\alpha$p,(80.76$\pm$0.3$^{\circ}C$) =0.0869.$10^{-6}$ .Xw+0.0720.$10^{-6}$ ,(m$^2$.s$^{-1}$, r=0.9230) $\alpha$p, (98.59$\pm$0.3$^{\circ}C$) =0.0849.$10^{-6}$ .Xw+0.0818.$10^{-6}$ , (m$^2$.s$^{-1}$, r=0.9264) $\alpha$p, (121.03$\pm$0.5$^{\circ}C$) =0.0909.$10^{-6}$ .Xw+0.0893.$10^{-6}$ , (m$^2$.s$^{-1}$, r=0.9507)이 식들을 종합한, 임의의 온도에서의 열확산도 추정식은 다음과 같았으며 이로부터 구한 열확산도와 실측치의 차이는 실측치를 기준으로 $\pm$1.7% 이내였다. $\alpha$p=(2.1394+0.5.Xw).$\alpha$w+0.0035.$10^{-6}$ .Xw-0.2785.$10^{-6}$ , (m$^2$.s$^{-1}$).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