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y hypocotyl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19초

대두 단백질 및 배아를 이용한 Bifidobacterium lactis BL740의 균체성장 및 이소플라본 비배당체 생산를 위한 통계적 배지 최적화 (Statistical optimization of culture media contained soy proteins and hypocotyl for the growth of Bifidobacterium lactis BL 740 and production of soy isoflavone aglycones)

  • 이충영;이윤복;이근하;박명수;황석연;홍승복;유영춘;유병연;김정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3권3호
    • /
    • pp.126-131
    • /
    • 2010
  • 대두가공공정 중 발생하는 부산물인 대두배아 및 대두 단백질을 이용하여 Bifidobacterium lactis BL740의 생균수 및 대두 이소플라본 비배당체 생산 최대화를 위한 배지최적화를 수행하였고 이를 위하여 통계적 방법인 fractional factorial design (FFD) 및 central composite design(CCD)를 이용, 대두 유래 성분들이 포함된 배지 (S-medium)의 최적 조성물을 확언하였다. FFD의 경우 glucose, cellobiose, fructooligosaccharidde, soy peptone, soy protein, 대두배아를 이용 총 6가지 요소를 2수준에서 적용하였으며 이 중 soy protein, soy peptone 그리고 대두 배아가 B. lactis BL740의 균성장 혹은 대두 이소플라본 비배당체 전환에 중요 인자로 확인이 되었다. FFD에서 확인된 3가지 인자를 CCD에 적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균성장의 경우 최적의 배지조성함량이 soy peptone 29.55 g/L, soy protein 12.73 g/L, 대두 배아 130.67 g/L로 확인되었으며 비배당체 전환의 경우 soy peptone 1.25 g/L, soy protein 2.06 g/L, 대두 배아 60.02 g/L로 최적화 되었다.

콩나물의 무기이온 및 비타민 함량 (Contents of Minerals and Vitamines in Soybean Sprouts)

  • 윤정은;김희선;이경애;김용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226-232
    • /
    • 2011
  • 우량 나물콩 품종 육성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판 콩나물 및 장려품종 나물콩으로 재배된 콩나물을 사용하여 콩나물의 무기이온 함량과 비타민 함량을 분석하였다. 1. 콩나물의 무기이온 함량은 K, Ca, Mg, Na, Fe, Zn, Mn, Cu의 순으로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콩나물을 자엽과 배축으로 분리하여 함량을 분석한 결과 자엽에서의 무기이온 함량은 전체 콩나물과 같은 양상으로 축적되어 있었으나 배축에서는 다른 경향을 나타내었다. 2. 뜨거운 물에 콩나물을 데칠 경우 많은 양의 무기이온이 물로 용출되며 특히 K의 함량 감소가 컸다. 3. 콩나물의 비타민 C 함량은 품종에 따라 변이가 있었으며, 콩나물을 열처리할 경우 비타민 C는 급속하게 감소되었다. 4. 콩나물에서의 비타민 B군(niacine, thiamin, pyridoxin)은 품종별로 함량 차이가 있었으며 대부분 자엽부위에 축적되어 있었다.

Dihydrodaidzein production from soybean hypocotyl extract by human intestinal bacterium MRG-1

  • Sirirat Prasertwasu;Jaehong Ha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5권4호
    • /
    • pp.447-451
    • /
    • 2022
  • Phytoestrogenic S-equol production in human gut exclusively depends on the biotransformation of daidzein to dihydrodaidzein (DHD). With a growing demand for the DHD enriched biomaterials, the commercial soybean hypocotyl extract (SHE) was chosen as a substrate for the microbial DHD production by human gut bacterium MRG-1, anaerobic DHD producer. To optimize the production of DHD, anaerobic fermentation conditions, including sterilization time, growth stage of inoculum, and growth media, were investigated. Maximum DHD production (1.2 g/L) was achieved after 48 h incubation when 1% (w/v) of SHE in the 20-min-sterilized Gifu Anaeboic Medium media was inoculated with OD600 0.3-0.4 of MRG-1. This is the first report that crude soy biomaterial, instead of pure compounds, such as daidzin and daidzein, is utilized for the production of the DHD enriched biomaterial.

콩나물의 지방산 및 식이섬유 함량 분석 (Analyses of Fatty Acids and Dietary Fiber in Soy Sprouts)

  • 김세영;이경애;윤홍태;김정태;김욱한;김용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29-34
    • /
    • 2011
  • 전통식품인 콩나물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우량 나물콩 품종 육성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특성이 다른 5종의 장려품종 나물콩으로 재배한 콩나물의 지방산 및 식이섬유 함량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생콩나물과 데친 콩나물의 지방산 조성은 큰 차이가 없어 가열 처리가 지방산 조성에는 영향을 끼치지 못하였다. 2. 전체 콩나물과 콩나물의 자엽 부위 지방산 조성은 원료콩과 비슷하였으나 배축 부위는 원료콩에 비해 포화지방산 함량이 높았으며 변이도 자엽 부위보다 컸다. 3. 가열 처리된 콩나물이 생콩나물보다 식이섬유 함량이 높았다. 4. 지방산 조성과 식이섬유 함량은 품종별로 차이가 있었다.

Isoflavone Composition within Each Structural Part of Soybean Seeds and Sprouts

  • Phommalth, Siviengkhek;Jeong, Yeon-Shin;Kim, Yong-Hoon;Hwang, Young-Hyun
    • Journal of Crop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1권1호
    • /
    • pp.57-62
    • /
    • 2008
  • Isoflavone content in various parts of six soybean cultivars and soybean sprout during germination was analyz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he parts analyzed were seed coat, cotyledon, and axis for seeds and whole sprout, root, hypocotyl, and cotyledon for sprout. Two cultivars, Aga3 which is known to have the smallest seed size and the highest isoflavone content among the Korean soybean cultivars and Pungsannamulkong which is the most widely being used as soy-sprout, were selected for sampling from 1 to 10 days after germination. At the same weight, the order of isoflavone content increased from seed coat to cotyledon to axis. The highest total isoflavone(isoflavone$\times$dry weight) content was observed in the cotyledon and the lowest in the seed coat. The cotyledon of the Aga3 variety had the highest total isoflavone content and the lowest was measured in the Pungsannamulkong variety. The highest total isoflavone content, $10,788{\mu}g/g$, was observed in whole sprouts(cotyledon+hypocotyl+root) on day 7 for Aga3. After day 7, there was a decreasing trend in isoflavone content as the germination period increased. Total isoflavone content in the cotyledon of Aga3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seed germination, whereas the isoflavone content in the cotyledon of Pungsannamulkong decreased. However, total isoflavone content in the root of both varieties increased while isoflavone content in the hypocotyls decreased after seed germination.

  • PDF

콩나물의 asparagine 함량에 미치는 요인 구명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asparagine content in soy-sprout)

  • 정연신;손태호;;이정동;황영현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6권
    • /
    • pp.71-79
    • /
    • 2008
  • 알코올의 숙취해독에 뛰어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asparagine은 콩나물의 뿌리에 함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논문에서는 콩나물 뿌리 발생에 미치는 재배실의 온도, 일당 관수횟수, 재배일수 및 동일용기에 사용한 콩 량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아가콩과 풍산나물콩의 수율은 재배일수에 따라 경시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재배실 온도가 $20^{\circ}C$에서 보다 $30^{\circ}C$에서 높았으며, 콩나물의 수율은 5회 관수, 8일 재배시 가장 높았다. 2. 아가콩과 풍산나물콩의 콩나물 부위별 건물중의 비율은 자엽이 가장 많았고 뿌리가 가장 낮았으며, 재배실 온도가 $20^{\circ}C$에서 보다 $30^{\circ}C$에서 비율이 더 높았다. 3. 아가콩의 asparagine 함량은 재배실 온도 $30^{\circ}C$에서 5회 관수 8일 재배한 하배축에서 18.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4. 풍산나물콩의 asparagine 함량은 재배일수가 길수록, 재배온도가 높은 경우 높았으며, 하배축에서 가장 높았고, $30^{\circ}C$에서 2회 관수 8일 재배시 하배축에서 18.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5. 아가콩은 300g, 풍산나물콩은 500g 치상시 수율이 가장 높았으며, 잔뿌리의 수는 아가콩과 풍산나물콩 모두 치상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 PDF

Lipoxygenase 결핍 콩의 가공 및 관능 특성 (Processing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Lipoxygenase-Deficient Soybeans)

  • 김수희;황인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1235-1240
    • /
    • 1999
  • 본 실험은 콩비린내의 주요 생성효소인 LOX가 결핍된 콩의 가공시 특성을 살펴봄으로 식품학적 이용 가능성을 검토해 보고자 실시하였다. 몇가지 가공상태의 콩의 LOX 활성을 측정한 결과 전지콩분말, 탈지콩분말, 콩단백의 순으로 LOX의 활성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탈지와 콩단백 제조시 황금콩의 활성 저하가 가장 현저하였다. 콩나물 재배 시에는 황금콩과 진품콩의 자엽 부분에서 LOX 활성이 상당히 나타났다. 두유 제조시에는 진품콩과 진품콩 2호로 만든 경우 황금콩 두유 보다 콩비린내가 적게 난다고 평가되었으며, 콩나물에서는 진품콩 2호가 배축 신장율과 수율은 떨어졌으나 콩나물 비린내는 적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아이스크림 제조 시에는 황금콩 탈지분을 이용한 경우 탈지분으로 만든 대조군 아이스크림에 비하여 콩비린내가 많이 나는 것으로 감지되었으나 진품콩 2호 탈지분을 이용한 경우에는 콩비린내를 거의 감지하지 못하였다. 이상에서 LOX 결핍 콩은 가공시비린내 개선의 효과를 나타내어 가공식품으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나타내 주었다.

  • PDF

Lipoxygenase 결여 콩 계통의 나물 특성 및 Lipoxygenase 활성 (Sprout Properties and Lipoxygenase Activity of Lipoxygenase-less Soybean Genotypes)

  • 이형일;김광철;박의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spc1호
    • /
    • pp.112-117
    • /
    • 2005
  • 본 연구는 lipoxygenase 결여 품종인 진품콩2호와 lipoxygenase 가 존재하는 광안콩, 소백나물콩, 푸른콩의 교배조합 내의 각 계통의 lipoxygenase 유무를 확인하고 activity 차이를 규명함으로써 lipoxygenase 결여 나물콩 육성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콩나물 재배일수별 lipoxygenase 여부, 재배일수별 lipoxygenase 활성도 등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콩나물 발아율은 대비품종과 계통들간의 큰 차이는 없었지만 정상 발아 개체율 에서는 계통이 $63\%$로 낮았으며 $T_{50}$은 1일로 소백나물콩, 푸른콩(0.6일)보다는 느렸으나 진품콩2호, 광안콩보다는 빨랐다. 2. 콩나물 생육은 치상 후 2일부터 콩나물 전체길이, 배축길이, 배축 직경을 조사한 결과 진품콩2호와 푸른콩 교배 조합 계통의 4537계통(콩나물 전체길이 13.9cm, 배축 길이: 7.3cm, 배축 직경: 2.2mm)이 대비품종들보다 높은 신장성을 보였다. 3. 콩나물의 물성은 치상 후 96시간 후에 hardness, cutting force, masticcation을 측정한 결과 lipoxygenase 결여 계통이 대비품종들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4. 콩나물 재배 일수 별 lipoxygenase band는 자엽부에서는 종실과 같이 lipoxygenase band를 확인 할 수 없었으며 배축부에서 모든 계통과 대비품종에서 확인 할 수 있었다. 5. 콩나물 재배 일수별 lipoxygenase 활성도는 2일차에 최고로 높았으며, 3일차에 최저치로 낮아진 후 다시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6. 각 교배 조합 내에서는 진품콩2호보다 활성도가 낮은 4510, 4522, 4537계통들이 lipoxygenase 결여 콩나물로서의 육종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콩나물 생육기간 중 사포닌 함량의 변화 (Changes of Soyasaponin Contents in Soybean Sprouts)

  • 장서영;한상준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57-63
    • /
    • 2016
  • 콩 재배 및 이용확대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해 발아과정 중 기능성 성분인 soyasaponin의 함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1. Soyasaponin I과 soyasaponin II의 함량은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나 발아과정 중 떡잎부위에서 함량이 10배 이상 증가하였고, soyasaponin I은 배축에서도 종자 당 이 $140{\sim}360{\mu}g$ 수준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2. Soyasaponin III 및 soyasaponin V의 함량은 발아를 통해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soyasaponin V의 경우 배축에서 그 함량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iotransformation of Pueraria lobata Extract with Lactobacillus rhamnosus vitaP1 Enhances Anti-Melanogenic Activity

  • Kwon, Jeong Eun;Lee, Jin Woo;Park, Yuna;Sohn, Eun-Hwa;Choung, Eui Su;Jang, Seon-A;Kim, Inhye;Lee, Da Eun;Koo, Hyun Jung;Bak, Jong Phil;Lee, Sung Ryul;Kang, Se Ch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8권1호
    • /
    • pp.22-31
    • /
    • 2018
  • Isoflavone itself is less available in the body without the aid of intestinal bacteria. In this study, we searched for isoflavone-transforming bacteria from human fecal specimens (n = 14) using differential selection media. Isoflavone-transforming activity as the production of dihydrogenistein and dihydrodaidzein was assessed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d we found Lactobacillus rhamnosus, named L. rhamnosus vitaP1, through 16S rDNA sequence analysis. Extract from Pueraria lobata (EPL) and soy hypocotyl extract were fermented with L. rhamnosus vitaP1 for 24 and 48 h at $37^{\circ}C$. Fermented EPL (FEPL) showed enhanced anti-tyrosinase activity and antioxidant capacities, important suppressors of the pigmentation process, compared with that of EPL (p < 0.05). At up to $500{\mu}g/ml$ of FEPL, there were no significant cell cytotoxicity and proliferation on B16-F10 melanoma cells. FEPL ($100{\mu}g/ml$) could highly suppress the content of melanin and melanosome formation in B16-F10 cells. In summary, Lactobacillus rhamnosus vitaP1 was found to be able to biotransform isoflavones in EPL. FEPL showed augmented anti-melanogenic potent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