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utheastern area

검색결과 346건 처리시간 0.038초

한반도 남동해안 해상풍 모의에 적합한 경계층 물리방안 연구 (Study on planetary boundary layer schemes suitable for simulation of sea surface wind in the southeastern coastal area, Korea)

  • 김유근;정주희;배주현;송상근;서장원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4권11호
    • /
    • pp.1015-1026
    • /
    • 2005
  • The southeastern coastal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has a complex terrain including an irregular coastline and moderately high mountains. This implies that mesoscale circulations such as mountain-valley breeze and land-sea breeze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wind field and ocean forcing. In this study, to improve the accuracy of complex coastal rind field(surface wind and sea surface wind), we carried out the sensitivity experiments based on PBL schemes in PSU/NCAR Mesoscale Model (MM5), which is being used in the operational system at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Four widely used PBL parameterization schemes in sensitivity experiments were chosen: Medium-Range Forecast (MRF), High-resolution Blackadar, Eta, and Gayno-Seaman scheme. Thereafter, case(2004. 8. 26 - 8. 27) of weak-gradient flows was simulated, and the time series and the vertical profiles of the simulated wind speed and wind direction were compared with those of hourly surface observations (AWS, BUOY) and QuikSCAT data. In the simulated results, the strength of rind speed of all schemes was overestimated in complex coastal regions, while that of about four different schemes was underestimated in islands and over the sea. Sea surface wind using the Eta scheme showed the highest wind speed over the sea and its distribution was similar to the observational data. Horizontal distribution of the simulated wind direction was very similar to that of real observational data in case of all schemes. Simulated and observed vertical distribution of wind field was also similar under boundary layer(about 1 km), however the simulated wind speed was underestimated in upper layer.

Factors Affecting the Wintering Habitat of Major Fishery Resources in Southwestern Korean Waters

  • Kim, Jin-Yeong;Choi, Il-Su;Kim, Joo-Il;Choi, Seok-Gwan;Chun, Young-Yull
    • Ocean Science Journal
    • /
    • 제42권1호
    • /
    • pp.41-48
    • /
    • 2007
  • We investigated the temperature and salinity effects on the major fish species in the wintering grounds based on trawl surveys and oceanographic observations in the southwestern waters of Korea during March-early April in 2002-2003. The influence area of warm Kuroshio water was limited to the southwestern area of Korea in 2003 with a range of $7.7-16.3^{\circ}C$, 32.54-34.70 of salinity, wider than that of 2002. The number of fish species and density of major fish species in 2003 were higher than in 2002. Geographical estimation showed high proportions of species number and catches in the areas around Jeju Islands, southwestern waters and the southeastern coast of Korea. Five species; silver pomfret (Pam pus echinogaster), hairtail (Trichiurus lepturus), anchovy (Engraulis japonicus), Small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and yellow goosefish (Lophius litulon) were most abundant, composing above 60% of the total catch in 2002 and 2003. More than 50% of catch in the major fish species were mostly distributed in the range of $9.5-11.0^{\circ}C$ of temperature and 33.1-33.9 of salinity. Non-parametric estimation for the major species showed the 1st mode around $10^{\circ}C$ and the 2nd mode at $8-9^{\circ}C$ in 2002 and $11-14^{\circ}C$ in 2003. Among major fish species, hairtail was principally composed of juveniles, and larger individuals were caught in southeastern waters. These results are considered to be helpful for the area-based fishery management strategy for the wintering grounds of the Yellow Sea and coastal waters of Korea.

Rainfall Harvesting as an Alternative Water Supply in Water Stressed Communities in Aguata-Awka Area of Southeastern Nigeria

  • Okpoko, Ephraim;Egboka, Boniface;Anike, Luke;Okoro, Elizabeth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18권2호
    • /
    • pp.95-101
    • /
    • 2013
  • Alternative sources of water are sought in some water stressed communities in the study area. The study focuses on the Aguata-Awka area of southeastern Nigeria. Aquifers occur at great depths, and surface waters may be far from homesteads. The scarcity of water has necessitated the people to adopt various local technologies for harvesting rainfall. The local technology includes collecting rainwater from roofs and channeling the water into large underground tanks, shallow wells and surface reservoirs. Large concrete tanks of $6m{\times}6m{\times}4m$ dimensions are often built underground and can store $144m^3$ of water. Surface reservoirs built on 4 m concrete pillar supports having dimensions of $10m{\times}10m{\times}4m$ and have a storage capacity of $400m^3$.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at 3 different locations of Agulu, Ekwulobia, and Awka and were analyzed for their physical, chemical, and bacteriological parameters. Results indicate a range of values for pH, 5.9 to 7.1; turbidity, 0.9 to 2.7; total dissolved solids, 80 to 170 mg/L; total hardness, 4.5 to 6.4 mg/L; magnesium, 1.2 to 1.4 mg/L; bicarbonate, 19.4 to 83.6 mg/L; and sulfate, 3.6 to 6.4 mg/L. Bacteriological analysis results were negative for fecal and total coliform counts. All parameters, with the exception of pH where aluminum and galvanized iron roofs are used for collection, fall within the recommended guidelines for drinking water quality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and the Standard Organization of Nigeria, new Nigerian standards for drinking water quality. Magnesium is above the maximum permitted level for consumer acceptability of the Nigerian standards for drinking water quality. The water can be classified as fresh moderately hard and soft. The water can be described as a calcium and bicarbonate type.

한국 남해동부연안 해저퇴적물중의 중금속 함량에 관한 연구 (The Contents Of Heavy Metals In Sediments From The Southeastern Coastal Area Of Korea)

  • 이동수;한상준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1-16
    • /
    • 1978
  • 최근에 와서 유류오염과 더불어 중금속에 의한 해양오염, 특히 연안오염은 공공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어떤 해역의 오염정도는 그 해역의 해수 및 그 해역에 서식 하는 유기체(Organisms)와 더불어 그 해역 퇴적물의 오염물질함량으로부터 파악할 수 있다. 진해만과 부산해역은 공업단지와 대도시가 인접해 있고 또 선박의 출입이 잦기 때문에 중금속에 의해 오염될 가능성이 많다. 그러나 이 해역에 대한 중금속의 오염조사현황을 보면 수질에 대한 조사는 수차(Kwak et al., 1974, 국립수산진흥원, 1975, 1977)에 걸쳐 행하여 졌으나 퇴적물에 대해서는 진해만에 대한 2회의 조사(Lee et al., 1974, Hyun, 1974)가 있었을 뿐이다. 본 조사에서는 진해만과 부산해역 퇴적물의 중금속 오염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이를 해역의 퇴적물을 채취하고 퇴적물중 구리, 납, 아연, 니켈, 코발트, 철, 망간등 7가지 중금속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 PDF

東南黃海에서 海水溫度의 EOF 分析 (Empirical Orthogonal Function Analysis of Seawater Temperature in the Southeastern Hwanghae)

  • 이흥재;방인권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93-202
    • /
    • 1986
  • 황해 동남해역에서 해면과 30m층 수온의 시. 공간 변동성을 1967-1982 장기 수온자료의 variance 와 cmpirical orthogonal function(EOF)분석으로 연구하였다. 월평균 해면수온의 공간분포는, 남에서 북으로 감소하는 장기 년평균과 유사한 형태를 갖고 있다. 반면에 년평균 해면수온으로부터 계산한 분산은 남에서 북으로 증가한다. 해면 수온의 variance 가 경기만 남부해역을 제외한 연구해역에서 30m층 보다 2배이상 크다. EOF의 첫째와 둘째 모드가 계절변화를 갖고 있으며 해면과 30M층 variance의 97.6%와 85.2%를 각각설명하기 때문에 수온의 큰 variance 는 계절변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겨울철 조사 해역 북부와 남부사이 수온의 차이가 크나 여름철에는 작아진다. 이것은 여름철 복사에 의한 해면의 열흡수가 열손실이 나 해양열이류보다 훨씬 크다는 것을 반영해준다. 여름철에 경기만 남부와 목포 주변 연안수가 조석혼합에 의해 외해수보다 수온이 낮게 나타난다.

  • PDF

양산단층 북부 유리계 일대의 신기 단층운동 소고 (Discussion on the Quaternary fault movement at Yugye-ri area in the northern part of Yangsan Fault)

  • 경재복
    • 한국지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진공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66-73
    • /
    • 2001
  • Yangsan fault in the southea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has been locally reactivated along a prexisted fault during the late Pleistocene time. Geomorphological evidence of the reactivation is revealed at the northern segment(Yugye-ri, Tosung-ri areas) of the Yangsan fault. The reactivation is distinctively characterized by fault gouge and fracture zone with high frequency in the Yugye-ri area. Obique slip separation of the area is about three meters of the middle terrace. The cumulative vertical displacement is recognized after the formation of the middle terrace. Age of the reactivated faulting is constrained to during the formation of dissected valley deposits. Average vertical slip based on paleo-event is inferred to about 0.5-0.7 meter in this area.

  • PDF

한국 남동부 지각의 P파와 5파 감쇠구조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Attenuation of P and S Waves in the Crust of the Southeastern Korea)

  • 정태웅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2-119
    • /
    • 2001
  • 지진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 한국 남동부 양산단층 지역에 대하여 707 미소지진자료기록에 대하여 Coda 확장규격화법을 적용할 경우, 회귀선값이 Q$_p^{-1}$는 0.009f$^{-1.05}$, Q$_s^{-1}$는 0.004f$^{-0.70}$로 나타난다. 이를 세계 여러지역에서의 조사연구와 대조하여 본 결과, 회귀선식의 지수값은 세계 여러 다른지역과 매우 유사한 반면, Q$_p^{-1}$ 및 Q$_s^{-1}$ 값은 가장 낮은 수준이다. 활성단층과 연관된 지각의 균열을 시사하는 높은 Q$^{-1}$ 값은 한국 남동부에서는 찾아지지 않았으며, 도출된 값은 오히려 순상지와 같이 지진학적으로 안정한 지역과 대응된다.

  • PDF

중부 경기육괴와 동남부 옥천변성대의 각섬암에 대한 지화학적 비교 연구 (Geochemical Comparison Study on the Amphibolite in the Central Gyeonggi massif and Southeastern Okcheon metamorphic belt)

  • 나기창;정원석
    • 암석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01-213
    • /
    • 2004
  • 경기육괴 중부지역에 속하는 경기도 양수리 일대의 변성복합체 내에 분포하는 선캄브리아 각섬암과 옥천대의 동남변에 위치하는 경북 문경군 상내리 일대에 분포하는 각섬암에 대하여 주성분 원소, 미량 원소 분석을 통하여 이들 지역의 각섬암류의 성인을 규명하고 화성활동에 대한 지구조적 환경을 해석 및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두 지역에 분포하는 각섬암은 화성기원으로 사료된다. 원암의 분류에서는 두 지역 모두 소레아이트, 아알칼리, 알칼리질 현무암을 나타내었으며 주로 소레아이트 영역에 해당되었다. Ti-Zr-Y 및 Zr-Nb-Y 자료를 도시하면 일반적으로 경기육괴의 각섬암은 중앙해령내지 화산호 현무암과 같은 해양성 현무암이고, 동남부 옥천대의 각섬암은 판내부 현무암으로 분류되어 두 지역의 생성환경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옥천대의 경우 같은 지역의 기존의 연구 결과와 잘 일치하며, 양수리 각섬암의 경우는 경기육괴 서부 지역의 연구결과와 유사하여 경기 육괴 서부에 분포하는 각섬암과 비슷한 기원 마그마로부터 유래된 것으로 사료된다. 희토류원소의 분석치는 두 지역 모두 LREE가 HREE 보다 높으며 음의 Eu 이상치가 확연하게 나타나지 않아 사장석의 분별정출이 마그마의 기원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영일만 다모류 군집의 계절별, 공간적 변화 (Seasonal and Spatial Variation of Polychaetous Community in Youngil Bay, Southeastern Korea)

  • 신현출;최성순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46-54
    • /
    • 1992
  • 1991년 4계절 동안 영일만의 다모류 군집에 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다모류는 전 체 저서동물 개체수의 71.3%를 차지하는 가장 우점하는 동물군으로 총 72종이 채집되 었고 평균서식밀도는 1,485 indiv.m/SUP -2/이었다. 종수와 개체수는 여름에 54종, 3,2.7 indiv. m/SUP -2/ 으로 가장 높았고, 가을에 35종, 755 indiv. m/SUP -2/으로 가장 낮았다. 우점종은 Spiophanes nombyx (37.5%), followed by Pseudopolydora sp.(8.4%), Lumbrineris longifolia(7.0%), Madden cristata(6.5%), Polydora ciliata(4.9%)등이다. 겨울에는 Maldane cristata, 봄에는 Polydora ciliata, 그리고 여름과 가을에는 Spiophanes bombyx가 우점하였다. 다모류는 영일만의 남동쪽 해역에 서 풍부하였고 형산강 입구에서 빈약하였다. 종조성에 기초한 집괴분석 결과 영밀만은 3개의 지역으로 구분되었다. 각 지역에는 특정적인 동물 군집이 형성되었다. 즉, 영 일만의 중심부에서 남동쪽 해역까지는 Maldane-Praxillella 군집, 북서쪽 해역은 Spiophanes-Nephtys 군집, 그리고 형산강 입구에서 포항항까지는 Pseudopolydora-Polydora-Capitella 군집이 형성되었다. Maldane-Praxillella 군집은 55종으로 출현종수가 가장 많으며, 종다양성지수와 종풍부도지수 역이 가장 높았다. Pseudopolydora-Polydora-Capitella 군집은 서식밀도가 가장 높았다. Pseudopolydora-Polydora-Capitella 군집은 유기물오염 지시종이 우점하는 특징적인 군집이다. 우점종은 Pseudopolydora sp., Polydora ciliata, Capitella capitata, Dorvillea sp. 등이다.

  • PDF

경주시 감포지역 해안단구 지형발달 (Geomorphic Development of Mt. Yeontae at Gampo area, Gyeongju City in the southeastern Korea)

  • 윤순옥;황상일
    • 대한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리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9-39
    • /
    • 2004
  • 한반도 동해안 지역은 해안단구가 모식적으로 분포하여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 졌다. 1973년에 김서운에 의해 처음으로 한반도에 해안단구가 보고되었으나, 오랫동안 해안단구는 구정선고도 약 90m a.5.1.에서 형성된 것이 가장 높은 것으로 간주되었고 그 이상 고도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후 황상일 외(2000)는 경주 감포에서 110, 120, 130, 150m의 지형면이 존재할 가능성을 보고했으며, 강릉 정동진에서 윤순옥 외(2003)에 의해 고고위면이 110, 140m에서 확인되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