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urce separation

검색결과 450건 처리시간 0.034초

Audio Source Separation Based on Residual Reprojection

  • Cho, Choongsang;Kim, Je Woo;Lee, Sangkeun
    • ETRI Journal
    • /
    • 제37권4호
    • /
    • pp.780-786
    • /
    • 2015
  • This paper describes an audio source separation that is based on 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 (NMF) and expectation maximization (EM). For stable and highperformance separation, an effective auxiliary source separation that extracts source residuals and reprojects them onto proper sources is proposed by taking into account an ambiguous region among sources and a source's refinement. Specifically, an additional NMF (model) is designed for the ambiguous region - whose elements are not easily represented by any existing or predefined NMFs of the sources. The residual signal can be extracted by inserting the aforementioned model into the NMF-EM-based audio separation. Then, it is refined by the weighted parameters of the separation and reprojected onto the separated sources.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scheme (outlined above) is more stable and outperforms existing algorithms by, on average, 4.4 dB in terms of the source distortion ratio.

AUSPLUME 모델을 이용한 악취를 피하기 위한 산업오염원과 주거단지 사이 이격거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paration Distance between Industrial Source and Residential Areas to Avoid Odor Annoyance Using AUSPLUME Model)

  • 정상진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393-400
    • /
    • 2002
  • Separation distance between industrial source and residential areas to avoid odor annoyance was investigated using AUSPLUME model. A Gaussian plume model (AUSPLUME) for the dispersion was used to calculate odor emission from ground level area source. Using the dispersion model to calculate ambient odor concentrations,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industrial source and residental areas was defined by %HA (percentage of highly annoyed person) and odor percentile concentration (C98). The result was compared with the separation distance of various nation guidelines for livestock buildings. The calculated separation distance for industrial source showed similar pattern comparing with various guidelines for livestock buildings.

인접 배치된 스테레오 무지향성 마이크로폰 환경에서 양이간 강도차를 활용한 음원 분리 기법 (Sound Source Separation Using Interaural Intensity Difference in Closely Spaced Stereo Omnidirectional Microphones)

  • 전찬준;정석희;김홍국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12호
    • /
    • pp.191-196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실제 환경에서 인접 배치된 무지향성 스테레오 마이크로폰을 활용하여 녹음받은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를 양이간 강도차에 기반하여 원하는 방위각에 존재하는 음원을 추출하는 음원 분리 기법을 제안한다. 먼저, 최소 분산 무손실 응답빔형성기를 활용하여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의 양이간 강도차를 극대화하고, 강도차 기반의 음원 분리 기법을 적용한다. 제안된 기법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stereo audio source separation evaluation campaign (SASSEC)에서 제공하는 객관적 성능평가 지표인 source-to-distortion ratio (SDR), source-to-interference ratio (SIR), sources-to-artifacts ratio (SAR)을 측정하였다. 측정한 결과, 음원 분리 기법에 빔형성기까지 적용한 결과가 높은 성능을 보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IVA 기반의 2채널 암묵적신호분리에서 주파수빈 뒤섞임 문제 해결을 위한 후처리 과정 (Post-Processing of IVA-Based 2-Channel Blind Source Separation for Solving the Frequency Bin Permutation Problem)

  • 추쯔하오;배건성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5권4호
    • /
    • pp.211-216
    • /
    • 2013
  • The IVA(Independent Vector Analysis) is a well-known FD-ICA method used to solve the frequency permutation problem. It generally works quite well for blind source separation problems, but still needs some improvements in the frequency bin permutation problem. This paper proposes a post-processing method which can improve the source separation performance with the IVA by fixing the remaining frequency permutation problem. The proposed method makes use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power ratio between frequency bins for separated signals with the IVA-based 2-channel source separation. Experimental results verified that the proposed method could fix the remaining frequency permutation problem in the IVA and improve the speech quality of the separated signals.

스테레오 패닝 음원을 위한 음원 분리 알고리즘 (A Source Separation Algorithm for Stereo Panning Sources)

  • 백용현;박영철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77-82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패닝 기법을 이용하여 믹싱된 스테레오 음원에서 음원을 분리하는 방법에 대하여 고찰한다. 음원 분리 알고리즘은 다채널 포맷 변환을 위한 업믹스나 음질 개선, 고품질 음원 분리 등 다양한 응용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사용하는 음원 분리 알고리즘은 믹싱된 스테레오 채널을 시간-주파수 별로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각각의 음원들이 패닝된 방향을 추정하며, 추정된 방향의 성분만을 추출하는 방향 필터링 과정을 거쳐 음원들을 독립적으로 분리 해 낸다. 실험을 통해 각 음원 분리 알고리즘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Flexible Nonlinear Learning for Source Separation

  • Park, Seung-Jin
    • Journal of KIEE
    • /
    • 제10권1호
    • /
    • pp.7-15
    • /
    • 2000
  • Source separation is a statistical method, the goal of which is to separate the linear instantaneous mixtures of statistically independent sources without resorting to any prior knowledge. This paper addresses a source separation algorithm which is able to separate the mixtures of sub- and super-Gaussian sources. The nonlinear function in the proposed algorithm is derived from the generalized Gaussian distribution that is a set of distributions parameterized by a real positive number (Gaussian exponent).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urtosis and the Gaussian exponent, we present a simple and efficient way of selecting proper nonlinear functions for source separation. Useful behavior of the proposed method is demonstrated by computer simulations.

  • PDF

ICA를 위한 Generalized 가우시안 Prior (GENERALIZED GAUSSIAN PRIOR FOR ICA)

  • 최승진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9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2)
    • /
    • pp.467-469
    • /
    • 1999
  •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ICA)는 주어진 데이터를 통계적으로 독립인 요소들의 선형 결합으로 표시하는 통계학적 방법이다. ICA의 주요한 적용분야중의 하나는 source들의 선형 mixture로부터 어떠한 서전 정보도 없는 상태에서 원래의 통계학적 독립변수인 source를 복원하는 blind separation이다. ICA와 source separation을 위한 다양한 신경 학습 알고리듬이 제시되어왔다. ICA의 학습 알고리듬에서는 비선형 함수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논문에서는 generalized 가우시안 prior를 도입하여 다양한 확률분포를 갖는 source들의 mixture를 분리하는 효율적인 source separation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모의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방법의 우수성을 살펴본다.

  • PDF

유사-가능도 최대화를 통한 가우시안 프로세스 기반 음원분리 (Gaussian Processes for Source Separation: Pseudo-likelihood Maximization)

  • 박선호;최승진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5권7호
    • /
    • pp.417-423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각 음원이 시간적 구조를 가졌을 경우 음원들을 분리해내는 확률적 음원분리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각 음원의 시간적 구조를 가우시안 프로세스(Gaussian process)로 모델링하고 기존의 음원분리 문제를 유사-가능도 최대화 문제(pseudo-likelihood maximization)로 공식화한다. 본 알고리즘을 통해 얻어진 데이타의 유사-가능도는 정규 분포이며 이는 가우시안 프로세스 회귀방법(Gaussian process regression)을 통해 쉽게 계산이 가능하다. 음원분리의 역혼합 행렬은 경도(gradient) 기반최적화 기법을 통해 데이타의 유사-가능도를 최대화하는 해를 찾음으로써 구해진다. 여러 실험을 통하여 제안 알고리듬이 몇 가지 특정 상황에서 기존의 분리 알고리듬들에 비해 우수한 성능을 보임을 확인 할 수 있다.

잡음 환경하에서의 음성 분리 (Convolutive source separation in noisy environments)

  • 장인선;최승진
    • 대한음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학회 2003년도 10월 학술대회지
    • /
    • pp.97-100
    • /
    • 2003
  • This paper addresses a method of convolutive source separation that based on SEONS (Second Order Nonstationary Source Separation) [1] that was originally developed for blind separation of instantaneous mixtures using nonstationarity. In order to tackle this problem, we transform the convolutive BSS problem into multiple short-term instantaneous problems in the frequency domain and separated the instantaneous mixtures in every frequency bin. Moreover, we also employ a H infinity filtering technique in order to reduce the sensor noise effect. Numerical experiments are provided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approach and compare its performances with existing methods.

  • PDF

빔공간-영역 다채널 비음수 행렬 분해 알고리즘을 이용한 음원 분리 기법 Part I: 빔공간-영역 다채널 비음수 행렬 분해 시스템 (Audio Source Separation Method Based on Beamspace-domain Multichannel 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 Part I: Beamspace-domain Multichannel 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 system)

  • 이석진;박상하;성굉모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317-331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다채널 음향 신호의 음원 분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빔공간-영역에서 다채널 비음수 행렬 분해 기법을 이용하는 음원 분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비음수 행렬 분해(NMF) 기법은 음원 분리에서 최근 널리 쓰이는 알고리즘이며, 특히 최근에는 다채널 비음수 행렬 분해(MC-NMF) 기법으로 발전하여 다채널 음향 신호에 대해서 적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다채널 비음수 행렬 분해 기법은 빔공간-영역에서 수행되어, 기존의 다채널 비음수 행렬 분해 기법에 비해 좋은 성능을 가진다. 제안되는 비음수 행렬 분해 기법은 SiSEC 2010의 데이터셋을 이용하여 검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