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ur service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49초

탈지 미강 산성 탁주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Defatted Rice Bran, Sansung Takju (Cloudy Korean Rice Wine))

  • 서봉희;황현주;성기협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19-12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현미의 기능성과 식이섬유 등과 같은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을 갖고 있으면서도 식품소재로의 활용이 미미한 미강을 전통주인 탁주의 제조에 활용하였다. 주정을 활용하여 제조한 탈지 미강을 넣어 제조한 술의 발효과정중의 이화학적 특성 및 발효특성과 탁주의 항산화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탈지 미강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H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발효 기간의 경과에 따라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탈지 미강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적정산도는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p<0.05). HPLC를 이용한 ethanol의 함량은 탈지미강의 첨가량에 따라 감소하여 control이 16.51%, TDT3이 16.20%(w/v), TDT6이 16.07 %(w/v), TDT10이 15.75%(w/v)의 순으로 나타났다. 산성탁주의 FRAP(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radical-scavenging activity는 TDT6이 2.56 g/moL로 대조군에 비해 높은 환원력을 나타내었다. 산성 탁주의 기호도에 대한 9점 척도법을 분석한 결과 TDT3이 color, sweet taste, sour taste, alcohol taste, overall-acceptability에서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TDT3의 산성주가 기호도를 향상시킨 가장 최적의 첨가조건이라고 보며, 탁주의 품질개선에 활용가치가 있으며, 상품화 가능성을 제시한다고 생각된다.

한의학 이론에 근거한 봄철 시절식(時節食)의 고찰 (A Study on the Spring Season Food in View of Oriental Medicine)

  • 지명순;김용진
    • 혜화의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1-36
    • /
    • 2013
  • Jeol-sik, (festive seasons every 15 days based on sun cycle), refers to both Korean Traditional Festival food(jeol-sik), intertwined between months, and in-season meals(si-jeol-sik) in which the ingredients used are produced in each and one of the four season. Si-jeol-sik is a kind of recommendatory food, which is combined to seasonal changes. I found that ingredients in Si-jeol-sik of spring are helpful for strengthening one's life force. Moreover, the ingredients also reflects seasonal changes. The main ingredient of Si-jeol-sik in January(in lunar year) is rice. Rice is good for upgrading one's stomach qi(energy). Rice continues to be used in February. In addition, some greens are included in February Si-jeol-sik as to help defecation. In March, the ingredients become diverse and abundant. The main concern in the ingredients found in March is not limited to stomach qi. These changes of ingredients are in line with the concept of 'health maintenance', which is written in Huangdi Neijing. The writing teaches the wisdom of adaptation to nature. Si-jeol-sik's basic idea is maybe giving people some food, which includes useful elements to help them survive through a season or the next season. They can be also explained properly by the help of five flavours theory. According to Huangdi Neijing liver is main organ of spring. So liver is more important than other organs in spring. And the most efficient way for liver is supplying sweet or sour food. Interestingly, there are many sweet elements in Si-jeol-sik of spring.

Sourdough를 이용한 제빵의 특성 (Properties of Sourdough-added Bread)

  • 정현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643-648
    • /
    • 2008
  • 본 연구는 효모와 젖산균을 이용하여 sourdough을 제조하고 이것을 첨가하여 만든 식빵의 제조 특성, 식미 및 저장성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였다. Sourdough 30, 50, 100%를 각각 첨가 시 1차 발효 후 젖산균과 효모의 생육에서 젖산균수는 $10^{9-10}CFU/g$로 크게 증가함을 나타내었고, 효모는 젖산균의 생육에 의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빵의 관능적 평가는 sourdough가 첨가된 빵인 경우 다소 신맛을 나타내었고 식감과 조직감은 대조구와 유의성이 없었으며 종합적 기호도에서는 sourdough 100% 첨가한 빵이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빵의 저장성에서 sourdough 첨가 식빵은 6일만에 곰팡이가 발생하여 3일만에 곰팡이가 발생한 대조구에 비해 보존기간이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균과 곰팡이의 오염도에 있어서도 sourdough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미생물의 균수가 적게 나타났다. Sourdough 첨가시 빵의 노화속도는 sourdough가 30, 50 및 100%로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대조구에 비해 각각 13, 20 및 36% 지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로니아(Aronia melancocarpa) 착즙액 첨가 젤리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Added with Aronia (Aronia melancocarpa) Juices)

  • 주신윤;류혜숙;최해연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56-464
    • /
    • 201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lly added with aronia juices. Aronia juices were incorporated into jelly at 0%, 10%, 20%, 30%, 40% and 50%. The total phenolic content, anthocyanin content an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jelly increased with each increase of aronia juice contents (p<0.05). The moisture content and pH of jelly decreased, but soluble soild contents and the total acidity of the jelly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each increased level of aronia juices (p<0.05). As the content of aronia juices increased, L values decreased while a and b value increased (p<0.05). Texture analysis showed that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jelly decreased with increased level of aronia juices. Consumer acceptability showed that aronia juices groups of 30% and 40% scored higher in terms of overall preference, color, and flavor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p<0.05). Characteristic intensity rating of aronia jelly showed that as more aronia juices was added, it began to intensify its purple color as well as its sour taste (p<0.05). Judging from th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addition of aronia juices to jelly in processing can enhance the preference, antioxidant compounds, an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jelly.

누룩원료를 달리하여 제조한 쌀약주의 관능적 특성 (Sensory Profiling of Rice Wines Made with Nuruks Using Different Ingredients)

  • 이승주;안병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19-123
    • /
    • 2010
  • 쌀을 주원료로 누룩 원료만을 교체하여 제조한 약주의 경우도 시료별 다양한 관능특성을 나타내어 누룩 원료 사용 변화를 통한 관능특성 다양화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선행연구(20)에서 떫은맛, 쓴맛, 곰팡이냄새, 유기용매 냄새는 기호도 저해 요인으로 나타났고 누룩향미에 대해서는 상반된 의견이 나타났다. 따라서 본 묘사분석 결과 바람직한 관능특성을 나타낸 누룩의 원료로 찹쌀, 찹쌀흑미, 멥쌀, 쌀보리, 메밀, 현미를 선정하고 흑미의 경우 신맛은 높았으나 전반적인 패널의견에서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어 선정에 포함하였다. 향후 선정된 7종의 곡물을 바탕으로 미생물 분리 및 동정을 통해 우수 균주를 선발하고 이를 통해 누룩 원료 및 미생물 다양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오미자 첨가량에 따른 Demi-Glace 소스의 일반성분과 유리당 함량 및 관능적 특성 (The Proximate Composition, Free Sugars Content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Demi-glace Sauce according to the Varying Quantity of Omija Added)

  • 김현덕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598-607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sensory characteristics and the contents of proximate composition and the free sugars of the Demi-glace with varying quantity of Omija extracts added. First, the qualities of Demi-glace sauces with varying quantity of Omija extracts added are as follows: (1) Proximate composition: The moisture content was 66.10~73.50%, and crude ash content was 1.59~1.89%. As the Omija extracts added increased, moisture content increased, whereas crude ash content decreased. The crude protein content was 6.12~7.95%. Among them, the one with the 2% Omija added showed the highest level of the crude protein. (2) Free sugars contents: In terms of total sugar contents, the control showed 1.32% and Omija sauces showed 1.44~1.55%. Major free sugars analyzed in the order of fructose, oligosaccharide, glucose and sucrose. Second, the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of Demi-glace sauces with the different levels of Omija added are as follows: (1) The preference of Demi-glace sauces according to occupation: Students and Cooks liked the one with the 2% Omija added in terms of color, flavor, taste,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Cooks showed higher preference than students. (2) The preference of 5 tastes: It was found that Demi-glace sauce with the 2% Omija added was the best. The one with the 2% Omija added was suitable in terms of sweet taste and bitter taste and the one with the 3% Omija added was desirable for hot taste and saline taste. In terms of sour taste, the one with 1% Omija added was regarded as the most desirable one. (3) The preference for authentic tastes for Demi-glace sauce: In terms of simple taste, females showed higher preference than males. Demi-glace sauce with the 2% Omija added was found to be the best for savory taste, flavor enhancer taste, simple taste, after 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The one with the 1 % Omija added was regarded as the best for soft taste.

  • PDF

커피음식 조화도에 영향을 미치는 맛 선호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Taste Preference on Harmony of Coffee Food)

  • 복혜자;진양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8-77
    • /
    • 2011
  • 본 연구에서 커피 음식 조화도에 영향을 미치는 맛선호도를 알아보기 위해 커피음식조화도와 맛선호도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맛 커피음식 조화도에 영향을 미치는 맛선호도가 있는지 조사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커피음식 조화도에서 외국음식은 제과 제빵류에서 보통수준 또는 그 이상의 조화도가 있는 것으로 인식되었고, 커피믹스보다는 원두커피가 더 조화롭다고 인식하였고, 한국음식은 커피와의 조화도에서 보통수준 또는 그 이하의 조화도가 있다고 인식하였는데 이중 후식류인 떡류와 전통간식류, 한과류에서 상대적으로 조화도의 인식이 높았다. 맛 선호도와 커피 음식조화도와의 상관관계에서 외국음식은 단맛과 짠맛이 낮을수록 커피와 어울리는 것으로 신맛과 쓴맛, 매운맛, 담백한 맛은 선호도가 높을수록 어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커피음식조화도에 영향을 미치는 맛 선호도로 외국음식은 일부음식을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단맛과 단백한 맛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한국음식은 일부를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쓴맛과 단백한 맛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음주 후의 혈중알코올농도 변화의 재현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producibility of blood alcohol concentration - time profile of an individual)

  • 홍성욱
    • 분석과학
    • /
    • 제26권3호
    • /
    • pp.199-20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음주 후 시간경과에 따른 혈중알코올농도 변화의 재현성을 실험하였다. 5명의 한국인 자원자에게 22%(v/v) 소주 한병(ethyl alcohol로 환산했을 경우 55.5 g)을 30분 안에 나눠 마시게 하는 실험을 5회 반복하였다. 자원자들에게는 안주로 회와 탕수육을 교대로 제공하였다. 알코올 섭취량과 섭취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했음에도 불구하고 혈중알코올농도가 최고에 이르는 시간과 그 때의 농도 및 시간경과에 따른 혈중알코올농도의 감소율은 사람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또한 안주에 따라서도 시간 변화에 따른 혈중알코올농도 변화곡선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동일인에게 5회에 걸쳐 각기 다른 날 동일한 조건으로 음주하게 한 후 혈중알코올농도 변화곡선을 관찰한 결과, 시간경과에 따른 혈중알코올농도변화는 재현성이 없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특정 시간대의 혈중알코올농도를 정확하게 역추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미각 영역별 설색 분석을 이용한 디지털 설진 시스템 개발 (A development of a Digital tongue diagnosis system using the tongue color analysis of the each taste region)

  • 최민;양동민;이규원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428-434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미각영역별 색상분석에 의한 새로운 한의학적 설진 시스템을 제안한다. 시스템의 전체 구성은 혀 모양의 영상입력 탬플릿 범위 설정 및 영상획득, 미각영역별 분할, 분할된 영역에 대하여 H-S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색상분석 및 이상 유무 판별, 모바일 앱과의 연동으로 구성된다. 혀 영역으로부터 짠맛, 신맛, 단맛, 쓴맛의 네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분할하고, RGB 컬러영상을 HSI 컬러영상으로 변환하였다. 색상분석은 HSI 모델을 이용하였는데, 주변 조도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I(Intensity)값을 제외한 H(Hue)와 S(Saturation) 성분의 히스토그램을 이용하여 색상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이용하여 정상태 히스토그램의 범위를 기준으로 이상 유무를 판별한다. 마지막으로 제안한 알고리즘을 모바일 앱과 연동하여,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설진 자가진단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비파 퓨레 첨가량을 달리한 양갱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nggaeng containing Various Amounts of Loquat Fruits Puree)

  • 권순용;정장호;박기봉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75-84
    • /
    • 2015
  • 본 연구는 비파를 이용한 양갱의 최적 배합 비율과 비파 퓨레와 비파양갱의 이화학적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비파 퓨레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수분, 당도, pH, 항산화 활성 및 폴레페놀 함량이 증가하였고, 관능적 품질 특성에서는 비파 퓨레 60~80% 첨가시에 선호도가 높았다. 따라서 비파양갱의 최적 배합비율은 비파 퓨레를 60% 첨가시 맛과 기호도에서도 좋으며, 다양한 기능성이 기대되는 양갱을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