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이두현 장주근 이광규[공] 지음, 한국 민속학 개설, 서울, 일조각, 2004.
|
2 |
국립민속박물관, 조선대세시기 3, 서울, 국립민속박물관, 2007.
|
3 |
조후종, 세식풍속과 우리음식, 서울, 한림출판사, 2002.
|
4 |
정종한 편역, 校註 黃帝內經 素問解釋 上, 서울, 의성당, 2010.
|
5 |
허준 저, 신대역 동의보감, 서울, 법인문화 사, 2009.
|
6 |
허준 저, 이남구현토주석, 동의보감, 서울, 법인문화사, 2011.
|
7 |
당종해 저, 최철한 편역, 도표 본초문답, 고양, 대성의학사, 2009.
|
8 |
전통의학연구소 편, 동양의학대사전, 서울, 成輔社, 2000.
|
9 |
김매순, 홍석모, 민주면, 유득공 저, 이석호 역, 朝鮮歲時記, 東文選, 서울, 1991.
|
10 |
성백효, 논어집주, 서울, 전통문화연구회, 1990,
|
11 |
이두현, 한국歲時風俗의 연구, 1971.
|
12 |
임동권, 한국세시 풍속 연구, 1985.
|
13 |
윤서석, 한국의 음식용어, 서울, 민음사, 1991.
|
14 |
윤서석․이기열․유태종외 4인 한국음식대관 제1권, 서울, 한림출판사, 1997.
|
15 |
윤창렬․이남구․김선호 해석, 黃帝內經素問 王氷注, 주민출판사, 대전, 2003.
|
16 |
이경우 해석, 黃帝內經素問素問, 서울, 여강, 2007
|
17 |
정혜경, 천년한식견문록, 생각의 나무, 서 울, 2009.
|
18 |
지명순, 제호탕의 장면역활성에 관한 연구, 세종대 박사학위, 2007.
|
19 |
황혜성, 조선왕조궁중음식, 궁중음식연구원, 서울, 2001.
|
20 |
곽연주.김연주, 세시음식에 대한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인지도 및 경험도에 관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1(4), 2009.
|
21 |
강재희.윤숙자, 서울.경기 지역 대학생들의 세시음식에 대한 인지도와 이용에 관한 연구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18(4), 2008.
|
22 |
김미리, 한국전통 편의 음료와 조리과학, 한국식품조리과학회, 17 (6), 2001.
|
23 |
김은미, 강화 지역 중년 남.녀의 의례 음식 섭취 실태,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18(4), 2008.
|
24 |
김은실, 강원 지역 농촌 주부들의 전통 식생활 습관에 관한 실태 조사(II)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12(1), 1996.
|
25 |
박승정, 김완희, 五味에 대한 문헌적 고찰, 경희한의대 논문집 제21권 제1호, 1998
|
26 |
박환영, 도시생활속의 歲時風俗, 중앙민속학, 11권, 2006.
|
27 |
상기숙, <東國歲時記>와 <荊楚歲時記>의 歲時風俗 比較,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동방학, 3권, 1997.
|
28 |
신미경.정희정 한.중.일 세시풍속과 세시 음식(歲時飮食)에 대한 비교,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18(3), 2008.
|
29 |
임국이, 김선효, 떡의 이용실태 및 시판재 품에 대한 평가, Korean J. Dietary Culture 3(2), 1988.
|
30 |
장장식, <東國歲時記>의 기술 태도와 특 징, 경희대학교 민속학연구소, 한국의 민속과 문화(구 한국문화연구), 1(2), 1999.
|
31 |
진경환, 세시기 서술의 방식과 의미, 2004.
|
32 |
임양순, 우리나라 절식에 관한 연구, Korean J. Dietary Culture 1(4), 1986.
|
33 |
설민영, 김을상, 한양일, 청주지역 세시음 식에 관한 연구, Korean J. Dietary Culture 6(3), 1991.
|
34 |
윤서석, 한국의 절식풍속, 대한가정학회지, 3권, 1962.
|
35 |
이춘자, 한국의 전통 - 건강을 지켜주는 여름철 전통 음료, 식품문화 한맛한얼, 2(2), 2009.
|
36 |
김향희, 황춘선, 한국절식의 시행실태에 관한 지역별 비교연구, Korean J.Dietary Culture 6(2), 1991.
|
37 |
박을규, 황제내경의 양생사상에 관한 연 구, 대한한약 제7호 (2003. 6)
|
38 |
허성미.한재숙, 세시풍속 및 세시음식의 실태에 관한 연구,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3(2), 1993.
|
39 |
김열규, 한국인의 歲時風俗 어제와 오늘, 1986.
|
40 |
정창현, 황제내경의 사유체계와 그 특징,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제17권 4호, 2004
|
41 |
지명순, 국민의 꽃 진달래, 충청타임즈, 2009년 4월 22일.
|
42 |
24절기, 네이버지식사전, http://terms.naver .com/entry.nhn?docId=655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