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up

검색결과 911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음식의 대량생산 표준레시피개발에 관한 연구(I) -탕반류- (Standardization of Recipes for Large Quantity Production of Korean Foods (I) -With the Focus on Soups-)

  • 한경수;이은정;표은영;이현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35-246
    • /
    • 200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standardize recipes for large quantity production for Korean foods such as Yukkaejang (spicy beef and vegetable soup), Sagol-woogeojitang (bone soup with young cabbage), Kalbitang (beef short-ribs soup) and Seolleongtang (beef and bone soup). We examined the ingredients and the amounts in recipes that were used by 3 groups such as foodservice management companies, commercial restaurants and cookbooks. We analyzed cooking methods from 5 foodservice management companies, 3 commercial restaurants and 2 kinds of cookbooks. Each soup that was made by a standardized recipe was evaluated by consumer sensory panels. The total yield volume and portions for 100 persons were determined as well as ingredients, weights and methods. The standardized recipes were as followed; yield volume after cooking was 38-40kg, optimum service temperature was 78-82$^{\circ}C$, preparation time was 4-16 hours for 100 persons, and one portion was 380-400g, and we recorded the weight of foods and methods, as well as reference and garnishes. We expect that the standardized recipes for large quantity production will be necessary for use by cooks as well as by food preparation in foodservice institutions.

전주지역 김치와 국${\cdot}$찌개의 염도 및 섭취실태 (Salinity and Consumption Patterns of Kimchi and Soup${\cdot}$Stew in Jeonju Area)

  • 송미란;이경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84-91
    • /
    • 2008
  •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식생활에서 나트륨 섭취를 줄여나갈 수 있는 대책마련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전주지역 주부를 대상으로 2007년 5월부터 6월까지 섭취하고 있는 김치와 국${\cdot}$찌개를 수거하여 염도를 조사하고, 설문지를 통해 소금섭취와 관련된 식행동과 섭취실태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연령은 40대가 57.8%로 가장 많았고, 가족 수는 4명, 5명 이상이 41.3%로 많았으며, 최종 학력은 고졸이 41.3%로 가장 많았다. 가정의 한달 평균 수입은 100-200만원이 28.4%, 200-300만원이 22.9%였고, 54.1%가 직업을 가지고 있었다. 2. 섭취하고 있는 김치의 평균 염도는 $2.0{\pm}0.5%$였다. 3. 섭취하고 있는 국${\cdot}$찌개의 국물 염도는 $1.0{\pm}0.3%$, 국물과 건더기를 믹서에 갈아서 잰 염도는 $0.8{\pm}0.3%$였다. 국의 염도는 $0.9{\pm}0.3%$, 찌개의 염도는 $1.1{\pm}0.3%$로서 찌개의 염도가 국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01). 된장국의 염도 $1.0{\pm}0.3%$, 맑은 국읜 염도는 $0.8{\pm}0.3%$로서 된장국의 염도가 맑은 국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4. 염분섭취와 관련된 식행동 점수가 높을수록 즉, 짠 음식을 선호할수록 섭취하고 있는 국${\cdot}$찌개의 염도도 높아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5. 식사를 하면서 소금이나 간장을 사용하는지에 대한 질문에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경우가 많았는데, 국${\cdot}$찌개의 염도가 낮은 군에서 높은 군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1). 6. 하루에 섭취하는 김치의 횟수는 대상자의 50% 이상이 매 끼니 섭취하는 것으로 응답하였고, 한번 식사 시 섭취하는 김치의 종류는 1-2종류가 가장 많았다. 섭취하고 있는 김치의 간에 대해 김치 열도가 낮은 군에서 '보통'으로 응답한 경우가 많았고, 김치 염도가 높은 군에서는 '보통' 또는 '짜다'고 응답한 경우가 많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1). 또한 국${\cdot}$찌개의 염도가 낮은 군에서 '싱겁다'고 응답한 경우가 많아 국${\cdot}$찌개의 염도가 높은 군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자주 섭취하는 김치는 배추김치, 파김치, 나물김치, 무김치, 깍두기, 열무김치 등이었다. 7. 하루에 섭취하는 국${\cdot}$찌개의 횟수는 2회 섭취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김치염도가 낮은 군에서 높은 군에 비해 국물을 '반 그릇 이상' 먹는 경우가 더 많았고, 또한 국물은 먹지 않고 건더기만 먹는다고 답한 응답자의 비율이 더 많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1). 섭취하고 있는 국이나 찌개의 간에 대한 질문에서는 '보통이다'로 응답한 경우가 많았다.

바람직한 식사패턴 작성을 위한 국과 찌개 음식군의 연구 - 청소년의 섭취량과 기호도 자료 활용한 대표영양가 산출 - (Food Group Assignment of Korean Soup & Stew for Desirable Target Pattern Draft - Representative Nutritional Value Calculation Based on Intake and Preference of Adolescent -)

  • 오혜란;김영남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37-147
    • /
    • 2015
  • 균형 잡힌 식단의 구성을 목적으로 권장식사패턴이 마련되었다. 그러나 국, 찌개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식품들이 혼합되어 조리되는 음식의 경우에는 식품군 및 권장섭취횟수의 배분 과정에서 어려움이 발생한다. 본 연구는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국 찌개 음식의 대표에너지와 대표영양가를 산출하였다. 섭취량과 기호도 조사 자료를 근거로 산출하였으며, 섭취량 자료는 국민건강 영양조사의 13~19세 청소년 자료, 기호도 자료는 전국 7개 특별시와 광역시 중학생 23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하였다. 섭취량에 의한 채소류 국과 찌개의 대표에너지는 각각 65kcal, 116kcal로 권장식사패턴의 채소류군 대표에너지 14kcal와 비교하여 커다란 차이가 확인되었다. 섭취량에 의한 고기 생선 계란 콩류 국과 찌개의 대표에너지는 각각 149kcal, 211kcal로 권장식사패턴의 고기 생선 계란 콩류군 대표에너지 94kcal와 비교하여 큰 차이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국, 찌개 같이 몇 가지 식품군의 재료들이 혼합되어 조리되는 음식의 경우 현재의 권장식사패턴을 적용하는 식단 구성 방법은 정확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국과 찌개를 별도의 음식군으로 구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호도 분석에 의한 국과 찌개의 대표에너지는 섭취량 분석 결과와 차이가 거의 없었으며, 다만 고기 생선 계란 콩류국의 차이가 가장 컸다(섭취량: 149kcal, 기호도: 218kcal). 결론적으로 채소류국, 고기 생선 계란 콩류국, 채소류찌개, 고기 생선 계란 콩류찌개의 4개 음식군으로 분류하는 식사패턴을 고안한다면 식단의 에너지 제공량을 보다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미역에 대한 영양지식과 이용실태에 관한 연구 -대구.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ctual State of Use and Nutrition Knowledge for Sea Mustard in Daegu and Kyungpook Area)

  • 한재숙;이연정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321-334
    • /
    • 2000
  • This study was performed by questionnaire to investigation the nutrition knowledge, the recognition, the preference and the actual state of use of sea mustar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onsisted of 901 people (426 males and 475 females) in the Daegu and Kyungpook area.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nutrition knowledge score of sea mustard was 11.1 for male and 12.8 for female, respectively. The recognition non sea mustard dishes showed a high mean value of 4.11 to "healthy food". 54% of the respondent liked sea mustard and favorite dish was in the order of soup, fresh, cold soup, Wrapped, salted, fried sea mustard. Soup of sea mustard was the best favorite dish, followed by fresh sea mustard, cold soup, wrapped, salted, fried sea mustard, in descending order. Soaking time of sea mustard was 11~20 minutes and its percentage is 31.1%, 39.6% of responders suggested ′good quality′ as facts that has been improved in the commercial sea mustard.

  • PDF

시판 라면스프 및 고춧가루 중의 매운맛 성분 Capsaicin 함량측정을 통해 추정된 한국인의 Capsaicin 섭취량 범위 (Approximate Amounts of Capsaicin Intakes Determined from Capsaicin Contents in Powdered Soups of Korean Instant Noodles and Hot Peppers)

  • 유리나;박정순;김명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501-504
    • /
    • 1999
  • In order to get a quantitative information of capsaicin intakes derived from Korean daily spicy food, capsaicin contents in powdered red hot peppers and powdered soup of Korean instant noodles were measur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apsaicin contents were 0.03~0.33mg/g in the powdered hot pepper, 3.67~5.50mg/g in the powdered soup with most spicy taste, 2.15~3.14 mg/g in the soup with medium level of spicy, and below 1.5mg/g in the soup with mild taste of Korean instant noodles. From the results, it was estimated that the amounts of daily intake of capsaicin from hot pepper were about 0.38~4.95mg/day, and capsaicin intakes from one pack of Korean instant noodles were about 10~60mg.

  • PDF

급식업체에서 제공하는 국류의 적정 염도와 온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eference of Salinity and Temperature of Soups Served in the Institutional Foodservice Establishment)

  • 조미희;김선주;이경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601-607
    • /
    • 2008
  • This study was examined the preferred temperature and salinity of soup in various demographic groups in order to establish the desirable serving renditions of soup for customers' satisfaction and health. Temperature and salinity were measured in August and November in order to determine the seasonal variation in preference using a digital salinity-temperature measuring device. Four demographic groups totaling 530 were from foodservice establishments in elementary schools(ES: male 68/female 59), middle-high schools(MHS: 62/69), universities(UNIV: 72/67) and companies(COM: 69/64) in Seoul. Various thin or thick soups which are typically served in foodservice establishments were served hot(below $90^{\circ}C$) and warm(below $40^{\circ}C$) in a 50mL portion: salty(1.2%) and less salty(0.4%) at $55{\pm}2^{\circ}C$. The preferred salinities and temperatures of the soups were found to be 0.74%, 0.82%, 0.64% and 0.67% and $49.65^{\circ}C$, $54.24^{\circ}C$, $57.56^{\circ}C$, $58.81^{\circ}C$ for the ES, MHS, UNIV and COM groups, respectively. The preferred temperatures of the soups were increased depending on the age, so the positive correlation was shown between temperature and age. However the preferred salinities of soups were not effected. There was no consistent tendency between men and women in temperature. For salinity, men preferred $0.04{\sim}0.12%$ higher than women in the ES, MHS and UNIV groups. There is no consistent tendency between thin and thick soup in temperature. All groups preferred higher salinity in the thick soup than in the thin soup. Most of the customers preferred a higher temperature and higher salinity in November than in August.

  • PDF

감자의 품종과 농도에 따른 수우프의 점도변화 및 식미기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Viscosity Changes and Palatability of Potato Soup by Different Variety and Consistency)

  • 이승교;안홍석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45-52
    • /
    • 1985
  • 감자의 품종별 조리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춘작 4 종(남작, 대지, 도원 및 수미)과 하작 4종(남작, 수미빈체 및 라도사)을 선택하여 전분의 특성과 수우프의 점도와 식미를 측정하였다. 감자전분의 아밀로그람 특성을 품종에 따라 큰 차이를 보여 주었다. 춘작은 breakdown이나 setback 이나타나지 않고 연차적으로 점도가 상승하였으며, 호화개시 온도가 높았다. 하작의 빈체와 작은 호화가 쉽게 일어나며, breakdown 이 나타났다. 하작은 호화개시온도가 춘작에 비해 낮으므로, 전분입자가 치밀하지 못함을 유추할 수 있다. 수우프의 점도를 비교하면, 춘작의 수미, 대지 및 도원은 수우프의 온도가 내려감에 따라 점도상승이 뚜렷하나, 춘작의 남작과 하작 4종은 상승폭이 작았다. 으깬감자와 수우프의 식미검사를 보면 춘작에서는 남작이 가장 우수하였으며, 하작에서는 수미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다. 감자의 농도에 따라 수우프의 맛은 달라지는데 춘작의 대지, 도원 및 수미는 19.8%와 23.5% 농도에서 우수하였으나, 하작감자와 춘작의 남작은 27%농도에 서 우수하였다.

  • PDF

융복합적인 웰리스를 위한 야채수프의 인간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Vegetable Soup in Human Cancer cells for Wellness Convergence)

  • 심재근;이재혁;박정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8호
    • /
    • pp.543-548
    • /
    • 2015
  • 본 논문은 야채수프의 인간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야채수프 (VS)와 브로콜리가 들어간 야채수프 (VSB), 토마토가 들어간 야채스프 (VST)를 이용하여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를 살펴보았다. 인간 암세포주는 위암 (AGS)세포주, 급성 전골수성 백혈병 (HL-60)세포주, 폐암 (A549) 세포주를 사용하였으며 MTS방법으로 암세포 증식 억제를 확인하였다. 위암 세포주는 VSB, VST에서 암세포 증식 억제효과가 있었으며 VS에 비해 유의성이 있었다. 급성 전골수성 백혈병 세포주는 VST에서 유의성 있는 억제를 보였으며 폐암 세포주는 VSB에서 VS보다 탁월한 효과를 보였다. 혼합 야채스프는 기능성 소재로 활용과 융복합적인 웰리스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채소죽과 콩나물국의 천일염과 MSG 사용에 따른 나트륨 함량 변화 (Effect of Combined Use of Sun-dried Salt and Monosodium Glutamate on Sodium Concentration in Vegetable Rice Porridge and Bean-sprout Soup)

  • 성동은;박재영;한지석;박유영;조미숙;오상석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52-57
    • /
    • 2017
  • The feasibility of reduction of sodium intake using sun-dried salt and monosodium glutamate (MSG) was studied. Preference test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sensory properties of bean-sprout soup and vegetable rice porridge soup. Sun-dried salt and MSG might be a partial substitute for refined sal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alt taste strength between sun-dried salt and refined salt. Sun-dried salts 0.45% with MSG 0.07% resulted in the highest taste preference compared to that of sun-dried salts 0.60% without MSG in bean-sprout soup, which resulted in 23.9% reduction of sodium intake. Sun-dried salts 0.38% with MSG 0.04% resulted in the highest taste preference compared to sun-dried salts 0.53% without MSG in vegetable rice porridge soup, which resulted in 25.4% reduction of sodium intake. There seemed to be a synergistic effect on reduced usage of sodium salt when MSG was used in vegetable rice porridge and bean-sprout soup with sun-dried sa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