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linity and Consumption Patterns of Kimchi and Soup${\cdot}$Stew in Jeonju Area

전주지역 김치와 국${\cdot}$찌개의 염도 및 섭취실태

  • Song, Mi-Ran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Jeonju Kijeon College) ;
  • Lee, Kyung-Ja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Jeonju Kijeon College)
  • 송미란 (전주기전대학 식품영양과) ;
  • 이경자 (전주기전대학 식품영양과)
  • Published : 2008.02.29

Abstract

In this study, Kimchi, soup and stew samples were collected from May to June, 2007, in the Jeonju area, and their salinity levels were analyzed. In addition, housewives were surveyed via questionnaire to assess food behaviors and consumption patterns. The average salinity of the Kimchi samples was $2.0{\pm}0.5%$. The average salinity of the soup/stew samples was $1.0{\pm}0.3%$ in the broth portion and $0.8{\pm}0.3%$ in the homogenized mixture of both broth and solids. The average salinity of all types of soup was $0.9{\pm}0.3%$, and that for stews was $1.1{\pm}0.3%;$ the average salinity of the stew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soup (p<0.001). Beanpaste s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average salinity $(1.0{\pm}0.3%)$ than clear soup $(0.8{\pm}0.3%)$ (p<0.05). The Food behavior scores of the respondents, with regard to sodium intake and salty taste preference,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to the salinity of the soup and stew samples (p<0.01). The consumption patterns of the Kimchi and soup/stews were also analyz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was a relationship to the saltiness of the food samples. The respon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for each food category: Kimchi groups of below 2.0% salinity and above 2.1% salinity, soup/stew groups of below 0.8% salinity and above 0.9% salinity. The below 0.8% salinity soup/stew group used salt or soy sauce in meals significantly less frequently (p<0.01) than the above 0.9% salinity group. The lower salinity Kimchi and soup/stew groups gave significantly higher scores regarding answers that their Kimchi was 'bland' (p<0.05). The types of frequently consumed Kimchi were determined as Korean cabbage, Welsh, wild greens, radish, KKak Du Ki, and Yol Mu Kimchi. When compared to the above 2.1% salinity Kimchi group, the below 2.0% salinity Kimchi group gave higher scores regarding answers that they consumed 'more than half the broth in the bowel' and also gave significantly higher (p<0.01) scores in answering that they consumed only the solid ingredients, leaving the broth.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식생활에서 나트륨 섭취를 줄여나갈 수 있는 대책마련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전주지역 주부를 대상으로 2007년 5월부터 6월까지 섭취하고 있는 김치와 국${\cdot}$찌개를 수거하여 염도를 조사하고, 설문지를 통해 소금섭취와 관련된 식행동과 섭취실태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연령은 40대가 57.8%로 가장 많았고, 가족 수는 4명, 5명 이상이 41.3%로 많았으며, 최종 학력은 고졸이 41.3%로 가장 많았다. 가정의 한달 평균 수입은 100-200만원이 28.4%, 200-300만원이 22.9%였고, 54.1%가 직업을 가지고 있었다. 2. 섭취하고 있는 김치의 평균 염도는 $2.0{\pm}0.5%$였다. 3. 섭취하고 있는 국${\cdot}$찌개의 국물 염도는 $1.0{\pm}0.3%$, 국물과 건더기를 믹서에 갈아서 잰 염도는 $0.8{\pm}0.3%$였다. 국의 염도는 $0.9{\pm}0.3%$, 찌개의 염도는 $1.1{\pm}0.3%$로서 찌개의 염도가 국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01). 된장국의 염도 $1.0{\pm}0.3%$, 맑은 국읜 염도는 $0.8{\pm}0.3%$로서 된장국의 염도가 맑은 국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4. 염분섭취와 관련된 식행동 점수가 높을수록 즉, 짠 음식을 선호할수록 섭취하고 있는 국${\cdot}$찌개의 염도도 높아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5. 식사를 하면서 소금이나 간장을 사용하는지에 대한 질문에서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경우가 많았는데, 국${\cdot}$찌개의 염도가 낮은 군에서 높은 군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1). 6. 하루에 섭취하는 김치의 횟수는 대상자의 50% 이상이 매 끼니 섭취하는 것으로 응답하였고, 한번 식사 시 섭취하는 김치의 종류는 1-2종류가 가장 많았다. 섭취하고 있는 김치의 간에 대해 김치 열도가 낮은 군에서 '보통'으로 응답한 경우가 많았고, 김치 염도가 높은 군에서는 '보통' 또는 '짜다'고 응답한 경우가 많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1). 또한 국${\cdot}$찌개의 염도가 낮은 군에서 '싱겁다'고 응답한 경우가 많아 국${\cdot}$찌개의 염도가 높은 군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자주 섭취하는 김치는 배추김치, 파김치, 나물김치, 무김치, 깍두기, 열무김치 등이었다. 7. 하루에 섭취하는 국${\cdot}$찌개의 횟수는 2회 섭취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김치염도가 낮은 군에서 높은 군에 비해 국물을 '반 그릇 이상' 먹는 경우가 더 많았고, 또한 국물은 먹지 않고 건더기만 먹는다고 답한 응답자의 비율이 더 많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1). 섭취하고 있는 국이나 찌개의 간에 대한 질문에서는 '보통이다'로 응답한 경우가 많았다.

Keywords

References

  1. 박태선, 김은경. 2006. 현대인의 생활영양. 교문사. 서울. pp 186-187
  2. 백희영. 2004. 염분섭취가 한국인의 고혈압 발생과 치료에 미치는 영향. 보건복지부
  3. 손숙미, 박영숙, 임화재, 김숙배. 2006. 대국민 저염섭취 영양사업 을 위한 사전조사. 보건복지부
  4. 손숙미. 2007. 우리나라 사람의 소금섭취 문제점과 저염 식생활을 위한 영양사의 역할. 국민영양 30(8): 10-14
  5. 안양시동안구보건소. 2002. 고혈압 예방을 위한 지역주민 염분섭취 실태조사 및 검색용 평가도구와 상담도구 개발 : 경기도 안양시 대상. 건강증진기금사업지원단
  6. 윤숙자. 1998. 한국의 저장 발효음식. 신광출판사. 서울. pp 89-97
  7. 질병관리본부. 2007. 국민건강영양조사 제3기 조사결과 심층분석 연구보고서: 검진부문
  8. 통계청. 2007. 2006년 사망 및 사망원인 통계결과
  9. 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6. 국민건강영양조사 제3기(2005) -영양조사-. 보건복지부
  10. 한국영양학회. 2005. 한국인 영양섭취기준
  11. Choe JS. 2003. Study on frequently consumed dishes and menu patterns of middle-aged housewives for 1 yea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5):764-778 https://doi.org/10.3746/jkfn.2003.32.5.764
  12. Cho EJ, Lee SM, Rhee SH, Park KY. 1998. Studies on the standardization of Chinese cabbage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30(2):324-332
  13. DeBruyne LK, Pinna K, Whitney E. 2007. Nutrition and diet therapy, 7th ed. Thomson Wadsworth. CA. pp 244-245
  14. Hwang GH, Yoo YK, Chung DL, Cho NC, Jung Lh. 2000. Effects of sensory acceptability for Kimchi prepared with different conditions of fermented seafood and red pepper. Korean J Food & Nutr 13(3):201-212
  15. Kang SY, Han MJ. 2002. Consumption pattern of Kimchi in Seoul Area.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6): 684-691
  16. Moon GS, Song YS, Lee CG, Kim SK, Ryu BM, Jeon YS. 1997. The study on the salinity of Kimchi and subjective perception of salinity in Pusan area. Korean J Soc Food Sci 13(2): 179-184
  17. Park BH, Cho HS, Yoo MJ.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prepared for the winter around Chonnam area. Korean J Human Ecol 6(2):57-65
  18. Park SH, Lim HS. 2003. Effects of red pepper, salt-fermented anchovy extracts and salt concentration on the tastes of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3):346-349 https://doi.org/10.3746/jkfn.2003.32.3.346
  19. Rolfes SR, Pinna K, Whitney E. 2006. Normal & clinical nutrition, 7th ed. Thomson Wadsworth. CA. pp 407-410
  20. Son SM, Park YS, Lim HJ, Kim SB, Jeong YS. 2007. Sodium intakes of Korean adults with 24-hour urine analysis and dish frequency questionnaire and comparison of sodium intakes according to the regional area and dish group. Korean J Community Nutr 12(5):545-5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