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und absorption material

검색결과 151건 처리시간 0.029초

엘리베이터 샤프트를 통한 경보음 전달 예측과 개선 (Prediction and Reduction of Alarm Sound Propagated through Elevator Shaft)

  • 정정호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4호
    • /
    • pp.89-9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우선경보방식으로 경보음이 발생되는 경우 발화층과 직상층 이외의 다른 층으로도 전달되는 경보음에 대하여 건축음향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서로 다른 엘리베이터 배치를 갖는 3가지 조건에 대하여 예측하였다.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흡음재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현재 조건으로 예측한 경우, 경보 발생층에서 멀어질수록 전달되는 경보음 크기는 작아졌지만, 3개층이 떨어진 경우에도 약 54 dB(A)~56 dB(A) 크기로 전달되어 일반적인 공동주택의 배경소음 보다 크게 전달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전 연구에서 개선안으로 제시된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흡음재를 적용한 결과 인접층으로 전달되는 경보음 레벨은 약 12 dB~16 dB 정도 작아질 수 있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는 공동주택의 배경소음 레벨과 유사하거나 작은 정도로 국가화재안전기준에서 규정한 일제경보방식의 의도대로 경보음이 발생되는 발화층과 직상층 이외의 층으로 전달되는 현상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vestigation of Sound Absorption Ability of Hinoki Cypress (Chamaecyparis obtusa) Cubes

  • JANG, Eun-Suk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5호
    • /
    • pp.365-374
    • /
    • 2022
  • Today, commercialized Hinoki cypress cubes are used for fragrance, humidification, and pillows in Korea. In this study, the sound absorption ability of Hinoki cypress (Chamaecyparis obtusa) cubes was examined. The three groups of Hinoki cypress cubes were prepared depending on their dimension (L: 9 × 9 × 9, M: 7 × 7 × 7, S: 4 × 4 × 4 mm). Their sound absorption coefficient was examined after filling 6, 8, 10, and 12 cm height in impedance tubes, respectively. Overall, the sound absorption ability depending on dimension was superior in the M group compared to the L and S groups. Also, as the filling height increased, the sound absorption capacity increased. In sum, noise reduction coefficients (NRC) of all Hinoki cypress cubes were 0.41-0.59. Thus, this research found that Hinoki cypress cubes have a sound-absorbing function.

연속공극을 갖는 기포콘크리트의 흡음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ound Absorption Properties of Cellular Concrete with Continuous voids)

  • 이승한;정용욱;박정준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566-573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기포콘크리트속에 연속공극율을 증가시켜 흡음률을 높이면서 강도를 증진시킨 강체형 흡음재의 제조를 목적으로 하였다. 실험결과, 기포첨가량을 증가시켜 연속공극률을 높일수록 흡음률이 증가하였으며, 재료두께 5cm인 경우 연속공극률 40%이상에서 평균흡음률 70%이상을 만족하였다. 또한 흡음재 두께의 증가는 중저음영역에서 흡음률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평균흡음률 70%이상을 만족하는 기포콘크리트의 비중은 재료두께 5cm에서 0.4이하, 7cm에서 0.6이하로 나타났다. 그리고 평균흡음률 70%이상 만족하는 비중 0.4인 기포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시멘트분말도 3,000$\textrm{cm}^2$/g의 경우 1.37MPa이나, 시멘트분말도 8,000$\textrm{cm}^2$/g에서는 3.34MPa로 증가되었다. 따라서, 연속공극을 갖는 기포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시멘트분말도가 높을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철도 방음벽의 전면 타공과 흡음재에 의한 흡음성능 고찰 (Investigation of Sound Absorbing Characteristics of the Railway Noise Barrier by Chang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ront Perforated Panel and Absorbing Material)

  • 김관주;김상헌;박진규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75-580
    • /
    • 2013
  • This study focused on the identification of soun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sound absorption material and perforated panel dimensions. Noise barriers consist of front perforated panel, sound absorption material and back plate. Noise barriers' acoustic performance should be required to meet the NRC of 0.7. The absorbing performance of the noise barrier relies on the opening ratio of perforated panel and the efficiency of the absorbing material. This study try to find out the possibilities of applications to railway usage.

  • PDF

무향수조를 위한 흡음재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ew absorption material for anechoic water tank)

  • 김성부;이종규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8권2호
    • /
    • pp.174-179
    • /
    • 2012
  • A new absorption material, cellulose sponge soaked in cement, was made for anechoic water tank and its acoustical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by pulse methods. The sound absorption coefficient a (dB/cm) of the material was obtained in the frequency range of 40~120kHz from the echo reduction ER (dB) and insertion loss IL (dB) data. The result was averagely 1.8dB/cm higher than the sound absorption coefficient a (dB/cm) of cork-filled rubber which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absorption materials. The wedge (1.2~5.0cm long) type absorption tiles were made with this new material. The echo reduction ER (dB) of the absorption tile with 5.0cm wedge measured in water tank was higher than 20dB in the experimental frequency range.

Mciro-flown 속도센서를 이용한 흡음률 측정 (Sound Absorption Measurement by Using Micro-Flown Velocity Sensor)

  • 정성수;조문재;김용태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692-693
    • /
    • 2004
  • We introduce a new velocity sensor, micro-flown sensor, which was developed by H-E de Bree. The sound absorption coefficients of a fiber material with the conventional pressure microphones and the micro-flown sensors were measured and compared.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both sensors could be well applied to measure the sound absorption coefficient but the pressure sensor was rather stable than micro-flown sensor

  • PDF

알루미늄 새시를 이용한 흡음구조 (Sound Absorption Material Using Aluminum Sash)

  • 김정중;정정호;손장열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01-204
    • /
    • 2007
  • 다양한 공연장 및 대공간에서의 실내음향 제어를 위해서는 실내마감재료의 흡음 및 확산성능을 제어할 수 있는 재료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알루미늄 새시를 이용한 흡음구조를 개발하였으며, 흡음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직입사 흡음계수와 잔향실법 흡음계수를 측정하였다. 수직입사 흡음계수 측정결과 알루미늄 다목적 흡음재의 타공구조와 인서트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이 공명형 흡음기의 역할을 하여 중.저주파수 대역의 흡음계수가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잔향실법 흡음계수 측정결과 알루미늄 새시를 이용한 흡음구조의 형성에 따라 공명주파수 대역보다 낮은 중저주파수 대역의 흡음계수가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기층 증가에 따라 공명주파수 이상 대역에서의 흡음률은 증가되고 주파수 대역별 흡음계수 편차도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주파수 대역의 흡음률 향상을 위한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thermal behavior, sound absorption, and flammability of natural fibre polymer composites

  • Ravi Kumar, B.;Hariharan, S.S.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76권5호
    • /
    • pp.613-618
    • /
    • 2020
  • Exhausting oil resources and increasing pollution around the world are forcing researchers to look for new, renewable, biodegradable materials to lead sustainable development. The use of fiber reinforced composites based on natural fibres has increasingly begun as prospective materials for various engineering applications in the automotive, rail, construction and aerospace industries. The natural fiber chosen to make the composite material is plant-based fibre, e.g. jute fibre, and hemp fibre. Thermosetting polymer based Epoxy (LY556) was utilized as matrix material and The composites were produced using hand lay-up technique. The fabricated composites were tested for acoustic testing,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and flammability testing to asses sound absorption, thermal decomposition and fire resistivity of the structures. Hemp fibre composites have shown improved thermal stability over Jute fibre composites. However, the fire resistance characteristics of jute fibre composites are better as compared to hemp fibre composites. The sound absorption coefficient of composites was found to enhance with the increase of frequency.

흡음형 방음판넬의 음향특성 (The Acoustical Characteristics of an Absorptive Panel)

  • 황철호;정성수;이우섭;김용태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10호
    • /
    • pp.1843-1850
    • /
    • 2000
  • 다공판과 흡음재, 그리고 공기총으로 구생되는 방음판에 대한 흡음계수를 측정하고 이론값과 비교하였다. 방음판은 세 가지 기본적인 조합물(다공판 + 공기층 + 흡용재, 다공판 + 흡음재, 다공판 + 흡음재 + 공기층)으로 구성하였다. 실험결과 저주파수 영역의 흡음력은 다공판과 공기층으로 구성되는 공명형 구조물의 공명 흡음에, 그리고 고주파수 영역은 다공판의 기공률에 크게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방음판의 흡음률 측정방법 제안을 위한 기초 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the measurement method for determining the absorption coefficient of sound barrier panels)

  • 오양기;김하근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52-160
    • /
    • 2023
  • 방음벽은 도시 주거환경의 소음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다. 방음판의 가장 중요한 음향적 기능은 음향투과손실과 흡음률로 표시된다. 특히 주거시설이 밀집되어있는 도심구간의 철도나 간선도로에서 원하지 않는 반사음에 의한 2차 소음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하여는 방음판의 흡음성능이 중요하다. 그러나 아직까지 우리나라는 방음판의 흡음률 측정방법에 관한 규격이 마련되어있지 않다. 또한 방음판의 전반적인 음향규격이 이미 만들어져 있는 유럽규격에서조차 흡음률에 관해서는 일반적인 건축마감재료의 흡음률 측정기준을 준용하고 있을 뿐, 방음벽과 방음판의 특성을 감안한 별도의 측정방법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흡음률은 재료의 내부로 흡수된 에너지 뿐 아니라 재료를 투과한 에너지까지 합산하여 평가되어야 하는데 현재의 유럽규격은 투과음 에너지를 감안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를 안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현재 제시되고 있는 방음판의 흡음률 측정 규격에 대해 고찰하고, 우리나라에서 실제 사용되고 있는 방음판을 대상으로 투과음을 감안한 새로운 측정방법과의 결과 차이를 검증하였다. 아울러 새로운 방음판 흡음률 측정규격의 마련을 위한 기초적 아이디어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