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rghum starch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9초

Molecular Structure of Sorghum and Waxy Sorghum Starches

  • Han, Young-Joo;Park, Jong-Tae;Le, Quang Tri;Shim, Jae-Hoon;Nguyen, Van Dao;Kim, Yong-Ro;Park, Kwan-Hwa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1호
    • /
    • pp.176-179
    • /
    • 2008
  • Amylose contents and amylopectin chain architecture of sorghmn and waxy sorghum starches were determin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common cereal and tuber starches. Also, in vitro digestibility of sorghum starch was estimated using a novel methodology. The absolute amylose content of sorghum starch was similar to that of com and wheat starches. The side chain length distribution patterns for sorghum and waxy sorghum amylopectin were very similar to those of com and waxy com, respectively. The $k_{cat}/K_m$ values for sorghum and potato amylopectin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The kinetic parameters could be used as novel indicators for starch digestibility.

가열처리가 잡곡류의 in vitro 전분가수분해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at Treatments on in vitro Starch Hydrolysis of Selected Grains)

  • 이영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8호
    • /
    • pp.1102-1105
    • /
    • 2006
  • 잡곡류인 수수, 기장 율무, 메밀의 가열처리에 따른 in vitro 전분가수분해율을 원곡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잡곡류의 가열처리로서 열탕처리 또는 증자 후 볶음처리를 하였으며 원곡 상태 또는 가열처리한 후 $pancreatic\;{\alpha}-amylase$를 사용하여 60분간 배양하면서 in vitro 전분가수분해율을 측정하였다. 잡곡류는 ${\alpha}-amylase$ 가수분해가 진행됨에 따라 전분가수분해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원곡의 경우 60분후 전분가수분해율이 메밀 5.4%, 기장 31.3%, 율무 48.3%, 수수 54.7% 순으로 큰 차이가 있었다. 전분가수분해율은 원곡 상태에 비해 가열처리한 곡물에서 $48.6{\sim}99.2%$로 현저히 높았으며 증자 후 볶음처리 방법이 열탕처리에 비해 수수를 제외하고 전분가수분해율이 높은 경향이었다. 본 실험에 사용한 잡곡류 중 amylose 함량이 낮은 기장, 수수, 율무가 amylose 함량이 높은 메밀에 비해 원곡 상태와 가열처리후의 전분가수분해율이 높게 나타났다.

Effects of Sorghum Hybrid and Grain Supplementation of Silage-Based Diets on Nutrient Digestibilities and Passage Rates and Ruminal Metabolism in Growing Steers

  • Bolsen, K.K.;Dalke, B.S.;Sonon, R.N. Jr.;Young, M.A.;Huck, G.L.;Harbers, L.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0권4호
    • /
    • pp.391-397
    • /
    • 1997
  • Six medium-framed steers, fitted with ruminal cannulas, were utilized in a $6{\times}6$ Latin square design with a $3{\times}2$ arrangement of treatment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orghum hybrid and grain supplementation on nutrient digestibilities and passage rates and ruminal metabolism of silage-based diets fed to growing steers. The diets consisted of three wholes-plant silages (a high grain-containing, grain sorghum and middle-season, moderate grain-containing, and late-season, low grain-containing forage sorghums), each fed with or without 25% rolled grain sorghum. No significant interactions occurred between sorghum hybrid and grain supplementation for the digestion or passage rate criteria measured. Ruminal butyrate concentration was the only fermentation characteristic affected by a hybrid ${\times}$ grain supplementation interaction. The grain sorghum silage diets had the highest DM, OM, and ADF digestibilities; the late-season silage diets, the lowest. Digestibility of NDF tended to be highest (p < 0.10) for the grain sorghum silage, whereas starch digestibility was not affected by sorghum hybrid. Ruminal ammonia, acetate, propionate, butyrate, and total VFA concentrations were highest for the grain sorghum silage diets. Grain supplementation increased DM and OM digestibilities, but had no effect on digestibilities of NDF, ADF, and starch. Ruminal pH was decreased, but total VFA concentration and acetate : propionate ratio were not affected by grain supplementation.

옥수수 및 Sorghum에 있어서 탄수화물과 NEL 축적에 관한 연구. I. Fructosan , Mono 및 Disaccharose의 합성 및 축적형태 (Studies on Reserved Carbohydrates and NEL ( Net energy Lactation ) in Corn and Sorghum I. Synthesis and Accumulation Pattern of Fructosan, Mono-and Disaccharose)

  • 김정갑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5-52
    • /
    • 1985
  • 本試驗은 옥수수 및 Sorghum類에 싫어서 形態的特性과 環境溫度가 Fructosan Mono- 및 Disaccharose의 合成, 移動 및 蓄績形態와 NEL價値이 미치는 影響을 究明코저 옥수수의 Blizzard와 Sorghum의 Sioux 및 Pioneer931을 供試品種으로 하여 圃場 및 Phytotron試驗으로 實施하였다. Phytotron의 晝/夜間 室內溫度는 30/25, 25/20, 28/18및 18/8$^{\circ}C$로 하였으며 日照는 30.000~35.000 Lux로 13時間 照謝하였다. 1978~’81年까지 얻어진 結果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옥수수 및 Sorghum類의 non-structural carbohydrate는 主로 Mono- 및 nisaccharose形態로 蓄績된다. Mono- 및 Disaccharose의 蓄績은 幼穗가 分化된以後 本格的으로 이루어져 乳熟期初期에 各各 옥수수 27.8~29.1 % 및 Sorghum類 16.8-20.4%로 最高濃度水準에 달한다. 2 Fructosan含量은 옥수수와 수수 各作物 共히 1.5~2.5%內外로서 全生育期間을 通해 큰 變化가 없다. 3. Mono- 및 nisaccharose는 主로 줄기部位에 蓄績되나 出糖期以後 穀實이 形成됨에 따라 이들 T財C의 大部分은 이삭部位로 移動되어 Starch 形態로 貯藏된다. Starch의 合成 및 蓄績은 Mono- 및 Disaccharose의 減少와 灰比例 한다. 4. 옥수수 및 Sorghum의 同化能力은 溫度가 上昇됨에 따라 增大되나 溫度 30$^{\circ}C$以上의 高溫下에서는 植物體內의 Mono- 및 Disaccharose蓄績이 적게 일어난다. 한편 溫度 18/8$^{\circ}C$以下의 低溫에서는 合成된 Saccharose가 移動되지 못하고 줄기 및 葉에 과다 蓄績되어 葉의 同化能力이 減少되고 物質生産이 中止된다. 5 NEL 및 Starch value는 non- structural carbohydrate의 合成 및 蓄續形態에 따라 影響을 받는다. 植物體內의 NEL 蓄績은 Mono- 및 Disaccharose의 蓄積이 本格的으로 進行되는 幼穗分化期以後부터 서서히 增加하여 完熟初期에 各各 옥수수 6.6~6.9MJ/kg 및 Sorghum類 5.8~6.0MJ- NEL/kg으로 가장 높은 水準을 나타낸다.

  • PDF

제분방법에 따른 찰수수 가루의 품질 특성 (Impact of Milling Method on Quality Parameters of Waxy Sorghum Flour)

  • 류복미;김창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29-135
    • /
    • 2013
  • 분쇄방법(핀밀, 초미분쇄)을 달리하여 제분한 찰수수가루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조단백질 함량은 PS와 UFS에서 높았고, 조지방 함량은 핀밀분쇄보다 초미분쇄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조회분과 총 식이섬유소 함량은 도정하지 않고 핀밀분쇄한 PWS에서 가장 높았다. 겉보기 아밀로오스 함량은 핀밀분쇄한 수수가루가 초미분쇄한 수수가루보다 높았으며 껍질이 없는 경우(PS, UFS) 아밀로오스 함량이 더 낮게 나타났다. 수수가루의 평균입도크기는 도정하지 않은 수수가루에서 컸으며 핀밀분쇄한 것이 초미분쇄보다 평균입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수수가루의 색도는 초미분쇄 수수가루가 핀밀수수가루보다 밝았으며 UFS의 L값이 가장 높았고, 도정한 수수가루(PS, UFS)가 통곡수수(PWS, UFWS)보다 명도가 높았다. 수분결합력은 초미분쇄 시료 UFWS에서 가장 높았으며 핀밀분쇄 PWS보다 높았다. 용해도와 팽윤력은 초미분쇄한 시료가 핀밀분쇄 시료에 비해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도정한 수수가루에서 높게 나타났다. 수수가루의 손상전분 함량은 핀밀분쇄하여 도정한 경우 손상도가 컸다. 수수가루의 호화점도 특성에서 최고점도와 최종점도 PS와 PWS에서 높았고 UFS는 가장 낮은 점도를 나타내었다. 노화도를 나타내는 setback 점도 또한 PS와 PWS에서 높아 초미분쇄보다 노화도가 높게 나타났다. 핀밀분쇄한 통곡 수수가루(PWS)가 전체적으로 높은 호화점도곡선을 보였다. 총 페놀 함량은 핀밀분쇄 수수가루가 초미분쇄 수수가루보다 높았으며 통곡 수수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로 보아 수수는 도정 여부와 분쇄 방법에 따라 가루의 물리화학적 특성이 달라지므로 수수가루를 이용한 제품 개발 시 각 제품의 특성에 따른 적절한 제분방법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Spatiotemporal Patterns of Starch Deposition in Amaranth Grains (Amaranthus cruentus L.)

  • Young-Jun Park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73-173
    • /
    • 2022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there is another amaranth GBSS isoform in an attempt to characterize the synthesis of amylose in the pericarp. We used I2/KI staining to analyze the temporal and spatial starch accumulation patterns during seed development. The spatiotemporal starch accumulation patterns in developing seeds were observed by staining with I2/KI. Starch granules were observed in the pericarp in the initial developmental stage (3 DAP). A few starch granules were detected in the perisperm in the early-late developmental stage (8 DAP), during which the pericarp starch contents rapidly decreased. Starch granules were distributed throughout the perisperm in the mid-late developmental stage (15 DAP). Similar results were reported for other cereal crops, including barley, rice, and sorghum. Starch granules in the pericarp are synthesized during the early seed developmental stages but are absent in mature seeds. We recently reported that starch deposits in the perisperm of developing amaranth seeds are detectable only after the initial developmental stage. Prior to this stage, the pericarp is the major site of starch deposition. A recent study suggested that GBSSII isoforms are responsible for amylose synthesis in pericarps.

  • PDF

옥수수 및 Sorghum에 있어서 탄수화물과 NEL 축적에 관한 연구. III. Weender 성분 및 Net Energy Lactation (Studies on Reserved Carbohydrates and Net Energy Latation ( NEL ) in Corn and Sorghum III. Weender components and net enery lactation)

  • 김정갑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80-186
    • /
    • 1985
  • 본(本) 시험(試驗)은 옥수수와 sorghum식물(植物)에서 생육시기(生育時期) 및 환경온도(環境溫度)가 Weender성분(成分) 및 Net Energy Lactation 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코자 옥수수의 Biizzard와 sorghum hybrids와 Pioneer931 및 Sioux를 공시품종(供試品種)으로 하여 뮌헨대학교초지연구소(大學校草地硏究所)에서 포장(圃場) 및 phytotron시험(試驗)으로 실시(實施)하였다. Phytotron의 주(晝)/야간(夜間) 실내온도(室內溫度)는 30/25, 25/20, 28/18 및 $18/8^{\circ}C$로 하였으며 일조(日照)는 35,000Lux로 13시간(時間) 조사(照謝)하였다. 1978-'81년간(年間)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옥수수 및 sorghum의 crude protein은 3 엽기유식물(葉期幼植物)의 경우 각각(各各) 31.4% 및 33.9%에 이르나 생육(生育)이 진전(進展)됨에 따라 급속도(急速度)로 하락(下落)되어 출수기(出穗期)에는 9.0%(옥수수) 및 10.4% (sorghum)로 감소(減少)된다. 식물체내의 protein축적(蓄積)과 LWR 및 LAR간(間)에는 높은 정(正)(+)의 상관(相關)이 있다.($P{\leq}0.1%$). 2. 조섬유(粗纖維)의 합성(合成) 및 축적(蓄積)은 유수형성기(幼穗形成期)에서 지엽출현기(止葉出現期)에 본격적(本格的)으로 이루어지며 그 함량(含量)은 출수기(出穗期)에 각각(各各) 옥수수 28.4% 및 Sorghum 31.5%로 최고농도수집(最高濃度水準)에 달한다. 그러나 옥수수의 경우 조섬유(粗纖維) 함량(含量)은 종자(種子)가 성숙(成熟)됨에 따라 다시 감소(減少)되어 황숙기(黃熟期)에는 19.5%까지 감소(減少)되는데 반(反)해 sorghum 식물(植物)에서는 계속적(繼續的)으로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이 있다. 3. NEL 함량(含量)은 3 엽기(葉期)의 유식물(幼植物)에서 옥수수 5.98MJ 및 sorghum 5.64MJ/kg으로 높은 편이나 생육(生育)이 진행(進行)되는 동안 감소(減少)되어 유수(幼穗)가 형성(形成)되는 6-8 엽기(葉期)에 각각(各各) 5.82MJ(옥수수) 및 5.46MJ/kg(sorghum)으로 최저수준(最低水準)을 나타낸다. 옥수수의 NEL 함량(含量)은 그후 종자(種子)가 성숙(成熟)됨에 따라 6.70MJ(乳熟期) 및 6.94MJ/kg(完熟期)까지 증가(增加)되는데 비해 sorghum에서는 증가폭(增加幅)이 완만하여 계속(繼續) 낮은 수준(水準)을 유지(維持)한다. 4. 옥수수 및 sorghum식물(植物)의 NEL가치(價値)는 fruetosan, mono- 및 disaccharose등 non-structural carbo-hydrate의 합성(合成) 및 축적형태(蓄積形態)에 의(依)해 큰 영향(影響)을 받으면 NEL함량(含量)과 cell-wall constituents간(間)에는 부(負)(-)의 상관(相關)이 있다.($P{\leq}0.01%$). 5. NEL 및 starch value 환경온도(環境溫度)가 상승(上昇)됨에 따라 감소(減少)된다. 4 엽기(葉期) sorghum식물(植物)의 환경온도(環境溫度)를 달리 하였을 때 NEL가치(價値)는 각각(各各) 4.87MJ($30/25^{\circ}C$), 5.46MJ($25/20^{\circ}C$) 및 5.81MJ/kg($18/8^{\circ}C$)로 변(變)하여 고온(高溫)에서 net energy lactation 축적(蓄積)이 크게 감소(減少)되었다.

  • PDF

국내 육성 조 및 수수 전분의 이화학적 특성 (Starch characteristics of foxtail millet and sorghum cultivars grown in Korea)

  • 김현주;우관식;이병원;이진영;이유영;김민영;김미향;이병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220-225
    • /
    • 2020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육성된 조와 수수를 식품 및 공중보건산업에서의 이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조는 단아메, 삼다찰 수수의 경우 남풍찰, 소담찰 품종에서 전분을 추출한 후 이화학적 특성을 관찰하였다. 아밀로스의 경우 조는 단아메 29.42%, 삼다찰 6.42%였으며, 수수는 남풍찰 9.09%, 소담찰 11.11%로 나타났다. 아밀로펙틴중합도 분석 결과 모두 DP 13-24 함량이 50% 이상으로 가장 높았으며 조는 단아메, 수수는 소담찰이 높은 함량을 보였다. 조와 수수의 저항전분 함량 분석 결과 0.10% 이하로 매우 낮았다. 호화 점도 특성을 분석한 결과 노화와 연관이 되는 치반점도 값을 볼 때, 삼다찰(조)과 남풍찰(수수)이 다른 품종에 비해 낮은 값을 보였다. 흡열 반응을 기초로 한 호화엔탈피 값을 산출한 결과 수수는 품종간의 유의차는 없었으나 조는 삼다찰이 6.55 J/g으로 단아메(5.25 J/g)보다 높았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조와 수수 가공제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며, 보다 많은 기초자료 확보를 위해 유전자원을 비롯한 다양한 품종을 이용한 전분 기초자료 확보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고 판단된다.

The Effects of CO2 Injection and Barrel Temperatures on the Physiochemic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Extruded Cereals

  • Thin, Thazin;Myat, Lin;Ryu, Gi-Hyung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21권3호
    • /
    • pp.271-280
    • /
    • 2016
  • The effects of $CO_2$ injection and barrel temperatures on the physiochemic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extruded cereals (sorghum, barley, oats, and millet) were studied. Extrusion was carried out using a twin-screw extruder at different barrel temperatures (80, 110, and $140^{\circ}C$), $CO_2$ injection (0 and 500 mL/min), screw speed of 200 rpm, and moisture content of 25%. Extrusion significantly increased the total flavonoid content (TFC) of extruded oats, and ${\beta}$-glucan and protein digestibility (PD) of extruded barley and oats. In contrast, there were significant reductions in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PD of extruded sorghum and millet, as well as resistant starch (RS) of extruded sorghum and barley, and total phenolic content (TPC) of all extrudates, except extruded millet. At a barrel temperature of $140^{\circ}C$, TPC in extruded barle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ere was also an increase in DPPH and PD in extruded millet with or without $CO_2$ injection. In contrast, at a barrel temperature of $140^{\circ}C$, the TPC of extruded sorghum decreased, TFC of extruded oats decreased, and at a barrel temperature of $110^{\circ}C$, PD of extruded sorghum without $CO_2$ decreased. Some physical properties [expansion ratio (ER), specific length, piece density, color, and water absorption index] of the extrudate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increase in barrel temperature. The $CO_2$ injection significantly affected some physical properties (ER, specific length, piece density, water solubility index, and water absorption index), TPC, DPPH, ${\beta}$-glucan, and PD. In conclusion, extruded barley and millet had higher potential for making value added cereal-based foods than the other cereals.

쌀누룩과 수수를 사용한 고체발효 증류주의 제조 특성 (Manufacturing Characteristics of Solid-State Fermentation Distilled Spirits Using Rice Nuruk (Fermented Starter) and Sorghum)

  • 신제영;정다솜;강창수;최한석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3권1호
    • /
    • pp.39-48
    • /
    • 2021
  • In this study, characteristics of solid-state fermentation distilled spirits with nuruk (fermentation starter) and sorghum were investigated. The starch digestion activity was highest in black koji (A. usamii) at 359.15 U/g dry base, white koji (A. luchuensis) at 306.98 and yellow koji (A. oryzae) at 15.31 was followed. The pH of the solid-state fermented mash in yellow, white and black koji showed 5.09, 4.46 and 4.50 respectively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p<0.001). The total acid content of white and black koji was 0.73% as citric acid. The alcohol content of mash prepared with yellow, white and black koji was 4.34, 4.24, 3.89% respectively. The contents of reducing sugar showed 3.28, 3.23 and 2.64%. Total sugar were 14.88, 17.84 and 17.60% respectively. The alcohol content of each distillate ranged from 44.3 to 39.9%, and the furfural content in yellow koji was 1.25 times lower than the ot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