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rbic acid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31초

일부 한국 가공식품의 벤조산과 소르빈산의 함량 조사 (Quantitatation of Benzoic and Sorbic Acids in Some Processed Foods of Korea)

  • 미트라 카니카;한장일;이기택;김성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789-79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안전과 관련하여 일부 한국식품에서의 벤조산과 소르빈산의 함량과 안전소비량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몇 개 브랜드의 과일 쥬스, 요거트, 치즈, 말린 과일류, 잼, 마가린을 대전의 시장에서 구입하여 HPLC로 분석하였다. $C_{18}$ column을 사용하여 chromatogmphic separation을 얻었으며 35:65 비율의 methanol acetate buffer(PH 4.4)로 벤조산과 소르빈산을 초기 mobile phase에서 회수하여 254 nm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과일 쥬스, 요거트, 치즈, 말린 과일류, 잼, 마가린 샘플들의 벤조산 농도는 각기 평균 $40.26{\pm}0.02$, $2.07{\pm}0.06$, $0.02{\pm}0.09$, $0.36{\pm}08$, $265.3{\pm}0.02$$27.34{\pm}0.08\;mg/kg$ 였으며 소르빈산의 농도는 각기 평균 $0.92{\pm}0.06$, $1.06{\pm}0.07$, $7.30{\pm}0.01$, $14.14{\pm}0.08$, $25.65{\pm}0.06$$4.8{\pm}0.07\;mg/kg$ 였다. 따라서 조사한 식품들의 벤조산과 소르빈산의 사용량은 KFDA 허용치 이하이었으며 벤조산과 소르빈산의 평균 소비량에 대한 EDI 또한 ADI 이하의 안전한 수준이었다.

시판 축산물가공품의 보존료 사용에 관한 조사 (A study on the sorts and dosage of preservatives used in processed meat and milk products)

  • 최효정;홍인석;최윤화;이윤희;김창기;이덕주;이정학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37-443
    • /
    • 200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orts and the quantity of preservatives in 2,575 samples of 10 kind products which had been sold in the markets from 2004 to 2006. These analyses were done using HPLC. By the result of Investigation, the most frequently detected preservative was sorbic acid in 222 cases. Detection rate of sorbic acid was 8.62%. Dehydroacetic acid (DHA) was detected in 8 cases among 36 butter samples and one of 278 sausage samples. Detection rate of DHA was 0.0035%. In detail, the detection rate was 71.5% (88/123) in dried meat, 22.2% (8/36) in processed butter, 17.3% (48/278) in sausage, 10.4% (17/163) in canned meat etc., 7.9% (49/619) in ham, 7.48% (19/254) in processed cheese and 4% (2/49) in bacon, respectively. The content range of sorbic acid and its average in each of the processed meat and milk products are as follows: $ND{\sim}1.64 g/kg$, 0.26 g/kg in dried meat, $ND{\sim}1.34 g/kg$, 0.114g/kg in sausage, $ND{\sim}0.41g/kg$, 0.015 g/kg in canned meat etc., $ND{\sim}1.37 g/kg$, 0.038g/kg in ham, $ND{\sim}1.63g/kg$, 0.056 g/kg in processed cheese, $ND{\sim}0.57 g/kg$, 0.022 g/kg in bacon, respectively. Amount of detected DHA was less than 0.23 g/kg, and its average was 0.022 g/kg in processed butter.

HPLC를 이용한 식품 보존료의 동시분석에 관한 연구 (Studies on Simultaneous Analysis of Preservatives by High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in Foods)

  • 김우성;임복규;백종민;박인원;박인원;임연하;지영애;조경종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49-52
    • /
    • 1992
  • 식품에 잔류하는 보존료를 동시에 정성 및 정량 분석하고자 수증기 증류법에 의한 전처리한 용액을 HPLC주입하여 Chromatogram을 얻었다. cosmosil $5C_{18}$ HPLC column을 상용하였고, 이동상 용매로서는 1% phosphotic acid와 acetonitrile(60 : 40) 혼합용매를 사용하였고 220 nm의 검출 파장 조건에서 실험해 본 결과 분리도가 좋은 chromatogram을 얻었다. 따라서 수증기 증류법에 의해 단 한번의 전처리 과정을 거쳐 HPLC를 이용하여 보존료를 동시 분석, 정성 및 정량이 가능하였다.

  • PDF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를 이용한 식품보존료의 동시분석방법 연구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Preservatives in Food by GC/MS)

  • 김승기;노동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40-145
    • /
    • 1999
  • Analytical method for preservatives in food was developed using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Propionic acid, sorbic acid, benzoic acid, ethyl salicylate, ethyl p-hydroxy benzoate, iso-propyl p-hydroxy benzoate, n-propyl p-hydroxy benzoate, iso-butyl p-hydroxy benzoate, n-butyl p-hydroxy benzoate, p-hydroxy benzoic acid and dehydro acetic acid were extracted from cooling beverage with diethyl ether. The polar hydroxyl and carboxyl groups of food preservatives were derivatized with N-methyl-N-tert-butyldimethylisilyl-trifluoroscetamide (MTBSTFA) to form the corresponding tert-bytyldimethyl-silylated derivatives, and submitted to GC/MS analysis. The mass spectra of the derivatives were investigated for the selection of monitoring ions for multi-residue analysis of 11 preservatives by GC/MS. The macro program was also developed for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se preservatives in food.

  • PDF

자두(Dried Plums)를 첨가한 White sausage의 물성 및 저장성에 관한 연구

  • 이관호;서상원;차재웅;홍종혁;김상현;김은주;주웅광;최도영;최강덕;최일신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5년도 정기총회 및 제35차 춘계 학술 발표대회
    • /
    • pp.247-252
    • /
    • 2005
  • 본 연구는 파슬리 등의 야채를 첨가하여 제조되는 화이트소시지의 물성 및 저장성에 미치는 자두 분말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물성의 변화로서 pH는 자두의 첨가율이 증가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감소 하였는데 3% 첨 가시 전 저장 기간 중 가장 낮게 ($pH\;5.11\;{\sim}\;4.44$) 나타났다. 육색(meat color)은 자두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적색도(redness)를 나타내는 a-value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명도 (light ness)를 나타내는 L-value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여주었다. 전단력(Shear stre ngth) 측정에서는 저장 기간 중 자두 분말의 첨가량에 비례 하여 근소한 차이를 나타냈는데 저장 7일째에서 가장 높았다. 자두 분말 첨가구 에서의 다소 높은 전단력의 결과는 보수력 (WHC) 측정 에서도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자두 분말의 증가량에 따라 3% 첨가구가 대조구 (0%)보다 낮게 나타나 약한 보수성을 보여 주었다. 저장성에 미치는 결과로서 총세균수의 측정결과 저장 3일이 경과한 구간에서 Sorbic acid (0.07%)의 첨가구와 자두 분말(3%) 첨가구 에서 비슷한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 같은 동일한 수준의 항균 효과는 저장 9일째에도 같은 경향으로 나타났다. VBN 측정에는 저장 기간에 따라 증가된 수치를 나타냈는데 저장 7일 및 8일, 9일째 측정 결과는 3% 자두분말 첨가구와 0.07% Sorbic acid 첨가구 와 비슷한 수준을 나타내어 동일한 저장효과를 보여 주었다. 관능검사 실시 결과 총체적인 풍미에 있어서는 자두 분말 첨가구 1.5%가 가장 우수 했으며 다음으로는 3%, Sorbic acid 첨가구 및 공시료 순으로 나타났다.간에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pm을 spiking한 후 SPE상에서 SCX(Strong cation exchange column)을 통한 clean-up과정을 거친 후의 STP의 limit of quantification(LOQ)는 약 0.44ppm이었으며, 이에 대한 회수율은 89.7${\pm}$2.3%(n=6)를 나타냈다. 실제 CODEX에서 권장한 우유의 MRL이 0.6ppm인 점을 감안하면 CODEX권고치에 도달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 된 시험법은 지금까지 국내적으로 STP에 대한 시험법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이와 아울러 간편한 parallux와 병용해 STP에 대한 정량 및 정성 분석을 유도체화 장치 및 형광검출기를 이용해 잔류항생물질 STP에 대한 분석시험법을 개발하였다.화와 네트워크 조직망 구축을 위한 지역중심의 복합 생활문화 공간이 필요할 것이며, 이를 촉진키 위한 mentor academy시스템 접근을 통해 점점 고령화되어 가고 있는 재래시장에 대해 차별적 특성이 반영된 종합적이고 체계적 접근 방법연구가 필요하다./TEX> 자체기술개발, 선진기술 도입, 산업간 및 산업내 기술확산, 국제기술협력 ${\rightarrow}$ 기술혁신의 촉진 ${\rightarrow}$ 총요소생산성과 기업경쟁력(자원 및 역량, 프로세스 경쟁력, 품질경쟁력, 시장경쟁력, 고객성과, 시장성과, 재무성과)의 제고 ${\rightarrow}$ 가격경쟁력(임금, 금리, 물류비용, 환율 등)과 비(非)가격경쟁력(디자인, 에프터서비스, 품질, 운송 등)의 제고 ${\rightarrow}$ 국가경쟁력의 제고 ${\rig

  • PDF

시판(市販) 생약(生藥) 액제류중(液劑類中)의 보존제(保存劑) 함량(含量) (Liquid Chromatographic Determination of Preservatives in Commercial Herb Liquid Preparations)

  • 임종필
    • 생약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14-220
    • /
    • 1985
  • The preservatives in 32 commercial liquid preparations of crude drugs have been analyzed by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Benzoic acid (BA) and p-hydroxybenzoates were separated with mobile phase of $MeOH-H_2O$ (70:30) (pH 7.0) at a flow rate of 0.9ml/min. BA, sorbic acid and dehydroacetic acid were separated with mobile phase of $MeOH-H_2O$ (40:60) (pH 4.5) at a same flow rate. In addition, the pH values of the preparations were investigated. It was found that BA was used in most of the preparations.

  • PDF

Aspergillus awamori와 Zymomonas mobilis로 구성된 혼합고정화 배양계의 에탄올 생산에 미치는 Neupectin-L의 영향 (Effect of Neupectin-L on Ethanol Production from Raw Starch Using a Co-Immobilized Aspergillus awamori and Zymomonas mobilis)

  • 이상원;조용운;김홍출;박석규;성낙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2호
    • /
    • pp.89-94
    • /
    • 1997
  • Aspergillus awamori(A)와 Zymomonas mobilis(Z)로 구성된 혼합고정화 배양계(A-Z 36계)의 특성을 이용하여 생전분으로 부터 직접 에탄올생산을 행할 때 투입되는 에너지를 절약할 목적으로 비가열살균 배양법을 검토하였다. A-Z 36계에 의한 비가열살균 배양은 배지에 함유된 세균 때문에 어려웠다. Sorbic acid, benzoic acid, dehydroacetic acid, p-hydroxybenzoic acid, Vantocil IB, Neupectin-L 등의 여러 가지 살균제 중에서 Vantocil IB와 Neupectin-L은 잡균의 오염없이 대조구와 비슷한 속도로 기질을 분해하였다. 0.1% Neupectin-L은 대조구보다 약간 높은 6.9 g/l(대조구 : 6.4 g/l)의 에탄올을 생산하였다$(Y_{p/s}:0.39)$. 0.1% Neupectin-L을 첨가한 유가배양에서는 2%기질을 기본으로 5회분의 기질을 첨가하여 34 g/l 에탄올을 얻어 2.0 g/l/day의 생산성을 나타내었다.

  • PDF

The Effect of Antiseptic and Sugar Solution on Colony Development of the Bumblebees, Bombus ignitus and B. terrestris

  • Yoon Hyung Joo;Kim Sam Eun;Lee Sang Beom;Seol Kwang Youl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11권1호
    • /
    • pp.43-48
    • /
    • 2005
  • We investigated possible effect of different concentration of sugar solution and addition of antiseptic in the solution on oviposition and colony development of Bombus ignitus and B. terrestris. The rates of oviposition, colony foundation and progeny-queen production of B. ignitus were 1.2-3.0 fold higher in the 40$\%$ sugar solution than those of the 50$\%$ sugar solution. The rates of oviposition, colony foundation and progeny­queen production were 1.1-2.6 fold higher in the 40$\%$ sugar solution added in 0.3$\%$ sorbic acid as antiseptic than those of the 40$\%$ sugar solution. Further, the death rate within one month was 1.7 fold lower in the 40$\%$ sugar solution added in 0.3$\%$ sorbic acid than that of 40$\%$ sugar solution alone. In the comparison of the colony development tested using imported sugar solution, the Beehappy???, the 40$\%$ sugar solution added to antiseptic and the 40$\%$ sugar solution with­out antiseptic, the 40$\%$ sugar solution added to antiseptic was about equal to the Beehappy??? in colony development of B. terrestris. Further, the number of adults produced was 1.2-3.0 fold higher in the 40$\%$ sugar solution added to antiseptic than that of the Bee­happy???. Therefore the 40$\%$ sugar solution was more effective than the 50$\%$ sugar solution, and the 40$\%$ sugar solution added to antiseptic was the most effective in colony development and mass rearing of bumblebee.

진공포장, 'Rub', 저장온도와 첨가물에 따른 Marinated 닭 Drummettes의 품질변화 (Quality Change of Marinated Chicken Drummettes as Affected by Vacuum Packing, 'rub', Storage Temperature and Additives)

  • 제이티 추앙;첸티씨;정인학;이영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717-722
    • /
    • 1991
  • 진공포장, 'rub', 저장온도와 첨가물에 따른 marinated 닭 drummettes의 품질변화를 조사했다. Drummettes의 초기 미생물 수에 따라 제품 품질수명은 영향을 받았다. 내부온도가 $93.3^{\circ}C$로 조리된 제품은 $82.2^{\circ}C$로 조리된 제품보다 품질수명이 길었다. 하지만 marinated 과정중 'rub'가 이용된 경우 위와 같은 장점은 나타나지 않았다. 냉장저장($3{\pm}1^{\circ}C$$7{\pm}1^{\circ}C$)중 진공과 비진공 포장된 제품의 미생물 총균수는 현저한 차이가 없었다(P>0.05). Marinated 용액에 솔빈산(0.5%)이나 안식향산 나트륨(0.5%)을 첨가하여 제품 품질수명은 연장 되었으며 아질산 나트륨 50ppm을 첨가하여 좀더 연장 되었다. 진공포장과 marinated 용액에 솔빈산이나 안식향산 나트륨을 첨가하여 제품의 TBA값 증가를 둔화시켰다.

  • PDF

사과농축액의 알코올발효 불량화 자료 설정 (Detecting Defects from the Alcoholic Fermentation of Apple Concentrates)

  • 성나혜;우승미;여수환;여명재;이경훤;정용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621-626
    • /
    • 2013
  • 본 연구는 사과농축액을 이용한 알코올발효 적성에 따른 불량화 검정지표를 설정하기 위하여 5종의 사과농축액(A~E) 품질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적정산도는 모든 희석액에서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었으나 pH는 A 및 D가 4.0 이상으로 높았고 B, C 및 E가 3.0 이하로 낮게 나타났다. 유리당 함량은 maltose가 A 및 D에서는 검출되지 않았고 C에서 698 mg%, B 및 E에서 1,000 mg% 이상이 검출되었다. 사과의 주요 유기산인 malic acid는 A 및 D에서 약 600 mg%로 높게 나타났고 B, C 및 E에서는 약 50 mg%였다. 주요 무기질인 K은 A 및 D에서 약 180 mg%로 높았고 B, C 및 E에서는 6~9 mg%로 소량 검출되었다. 보존료(소르빈산으로서)는 모든 사과농축액(A~E)에서 불검출 되었다. 상기의 사과 희석액으로 알코올발효를 실시한 결과, 알코올 함량은 DAFB 및 AAFB가 각각 11.2 및 10.8%였고 BAFB, CAFB 및 EAFB는 알코올발효가 거의 진행되지 않았으며, 효모의 maltose 이용에 따른 영향도 있겠으나 앞의 유리당 및 유기산 분석결과와 조합하면 B, C 및 E는 불량화 또는 변조된 사과농축액인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