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lution culture

검색결과 1,304건 처리시간 0.028초

동결액에 첨가된 macromolecule 및 EGF, FGF가 vitrification 법으로 동결한 소 수정란의 체외생존성에 미치는 영향 (Serum or serum albumin in a vitrification solution and EGF or FGF affect in vitro viability of frozen-thawed bovine blastocysts after vitrification)

  • 이은송;후쿠이 유타카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394-400
    • /
    • 1998
  • Cryopreservation of embryos by vitrification is a simple method to preserve bovine embryos for subsequent embryo transfer, but embryonic viability after vitrification has been inconsistent and low compared with conventional slow freezing.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erum or serum albumin in a vitrification solution and epidermal growth factor(EGF) or fibroblast growth factor(FGF) on in vitro viability of bovine blastocysts frozen by vitrification. Bovine blastocysts were produced by in vitro maturation, fertilization of follicular oocytes and culture of embryos in a synthetic oviduct fluid medium(SOFM) containing BSA and 19 essential and nonessential amino acids. Blastocysts with excellent or good morphology were selected at 7 or 8 days after culture and utilized for vitrification. In experiment 1, blastocysts were vitrified in a solution containing semi-fetal calf serum(SFCS) or BSA(5 or 10mg/ml) and then their subsequent viabilities were examined by culturing thawed embryos in a SOFM containing BSA and 19 amino acids. Effect of EGF or FGF added to a SOFM containing polyvinyl alcohol(PVA) on the viability of vitrified-thawed blastocysts was investigated in experiment 2. BSA added at 5 or 10mg/ml to a vitrification solution showed significantly higher(p < 0.05) developmental rate to expanded and hatching blastocysts than SFC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velopmental rate to hatched blastocysts after thawing. Supplementation of a culture medium with EGF and/or FGF significantly increased(p < 0.05) embryo development to expanded blastocysts compared with control but showed no beneficial effect on the development to hatching or hatched blastocysts. Coculture of thawed embryos with granulosa cells in a TCM 199 containing 10% fetal calf serum(FCS) showed the highest developmental rate to expanded, hatching and hatched blastocysts among the groups tested. In conclusion, supplementation of a vitrification solution with BSA at 5mg/ml and culture of thawed blastocysts in a medium containing EGF and/or FGF can improve in vitro viability of bovine blastocysts frozen by vitrification.

  • PDF

은이온 수용액의 Microcystis 생장 억제 효과 (Effect of Silver Ion Solution on the Inhibition of Microcystis Growth)

  • 최강국;이상훈;배기서;신재기;오희목
    • 환경생물
    • /
    • 제26권3호
    • /
    • pp.183-191
    • /
    • 2008
  • The effect of silver ion solution on the growth of Microcystis aeruginosa UTEX 2388 (cyanobacterium) and Chlorella sp. KCTC AG20136 (green alga) was investigated using separated and mixed culture in filtered natural water and BG11 medium. In separated culture, M. aeruginosa UTEX 2388 and Chlorella sp. KCTC AG20136 were found to be sensitive to 0.01 and 0.1 mg L$^{-1}$ of silver ion, respectively. Also, the silver ion concentrations for the growth inhibition of M. aeruginosa UTEX 2388 and Chlorella sp. KCTC AG20136 in the mixed culture were same in separated culture. Cyanobacteria were more sensitive to the silver ion solution than green algae. In bloom sample, the minimal inhibition concentration of silver ion solution for the low Chl-${\alpha}$ sample (110$\sim$190 ${\mu}g$ L$^{-1}$) and high Chl-${\alpha}$ sample (1,500$\sim$1,900 ${\mu}g$ L$^{-1}$) was about 0.1 and 3.0 mg L$^{-1}$, respectively. The silver ion concentration for the inhibition of algal bloom sample was affected by the algal biomass. In order to use silver ion solution for the control of algal bloom, the silver ion concentration must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a minimal effect on the environment.

에틸렌 글리콜 동결 보호제를 이용한 생쥐 배아의 유리화 동결 보존 (Vitrification of Mouse Embryos in Ethylene Glycol-based Solutions)

  • 김미영;이은숙;이석원;이여일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2권2호
    • /
    • pp.177-185
    • /
    • 2005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an optimal condition for the vitrification of mouse morulae and expanded blastocysts. Materials and Methods: Mouse embryos were obtained at 2-cell stage and cultured to morula and expanded blastocyst stage in Human Tubal Fluid (HTF) medium supplemented with 10% Serum Substitute Supplement (SSS). The vitrification solutions used were EFS30, EFS35 and EFS40 that contains 30%, 35% and 40% ethylene glycol, respectively, with 18% ficoll and 0.5 M sucrose diluted in Dulbecco's phosphate-buffered saline (DPBS) medium supplemented with 10% SSS. The vitrification procedure was performed in EFS solution with three steps, followed by thawing in 6 steps with 0.5 M sucrose, and then survival and hatching-hatched rate per embryos recovered were compared among six groups. Results: After 24 h culture in different vitrification and thawing solution, the survival rate of morula embryos was 94.1%, 85.4% and 59.7% for EFS30, EFS35 and EFS40 group, respectively. Hatching rate of morula embryos after 72 h culture was 30.6%, 25% and 11.3% for EFS30, EFS35 and EFS40 group, respectively. The survival rate of expanded blastocyst embryos after 24 h culture was 90.4%, 98.5% and 100% for EFS30, EFS35 and EFS40 group, respectively. Hatching rate of expanded blastocyst embryos after 48 h culture was 46.2%, 57.6% and 64.3% for EFS30, EFS35 and EFS40 group, respectively. Conclusion: The EFS30 solution was the best for vitrification of mouse morulae. The EFS40 solution was the best for vitrification of mouse expanded blastocysts. The mouse expanded blastocyst was better than mouse morula for vitrification of mouse embryos.

Effect of C18-polyunsaturated Fatty Acids on Their Direct Incorporation into the Rumen Bacterial Lipids and CLA Production In vitro

  • Choi, S.H.;Song, M.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4호
    • /
    • pp.512-515
    • /
    • 2005
  • An in vitro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C18-polyunsaturated fatty acid on direct incorporation into the rumen bacteria, bio-hydrogenation and production of CLA in vitro. Sixty milligrams of linoleic acid ($C_{18:2}$) or linolenic acid ($C_{18:3}$) were absorbed into the 0.5 g cellulose powder was added to the 150 ml culture solution consisting of 120 ml McDougall's buffer and 30 ml strained rumen fluid. Four uCi of 1-$^{14}C_{18:2}$ or 1-$^{14}C_{18:3}$ (1 uCi/15 mg each fatty acid) were also added to the corresponding fatty acids to estimate the direct incorporation into the bacterial lipids. The culture solution was then incubated anaerobically in a culture jar with stirrer at 39$^{\circ}C$ for 12 h. Ammonia concentration and pH of the culture solution were slightly influenced by the fatty acids. Amount of fatty acid incorporated into the bacteria was 1.20 mg and 0.43 mg/30 ml rumen fluid for $C_{18:2}$ and $C_{18:3}$, respectively during 12 h incubation. Slightly increased CLA (sum of cis-9, trans-11 and cis-10, trans-12 $C_{18:2}$) was obtained from the $C_{18:3}$ addition compared to that from $C_{18:2}$ after 12 h incubation in vitro.

병원조직구성원들의 지식공유에 대한 협조적 조직문화에 영향을 주는 지식경영 요인 (Knowledge Management Factors Affecting Cooperative Organizational Culture Regarding Knowledge Sharing of Members in the Hospital Organization)

  • 하오현;정용모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49-63
    • /
    • 2013
  •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what effect knowledge management factors have on cooperative organizational culture regarding knowledge sharing depending on workplace types and occupations in order to seek for solution to increase efficiency and effects of knowledge management in the hospital organization.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or members of the hospital organization, the higher their recognition was in relation to 'concern and support of chief executive officer for knowledge management', and 'problem solution by specialists or superior in the organization and acquisition on the task knowledge', the more they worked as factors exerting positive effects on 'cooperative organizational culture regarding knowledge sharing'. And influence factor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workplace types and occupation.

아미노산과 FBS의 첨가가 한우난자의 체외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Addition of Amino Acids and FBS on the In Vitro Development of Korean Native Cow IVP Embryos)

  • 박흠대;박향;이상진;김재명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11-218
    • /
    • 2002
  • 본 연구는 체외에서 소 난포란유래의 배반포 생산에 있어서 배지 내에 첨가하는 외인성 고정질소 원으로써 아미노산과 FBS의 첨가효과를 검토하였다. 소 난포란의 체외성숙은 TCM-l99용액, 체외 수정은 Fer-TALP용액으로 행하였으며, 체외수정후 24시간째(day 1)의 수정난자를 체외배양에 제공하였다. 체외배양용 기초배지는 YS용액, 기초 배양법은 25개 난자/10 ${\mu}\ell$ 배지의 단순.미소적배양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체외 수정란의 배양에 있어서 비필수 아미노산(MEM 유래) 첨가가 무첨가군보다 높은 배반포 발달율을 나타냈다. 2. 체외 수정란의 배양에 있어서 필수 아미노산(RPMI 1640 유래) 첨가가 무첨가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배반포 발달율을 나타냈다. (P<0.05) 3. Day 1에 비 필수 아미노산, day 5에 필수 아미노산을 첨가하였을 경우 부화 배반포로의 발생율 및 배반포로의 부화율을 향상시켰다. 4. Day 1에 비필수.필수 아미노산을 첨가한 후 day 3, day 4, day 5에 각각 필수 아미노산만을 배지로부터 제거 시 배반포의 부화율은 현저하게 낮았다. 5. FBS의 첨가시기는 배양 후기(day 5)에 첨가할 수록 배반포율 또는 부화 배반포율이 유의하게 상승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소 난포란 유래 배반포의 체외생산에 있어서 배지에 첨가하는 외인성 고정 질소 원들의 첨가에 있어서 첨가시기 및 농도를 조절함으로써 양질의 배반포 생산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고형배지경에서 배양액농도가 토마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Concentration of Nutrient Solution on the Growth of Tomato(Lycopersicon esculentum Mill.) in Substrate Culture)

  • 노미영;배종향;이용범;박권우;권영삼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25-31
    • /
    • 1995
  • 고형배지경에서 배양액농도가 토마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배지는 펄라이트, 버미클라이트 및 피트모스를 사용하였으며, 묘들은 육묘기 때에는 0.5, 1, 2, 3 및 5mS/cm의 각기 다른 배양액농도로 재배되었고 정식후에는 1, 2 및 3mS/cm의 농도로 옮겨져 재배되었다. 육묘기 때에 배양액농도를 0.5mS/cm에서 3.0mS/cm로 높임에 따라 유묘의 광합성속도는 3가지 종류의 배지에서 모두 증가하였으며, 0.5-3.0mS/cm 범위 이상의 농도에서는 광합성속도가 감소하였다. 초장, 엽장, 엽폭, 경경 및 지상부 건물중은 펄라이트에서는 배양액농도를 0.5mS/cm에서 5mS/cm로 높임에 따라 계속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버미클라이트에서는 2-5mS/cm에서 높았으며, 피트모스에서는 3mS/cm일 때 가장 높았다. 따라서 묘의 초기생장에 대한 배지별 적정배양액농도는 배지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펄라이트에서는 3-5mS/cm, 버미클라이트와 피트모스에서는 각각 2-5mS/cm, 3mS/cm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식 후에 배양액농도를 1mS/cm에서 3mS/cm로 높임에 따라 3가지 종류의 배지에서 모두 건물중이 크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육묘기와 정식 후에 계속하여 5mS/cm의 고농도로 재배한 것들의 건물중은 단지 조금 증가하였다.

  • PDF

Er:YAG 레이저 조사가 Streptococcus mutans의 증식억제에 미치는 효과 (INHIBITORY EFFECT OF Er:YAG LASER ON THE GROWTH OF STREPTOCOCCUS MUTANS)

  • 송광철;이창섭;이상호;이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5-24
    • /
    • 2003
  • Er:YAG 레이저의 구강내 산 생성 세균인 S. mutans에 대한 살균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S. mutans KCTC 3065가 포함된 세균배양액에 $650{\mu}m$ 직경의 조사 beam을 갖는 Er:YAG 레이저를 비접촉식 방법으로, 조사세기(50mJ, 100mJ, 150mJ)와 pulse repetition rate(5Hz, 10Hz, 20hz) 그리고 조사시간(1초, 3초, 5초)을 달리하여 조사하고 이때의 세균 배양액의 온도변화, 세균 군락수, 산 생성능, 불용성 세포외다당류의 양을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0{\mu}l$ 세균 배양액에서는 레이저를 조사한 군이 레이저를 조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전반적으로 세균의 군락수가 감소되었으며 조사세기와 pulse repetition rate가 클수록, 그리고 조사시간이 길어질수록 세균 군락수가 비례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100{\mu}l$ 세균 배양액에서는 레이저를 조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세균 군락수의 변화가 적었다. $10{\mu}l$ 세균 배양액에서는 레이저 조사에 의해 S. mutans의 산 생성능이 일정시간 동안 억제되었으나 $100{\mu}l$ 세균 배양액에서는 레이저를 조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산 생성능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10{\mu}l$ 세균 배양액에서는 레이저 조사에 의해 S. mutans의 불용성 세포외다당류의 합성이 부분적으로 감소되었으나 $100{\mu}l$ 세균 배양액에서는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사실에 근거해 볼 때 레이저는 S. mutans에 대한 증식억제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그 기전은 초음파 등에 의한 기계적 작용이 아닌 열작용에 의한 것임을 추정해 볼 수 있다.ation angle check 등 기존의 기계적 점검을 디지털 영상을 이용하여 실행할 수 있었다. 결 론: 기존의 Flat 또는 정육면체 형태의 기계적 점검 장치로는 쉽게 하기 힘든 non-coplanar field에 적용되는 Gantry와 Couch가 동시에 rotation 되었을 때 그 isocenter의 일치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R)}$를 도포한 후 중합한 군이 산소억제층의 두께가 평균 49%의 감소되었으며(p<0.05), 이들 산소를 차단한 군 간의 유의차는 없었다.며 CYP1A2유전자형에 따른 영향은 관찰할 수 없었다. CYP1A2유전자형에 따른 생체내 대사능을 관찰하는 실험이 향후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san film보다 큰 수증기 투과도를 보였다.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y tissue layer thinning은 3 군모두에서 관찰되었고 항암 3 일군이 가장 심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보면 술전 항암제투여가 초기에 시행한 경우에는 조직의 치유에 초기 5 일정도까지는 영향을 미치나 7 일이 지나면 정상범주로 회복함을 알수 있었고 실험결과 항암제 투여후 3 일째 피판 형성한 군에서 피판치유가 늦어진 것으로 관찰되어 인체에서 항암 투여후 수술시기는 인체면역계가 회복하는 시기를 3주이상 경과후 적어도 4주째 수술시기를 정하는 것이 유리하리라 생각되었다.한 복합레진은 개발의 초기단계이며, 물성의 증가를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또 다른 약물인 glycyrrhetinic acid($100{\mu}M$)도 CCh 자극으로 인한 타액분비를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gap junction은 흰쥐 악하선 세포로부터의 타액분비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는 gap junction이 세포막 $Ca^{2+}$ 통로를 조절함으로써 수용체 자극으로 유발된

  • PDF

Fed-batch cultivation for cell growth and spore production by probiotic B. polyfermenticus SCD

  • 박규용;이광호;김성미;김원석;백현동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390-393
    • /
    • 2001
  • The optimal temperature, pH and aeration rate for spore production by Bacillus polyfermenticus SCD in 500 ml shake flask and 5-1 jar fermenter were found to be $32^{\circ}C$, 7.0 and 1.0 vvm. respectively. When batch culture processes was performed under optimized culture conditions. viable cells were $3.3{\times}10^{10}$ CFU/ml and spore cells were $3.3{\times}10^{10}$ CFU/ml. Fed-batch culture processes were also examined with regard to higer maximum viable cell and spore production. The highe viable cells and spores were obtained in 5-1 jar fermenter at 72 h cultivation time by strategy in an intermediate feeding mode with 60% glucose solution 150 ml and 5% soybean flour solution 150 ml fed to the fermenter twice, and the productivity of spore cell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Finally. volumetric productivity of spore cells on fed-batch culture indicated $9.9{\times}10^8$ CFU/ml/h, which was approximately 2 times higher than batch culture. Thus, fed-batch culture show a promise as an industrial production method.

  • PDF

지속적 바이오매스 생산을 위한 클로렐라 반연속 배양 연구: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광원 및 고농도 인과 질소를 함유한 배지 사용 효과를 중심으로 한 연구 (Optimum Semi-Continuous Cultivation of Chlorella sp. FC-21 for Production of Biomass: Light Emitting Diodes as a Light Source and High Concentrations of Nitrogen and Phosphate in Culture Media)

  • 최보람;임준혁;이제근;이태윤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4권8호
    • /
    • pp.523-527
    • /
    • 2012
  • 본 연구는 담수미세조류의 일종인 클로렐라를 적색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반연속 배양하기 위한 조건을 찾기 위해 수행되었다. 클로렐라 배양에 가장 효율적인 적색 LED를 사용하여 반연속배양을 실시하였으며, 배양 중 인과 질소가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이는 클로렐라의 성장과 반비례의 관계를 보여 주었다. 효율적인 반연속 배양을 위해 인과 질소의 농도를 증가시킨 배지를 사용하여 배지교체 주기를 연장시켜 배양 효율성을 높였다. 배지교체 시 클로렐라의 셀 농도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셀 크기는 감소하였다. 셀 농도와 셀 크기를 고려할 때 배양 전과정을 통해 생산되는 바이오매스의 양은 일정하게 유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