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the Concentration of Nutrient Solution on the Growth of Tomato(Lycopersicon esculentum Mill.) in Substrate Culture

고형배지경에서 배양액농도가 토마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 노미영 (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 ;
  • 배종향 (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 ;
  • 이용범 (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 ;
  • 박권우 (고려대학교 원예과학과) ;
  • 권영삼 (원예연구소)
  • Published : 1995.06.0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concentration of nutrient solution on the growth of tomato(Lycopersicon esculentum Mill. cv. seokwang) in substrate culture. The substrates used in the experiment were perlite, vermiculite, and peatmoss. Tomato plants were treat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nutrient solution, viz. 0.5, 1.0, 2.0, 3.0, and 5.0mS/cm at seedling stage and transferred to different treatments, 1.0, 2.0, and 3.0mS/cm after transplanting in each substrate. As the concentrations of nutrient solution increased from 0.5 to 3.0mS/cm at seedling stage, the $CO_2$ assimilation rates of seedlings increased in all three substrate culture. Beyond this range, the $CO_2$ assimilation rates of seedlings decreased. By increasing the concentrations of nutrient solution, plant height, leaf length, leaf width, stem diameter, and top dry weight increased in perlite and were high at 2-5mS/cm in vermiculite. On the other hand, in peatmoss, the best result was shown at 3.0mS/cm. Therefore, the adequate concentration of nutrient solution on early growth of seedlings differed among substrates and was shown to be 3.0-5.0mS/cm in perlite, 2.0-5.0mS/cm in vermiculite, and 3.0mS/cm in peatmoss. Generally, as the concentrations of nutrient solution increased from 1.0 to 3.0mS/cm after transplanting, dry weight increased significantly in all three substrate culture. However, dry weights of tomato plants grown under high concentration of 5.0mS/cm slightly increased both at seedling stage and after transplanting.

고형배지경에서 배양액농도가 토마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배지는 펄라이트, 버미클라이트 및 피트모스를 사용하였으며, 묘들은 육묘기 때에는 0.5, 1, 2, 3 및 5mS/cm의 각기 다른 배양액농도로 재배되었고 정식후에는 1, 2 및 3mS/cm의 농도로 옮겨져 재배되었다. 육묘기 때에 배양액농도를 0.5mS/cm에서 3.0mS/cm로 높임에 따라 유묘의 광합성속도는 3가지 종류의 배지에서 모두 증가하였으며, 0.5-3.0mS/cm 범위 이상의 농도에서는 광합성속도가 감소하였다. 초장, 엽장, 엽폭, 경경 및 지상부 건물중은 펄라이트에서는 배양액농도를 0.5mS/cm에서 5mS/cm로 높임에 따라 계속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버미클라이트에서는 2-5mS/cm에서 높았으며, 피트모스에서는 3mS/cm일 때 가장 높았다. 따라서 묘의 초기생장에 대한 배지별 적정배양액농도는 배지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펄라이트에서는 3-5mS/cm, 버미클라이트와 피트모스에서는 각각 2-5mS/cm, 3mS/cm인 것으로 나타났다. 정식 후에 배양액농도를 1mS/cm에서 3mS/cm로 높임에 따라 3가지 종류의 배지에서 모두 건물중이 크게 증가하였다. 그러나, 육묘기와 정식 후에 계속하여 5mS/cm의 고농도로 재배한 것들의 건물중은 단지 조금 증가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