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oluble solids contents

Search Result 225, Processing Time 0.03 seconds

역삼투막을 이용한 사과쥬스의 예비농축 (Pre-concentration of Apple Juice with Different Reverse Osmosis Membranes)

  • 김길환;박현진;김동만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419-425
    • /
    • 1988
  • 청징한 사과쥬스를 역삼투 장치를 이용하여 예비농축을 하였다. 사용한 역삼투막의 종류에 따른 농축한계농도는, HR 95 및 HR 98형의 역삼투막에 60 bar를 가하여 농축하였을 때 $29.0^{\circ}$Brix이었으며, 이 농도에 도달하는데 소요된 시간은 HR 95형이 86분, HR 98형이 71분이었다. CA 865와 CA 960형은 30 bar에서 농축한계 농도를 보이지 않고 역삼투압 장치의 가동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직선적으로 농도가 증가 하였는데 HR형의 경우에 비하여 동일 농도에 도달하는 시간이 더 많이 소요되었다. 한편 역삼투막을 통하여 손실된 가용성 고형물의 양을 쥬스의 농축농도와 관련지어 비교시 20.0 $25.0^{\circ}$ Brix의 농축범위에서 HR 95 HR 98 CA 865및 CA 960의 역삼투막을 통과한 permeate에는 가용성고형물이 각각 평균 1.3, 0.5, 7.5 및$2.3^{\circ}$Brix씩 함유되어 있었으며 HR형 특히 HR 98을 통한 손실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총산 및 향기성분 permeate를 통한 손실도 가용성고형물의 손실에서 보인 경향과 유사 하였다.

  • PDF

품종에 따른 오디와 오디발효주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Mulberry Fruit and Wine with Varieties)

  • 김혜련;권영희;김현복;안병학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9권3호
    • /
    • pp.209-214
    • /
    • 2006
  • 품종이 다른 국내산 오디 10종의 품질특성을 분석하고 각각의 발효주를 제조하여 품종에 따른 오디발효주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품종별 완숙 오디의 평균 단과중(單果重)은 '천현노상', '수성뽕'이 가장 높았고 당도는 품종 간에 큰 차이를 보였으나 모두 $10^{\circ}Brix$ 이상이었다. '환엽대엽', '자산' 및 '팔청시평' 오디의 경우 당도, 환원당 및 폴리페놀 함량이 타 품종에 비해 높았으며, 당도, 환원당 및 폴리페놀 함량은 서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디에 존재하는 유기산으로 citric, malic, succinic, acetic acid가 검출되었다. 품종에 따른 오디 발효주 제조 시 당도가 가장 높은 '환엽대엽'의 설탕 소비량이 원료 무게에 대해 9.6%(w/w)로 가장 적었다. 오디발효주의 알코올 함량, 환원당 함량 및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10.2{\sim}11%$, $2.1{\sim}3.0\;mg/ml$, $1.28{\sim}1.95\;mg/ml$ 수준이었으며, 원료 오디에 비해 명도는 감소한 반면 적색도는 증가하였으며 황색도는 일정하였다. 오디 발효주의 유기산 함량은 사용 원료인 품종에 따라 각각 다르게 나타났는데, '팔청시평' 등 6종의 발효주에서는 citr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았고, 4종의 발효주에서는 acet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10가지 품종 원료 오디 중 '팔청시평'은 당도가 $12.6^{\circ}Brix$로 높아 발효주 제조 시 설탕 소비량이 비교적 적으며, 기능성 성분인 폴리페놀 함량이 161.3 mg/100g fruit으로 높다. 또한 발효주의 맛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인자인 유기산 함량의 경우 자극적이고 강한 신미를 가지는 acetic acid 함량이 적고, 일반적으로 과실에 많이 함유되어 있으면서 감칠맛을 내는 citric acid가 acetic acid에 비해 4배 정도 많으므로 오디발효주 제조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사계성 딸기 '강하' 육성 (Breeding of New Ever-bearing Strawberry 'Gangha' for Summer Culture)

  • 이종남;이준구;이응호;김혜진;장석우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3호
    • /
    • pp.515-518
    • /
    • 2010
  • '강하(Gangha)'는 2004년 '섬머베리(Samahberi)' 품종을 모본으로 하고 '엘란(Elan)' 품종을 부본으로 교배하여 고온 장일 하에서 화방이 계속 출현되고, 높은 수량성을 가진 우수한 사계성 개체를 선발한 것이다. 고랭지의 여름재배 작형에서 2006년 생산력 검정, 2007년 특성검정을 거쳐 '새봉 2호'로 계통명을 부여하였고, 2008년 2지역에서 적응성 시험 거쳐 '강하'로 명명하였다. '강하'의 주요특성은 초형이 반개장형으로 초세가 중정도이고 엽형은 타원형이고 화방 길이가 길다. 과형은 난원형이며, 과색은 붉은색을 나타낸다. '강하'는 산도와 경도는 낮지만 당도는 높다. 평균과중이 12.0g의 중과이고 화방이 많이 출현되는 다수성품종이다. 병해저항성은 흰가루병, 탄저병, 시듦병에 강하다. '강하'는 고온장일 하에서 화아분화되고, 과실품질과 수량성이 높아 고랭지대에서 내수용 여름재배에 적합하다.

복숭아 꽃과 가지 첨가 유무에 따른 도화주의 품질 특성 비교 (Comparis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hwaju Fermented with or without Peach Flowers and Branches)

  • 박지혜;여수환;정석태;김소라;최한석;강지은;최지호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649-656
    • /
    • 2012
  • We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hwaju (fermented with peach flowers and branches, a Korean traditional alcoholic beverage) containing different sub-ingredients. During fermentation, the inner temperatures of the added sub-ingredient treatments were higher compared to non-treatment, and only peach branches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inner temperatur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hysicochemical results among the treatments. pH decreased from the first mashing day to the second and then increased slightly until fermentation was terminated. Total acidities showed opposite patterns as compared to pH level. Amino acid contents, soluble solids, and alcohol contents increased steadily until the end of fermentation, whereas reducing sugar contents showed the opposite trend. In a preference survey, DB (only peach branches)-treated dowhaju showed the highest evaluation in terms of 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with walues of $5.07{\pm}1.38$ and $5.57{\pm}1.16$,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concluded that only peach branches treatment is optimal for the manufacture of dowhaju. We expect that the quality of dowhaju can be improved by providing basic information concerning its manufacture.

후숙조건에 따른 단호박 '보짱'의 품질특성 (Effect of Ripening Conditions on Quality of Winter Squash 'Bochang')

  • 박도수;시멜레스;현재영;권혜순;정천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42-146
    • /
    • 2016
  • 본 연구는 단호박 유통을 위한 최적 후숙 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가용성고형물 함량은 수확 직후 $6.0^{\circ}Bx$에서 후숙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후숙 온도가 높을수록 가용성 고형물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과피 및 과육의 색차변화는 Hunter 'b'값을 측정한 결과 과피는 수확 직후 2.42에서 후숙기간 동안 증가하여 후숙 18일 $25^{\circ}C$ 조건은 6.91, $30^{\circ}C$ 조건은 7.56으로 나타났다. $35^{\circ}C$의 경우 후숙 9일 7.79로 과피 황화현상이 발생하여 외관품질이 저하되었다. 녹말함량은 후숙 온도가 높을수록 낮은 함량을 보였다. 자당 함량은 후숙 기간이 길어질수록 모든 온도조건에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25^{\circ}C$ 조건에서는 18-21일, $30^{\circ}C$는 12-15일간 후숙이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참취의 고부가 식품이용화를 위한 품질특성 및 기능성 건강음료 개발 (Quality characteristics of Aster scaber and development of functional healthy drinks using its extract)

  • 김수정;김재광;김건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10-316
    • /
    • 2004
  • 본 연구는 소비자들이 잘 알고 있고 널리 섭취하고 있는 산채류 중 취나물의 일종인 참취의 이용가치를 높이기 위해 실시하였다. 품질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섬유소, 탄닌, 무기질, 색도, texture를 측정하였다 참취에는 섬유소가 0.68g/100g 함유되어 있었고, 수렴작용을 갖는 탄닌은 35.6ppm/g 함유 되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기질 함량을 측정한 결과 Fe가 많이 함유되어 있어 참취에서 290.98mg/kg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부가 식품이용화 가치를 판단하기 위해서 참취를 생잎, 나물과 샐러드로 제조해서 관능검사를 시행한 결과 참취 나물에 대한 전반적인 선호도가 다른 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20대보다는 30대, 40대 이상에서 전체적인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참취 곰취 추출물을 이용하여 현대인의 건강증진에 이바지할 수 있는 음료를 개발하였다. 참취ㆍ곰취 음료의 제조조건 확립을 위하여 관능검사를 통해 recipe를 결정하였다. 결정된 recipe로 음료를 제조한 후 유통기한 설정을 위해 가용성 고형물, optical density, pH, 적정산도 및 미생물 등의 품질분석을 실시하여 유통기한을 18개월로 정하였다.

흑마늘의 첨가량을 달리한 식초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Vinegar Added with Different Levels of Black Garlic)

  • 심혜진;서원택;최명효;김경화;신정혜;강민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6-26
    • /
    • 2016
  • In this study, we aimed to develop functional vinegar with different levels of black garlic through two stages of fermentation. Black garlic vinegars were prepared from black garlic and water (w/w) mixed with 1:2 (BG3), 1:5 (BG6), 1:9 (BG9) and 1:11 (BG12), and adding the sugar by adjusting the soluble solids content to $14^{\circ}Brix$. The alcohol content of black garlic vinegar was 5.2-5.5% after 7 days of alcohol fermentation at $25^{\circ}C$. Acetic acid fermented was at $30^{\circ}C$ for 25 days and samples were taken at 3, 6, 9, 12, 15, 20 and 25 days. The pH of black garlic vinegar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samples, but acidity was increased during fermentation. Total polyphenol contents showed irregular changes with the fermentation periods and were higher by black garlic content. At 25 days fermentation, total polyphenol contents were 18.96-56.56 mg/100 mL. Acetic acid content of black garlic vinegars was higher than other organic acids. S-allyl cysteine (SAC) contents of BG3 and BG6 were 13.03-14.54 and 1.69-2.20 mg/L, respectively. However SAC was not detected in BG9 and BG12. In 25 days fermented black garlic vinegar, the major mineral was K with a content ratio of 61-68% of total minerals. The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25 days fermented black garlic vinegar were stronger at higher black garlic content.

Regional Differences in Onion Bulb Quality and Nutrient Content, and the Correlation Between Bulb Characteristics and Storage Loss

  • Lee, Jongtae;Ha, Injong;Kim, Heedae;Choi, Silim;Lee, Sangdae;Kang, jumsoon;Boyhan, George E.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6호
    • /
    • pp.807-817
    • /
    • 2016
  • Many onion growers and researchers assert that differences in soil type, agricultural practices, weather, and duration of prolonged onion cultivation in a particular field could affect onion bulb quality. This study evaluates the bulb quality of onions grown in different regions and determines the correlations between bulb characteristics and postharvest loss during cold and ambient storage. Soil and onion bulbs were collected from fields in six onion growing regions in Korea, during the growing season of 2011-2012. The fresh weight, dry matter content, and carbon (C), sulfur and magnesium contents of the onion bulbs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location in which they were grown. Bulbs grown in Muan had the greatest number of scales, thinnest scale thickness, and the highest total soluble solids (TSS) and total flavonoids (TF). Bulbs originating from Jecheon had the lowest pyruvic acid (PA), total phenolics and TF. Storage loss of bulbs from the different regions was similar in refrigerated storage, but differed in ambient temperature storage. Bulb fresh weigh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cale thickness (r = 0.617) and cold storage loss (CSL; r = 0.398). Dry matter conten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 (r = 0.958) and TF (r = 0.256) contents, while i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CSL (r = -0.424). CSL was primarily affected by the fresh weight, as well as the dry matter, C, and PA contents of the bulbs, while ambient storage loss was primarily influenced by the amount of TSS.

딸기주 발효를 위한 효모 선발과 살균 방법의 비교 및 발효 중 이화학적 특성의 변화 (Yeast Selection and Comparison of Sterilization Method for Making Strawberry Wine and Changes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during Its Fermentation)

  • 정은정;김용석;정도연;신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642-647
    • /
    • 2006
  • 저알콜 딸기발효주 제조에 필요한 최적발효조건 설정을 위하여 발효에 적합한 효모를 선발하고, 딸기착즙액의 살균방법을 비교하였으며, 발효 중 이화학적 특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딸기는 매향과 육보 품종을 사용하였으며, 이들은 각각 pH 3.77 및 3.69, 가용성 고형분 함량 9.8 및 9.3%, 총산 함량 0.74 및 0.69%의 이화학적 특성을 가졌다. 6종의 효모를 대상으로 발효시험을 한 결과 Wg-15 와 Sc-51 효모의 알콜생성능력이 우수하였다. 딸기에 있는 잡균을 제거하기 위하여 $K_2S_2O_5$(200 ppm) 및 열처리($85^{\circ}C$, 10 min) 시험을 비교한 결과 알콜생성량(7.1-7.2%)과 가용성 고형분 함량(5.6-5.8%)이 비슷하였으며, Wg-15와 Sc-51 효모 사이에 유의적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고, 발효주의 향에서 열처리구가 약간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 가용성 고형분 함량을 12, 14 및 16%로 조정하여 $26^{\circ}C$ 에서 8일간 발효한 결과 발효 2일째 까지 대부분의 알콜이 생성되었으며, 알콜함량은 각각 5.1 6.0-6.2, 7.5-7.7%,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각각 3.9-4.3, 4.1-4.3, 5.0-5.3%를 나타냈고, Wg-15 와 Sc-51 효모 사이에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알콜함량 7% 정도의 딸기발효주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매향 또는 육보 품종을 사용하여 설탕으로 가용성 고형분 함량을 16%로 보당하고, 착즙액에 대해 $85^{\circ}C$에서 10min 열처리한 후 Wg-15 또는 Sc-51 효모를 사용하여 $26^{\circ}C$에서 8일간 발효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수확 후 예건이 배추 '노랑' 품종의 저온저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stharvest Predrying on Storability of 'Norang' Chinese Cabbage)

  • 이인권;홍세진;용영록;박세원;구외석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9권4호
    • /
    • pp.521-525
    • /
    • 2001
  • 배추 '노랑' 품종을 이용하여 수확 후 관행예건 및 MA 저장이 배추 저장성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수확한 배추는 2일간 관행예건한 후 0.05mm MA 포장과 무포장하여 $4^{\circ}C$에 저온 저장하였다. 배추는 MA 포장한 배추가 무포장한 배추보다 Hunter L과 b 값의 변화가 완만하며, 예건처리구의 L과 b 값이 통계적 유의성은 없으나 포장과 무포장 처리구 모두 변화가 적었다. 배추의 생체중 감소는 저장중 지속적으로 진행되며 예건처리와 MA 포장이 배추의 생체중 감소를 지연시켰다. 가용성고형물 함량은 저장 후 4주까지는 예건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많았으며, 저장 6주후에는 예건처리의 유무에 상관없이 무포장구가 MA포장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배추의 주요 가용성 당은 수확 직후 glucose 7.0mg/gFW와 fructose 6.3mg/gFW이며, sucrose가 0.6mg/gFW로 약간 함유되어 있다. 예건 직후 각각의 당은 감소하며, 저장 2주후 glucose와 fructose 함량은 크게 감소한 후 점차 증가하였다. 배추의 Hunter a, 경도, 건물중 함량, pH, 그리고 가용성 당의 변화는 예건조건 및 포장조건에 따른 변화를 분석하는데 적합하지 않았다. 실온저장의 배추는 2주후 심한 부패현상으로, 저온저장 7주후에 무포장구는 탈수현상으로 상품성을 상실하였다. 예건하지 않은 MA 저장 배추는 포장 내의 과습으로 인해 부패를 일으킨 반면 예건처리한 배추는 저온저장 7주까지도 외관상 초기 시료와 유사하였다. MA저장은 무포장에 비해 저장수명을 연장시키며, 수확 후 관행예건은 저장력을 향상시켰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