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luble solid

검색결과 951건 처리시간 0.023초

메밀순의 증숙 및 건조에 따른 침출차 특성 모니터링 (Monitoring on the Tea with Steaming and Drying Process of Germinated Buckwheat)

  • 이기동;윤성란;김정옥;허상선;서권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12-217
    • /
    • 2004
  • 메밀순을 이용한 침출차를 제조하고자, 증숙시간과 건조온도를 달리 처리하여 가용성 고형분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관능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메밀순차 침출액의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증숙시간 6.93 min 및 건조온도 73.59$^{\circ}C$에서 최대값으로 나타났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증숙시간 5.22 min 및 건조온도 79.05$^{\circ}C$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메밀순 침출차의 전반적 기호도에 대한 높은 관능평점은 증숙시간 6.00 min 및 건조온도 77.33$^{\circ}C$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용성 고형분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고 전반적인 기호도도 우수한 조건은 증숙시간 5.4∼7.0 min 및 건조온도 75∼8$0^{\circ}C$로 예측되었으며 최적 조건에서의 예측된 관능평점은 최적 조건에서 실제 실험한 결과와 유사하였다.

추출 조건에 따른 고추 수용액의 관능적 특성 변화 (Changes of Sensory Characteristics in Red Pepper by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s)

  • 이현덕;이철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535-541
    • /
    • 1998
  • 수용성 추출물을 이용한 관능검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고추가루 관련 식품에서 각각의 식품을 결정짓는데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은 적색도, 매운맛, 단맛, 새콤한 맛, 감칠맛 등의 조화로서 이들이 고추의 맛과 색을 좌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추출 온도와 시간에서 연상되는 음식은 고추장과 찌개, 김치의 맛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추출조건에 따른 추출액과 이를 이용한 관능검사의 관계를 주성분 분석한 결과 총인자의 51%를 주성분 1과 주성분 2로 설명 가능하였다. 추출온도 $40^{\circ}C$에서 추출했을 때는 감칠맛, 새콤한 맛, 단맛이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4^{\circ}C$의 경우는 색소성분과 주로 관련이 높았고 $60^{\circ}C$로 추출한 용액의 경우는 떫은맛, alcoholic, 매운맛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낮은 온도에서는 주로 색소성분이 그리고 온도가 점차 올라 갈수록 맛성분들이 점차 용출되어 각각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Bioprocess of Triphenylmethane Dyes Decolorization by Pleurotus ostreatus BP Under Solid-State Cultivation

  • Yan, Keliang;Wang, Hongxun;Zhang, Xiaoyu;Yu, Hongb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9권11호
    • /
    • pp.1421-1430
    • /
    • 2009
  • With an aim to evaluate dye decolorization by white rot fungus on natural living conditions, reproducing by solid-state fermentation, the process of triphenylmethane dyes decolorization using the white rot fungus P. ostreatus BP, cultivated on rice straw solid-state medium, has been demonstrated. Three typical dyes, including malachite green, bromophenol blue, and crystal violet, were almost completely decolorized by the fungus after 9 days of incubation. During the process of dye decolorization, the activities of enzyme secreted by the fungus, and the contents of soluble components, such as phenolic compounds, protein, and sugar, changed regularly. The fungus could produce ligninolytic, cellulolytic, and hemicellulolytic enzymes and laccase was the most dominant enzyme in solid-state medium. Laccase, laccase isoenzyme, and the laccase mediator could explain the decolorization of malachite green, bromophenol blue, and crystal violet by the fungus in solid-state medium, respectively. It is worth noting that the presence of the water-soluble phenolic compounds could stimulate the growth of fungus, enhance the production of laccase, and accelerate dye decolorization.

향신료(香辛料)가 유산균(乳酸菌)의 증식(增殖)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Spices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 유진영;민병용;서기봉;하덕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24-135
    • /
    • 1978
  • 본(本) 실험(實驗)은 김치제조(製造)에 이용(利用)되는 생강, 마늘, 고추가 유산균(乳酸菌)의 증식(增殖) 및 산생성(酸生成)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검토(檢討)하기위하여 배지(培地)에 이들의 물추출액(抽出液)을 첨가량(添加量)을 달리하여 첨가(添加)하고 Lact. plantarum ATCC 8014, Lact. fermenti ATCC 9338균주(菌株)를 접종(接種) 배양(培養)하여 이때 일어나는 각종(各種) 변화(變化)를 조사(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생강추출물(抽出物)의 영향(影響) 1) 일정(一定)한 첨가량(添加量)의 한도(限度)(3.64 mg soluble solid/ml) 내(內)에서는 추출물(抽出物)의 첨가량(添加量)이 증가(增加)할수록 Lact. plantarum ATCC 8014, Lact. fermenti ATCC 9338균주(菌株)의 증식(增殖)을 촉진(促進)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2) Lact. plantarum ATCC 8014균주(菌株)에 대해서는 추출물(抽出物)이 첨가(添加)됨에 따라 약간(若干)의 pH저하(低下)와 산생성(酸生成)이 촉진(促進)되었으나 Lact. fermenti ATCC 9338균주(菌株)에 대해서는 산생성(酸生成)을 억제(抑制)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2. 마늘 추출물(抽出物)의 영향(影響) 1) 일정(一定)한 첨가량(添加量)의 한도(限度)(31.7mg soluble solid/ml) 내(內)에서 추출물(抽出物) 첨가량(添加量)이 증가(增加)할수록 Lact. plantarum ATCC 8014, Lact fermenti ATCC 9338균주(菌株)의 증식(增殖)을 촉진(促進)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2) Lact. plantarum ATCC 8014균주(菌株)에 대해서는 추출물(抽出物)의 첨가량(添加量)이 증가(增加)할수록 산생성(酸生成)을 억제(抑制)하고(p<0.01) pH의 하강(下降)도 억제(抑制)했다(p<0.05). 또, Lact. fermenti ATCC 9338균주(菌株)에 대해서 추출액첨가량(抽出液添加量)이 증가(增加)할수록 산생성(酸生成)은 억제(抑制)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3. 고추추출물(抽出物)의 영향(影響) 1) 일정(一定)한 첨가량(添加量)의 한도(限度)(14.5mg soluble solid/ml) 내(內)에서 억출액(抑出液)의 첨가(添加)는 Lact. plantarum ATCC 8014 Lact. fermenti ATCC 9338균주(菌株)의 증식(增殖)을 촉진(促進)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2) 일정(一定)한 첨가량(添加量)의 한도(限度)(14.5mg soluble solid/ml) 내(內)에서 첨가량을(添加量)이 증가(增加)할수록 Lact. plantarum ATCC 8014, Lact. fermenti ATCC 9338균주(菌株)의 산생성(酸生成)을 촉진(促進)하는 경향(傾向)을 보였다.

  • PDF

감귤 품종별 이화학적 성분 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components on citrus varieties)

  • 김병주;김효선;강영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259-268
    • /
    • 1995
  • Physico-chemical components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processed products were investigated on 10 varieties of Cheju citrus fruits. Juice ratio of Hungjin was the highest, 49.2%, while Sankyool was the lowest, 4.2%, which showed great differences among varieties. Peel ratio of Dangyooja was the highest, 46.1%, while both Navel orange and Hungjin were relatively low. Soluble solid($^{\circ}$Brix) was relatively high In Sankyool, Meiwa Kumquat, Sambokam and Iyo. Acid content was the highest, 4.86% in sudachi and relatively high in Sankyool, Natsudaidai and Dangyooja. The $^{\circ}$Brix to acid content ratio was 13.9 in Meiwa Kumquat and more than 10 in Navel orange and Hungjin. Total sugar contents of Juice were 2.78∼10.94%, while reduced sugar contents were 1.63∼6.38% which showed higher in Meiwa Kumquat, Iyo and Navel Orange. Hesperidin and naringin, the sources of biiter taste and cloudness were low in Hungjin and Iyo. Soluble solid($^{\circ}$Brix) of citrus juice showed highest statistical relationship(r=0.907) with total sugar, and was highly significant at 1% level.

  • PDF

수용성 뿜칠형 고무 아스팔트 방수재의 시공성 평가에 관한 연구 - 재료 조건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Workability Estimation of Water-Soluble Rubberized Asphalt Waterproofing of Spray Type - Focus on the Material Condition -)

  • 오상근;배기선;이원헌;곽규성;최은수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41-148
    • /
    • 2003
  • This study deals with the estimation of material properties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condition for water-soluble rubberized asphalt waterproofing material of spray type. In this study, the waterproofing material property by the spray construction method is suggested by means of estimation its tensile performance and temperature dependency according to mix proportion ratio(4:1, 8:1), referenced viscosity and solid content (A:360cps, 76%, B:580cps, 79%, C:490cps, 70%), spray angle($30^{\circ}$, $45^{\circ}$, $60^{\circ}$), and spray distance(30cm, 50cm, 70cm). The result of testing are as follows. (1) The mix proportion ratio of principal agent and hardener is 4:1. (2) The viscosity referenced and solid content are 490cps and 70%. (3) The spray angle referenced is $45.^{\circ}$ (4) The distance referenced from concrete surface to spray gun is 40~50cm.

두충차의 관능적 품질에 대한 최적 추출조건의 예측 (Prediction of Extration Conditions for the Optimized Organoleptic Quality of Eucommia ulmoides Leaf-tea)

  • 권중호;김만배;이기동;정용진;이명희;이성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914-919
    • /
    • 1998
  • This work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optimum extraction conditions for imporving the quality of Eucommia ulmoidesl leaf-tea. Soluble solid content was 27.7% in the tea extracted at 99.3$^{\circ}C$(extraction temperature) and 67.8 min(extraction time) which were maximum points by the ridge analysis. The extraction conditions for the maximum organoleptic scores were 72.9$^{\circ}C$ and 59.6 min in color, 80.$0^{\circ}C$ and 90.0 min in aroma, 77.8$^{\circ}C$ and 55.5 min in aftertaste, and 77.9$^{\circ}C$ and 53.1 min in overall palatability. The extraction conditions for the minimum organoleptic scores were 77.8$^{\circ}C$ and 52.7 min in astringent taste, and 75.1$^{\circ}C$ and 49.4 min in Chinese medicine taste. The optimum ranges of the conditions based on soluble solid content and overall palatability of the tea wre 75~83$^{\circ}C$ and 55~65 min. The soluble solid content and overall palatability predicted at ooptimum condition(78$^{\circ}C$ and 60 min) werw similar to experimental values.

  • PDF

봉지종류 및 제거시기가 참외의 당도 및 색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agging Material and Removal Time on Soluble Solid and Fruit Color of Oriental Melon(Cucumis melo L. var makuwa Makino))

  • 신용습;이지은;연일권;도한우;정종도;강찬구;최충돈;최성용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57-161
    • /
    • 2008
  • 참외를 껍질째 먹기 위하여 착과 5일후부터 과실에 배, 사과, 포도봉지를 씌워 재배한 결과, 봉지내의 온도는 외기온에 비하여 주간에는 낮고 야간에는 높았으며 습도는 주간에는 높고 야간에는 낮았다. 무처리구에 비하여 봉지재배로 과장은 짧고 과폭은 좁고 과육두께는 얇고 과중은 가벼운 경향이었으나 처리간 차이는 없었다. 과육 및 태좌부의 당도는 봉지재배 처리구에서 낮은 경향이었으나 처리간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과실의 당도는 봉지제거 직후 보다는 봉지제거 5일후 조사에서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봉지재배로 과피의 경도 및 색도가 낮았다. 이와 같이 봉지재배로 과피의 경도가 낮아 껍질째 먹기는 쉬워졌으나 과피의 색도 및 당도가 낮아 금후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ABA 처리를 통한 '홍이슬' 포도의 착색향상 및 적정 수확기 설정 (Fruit Color Improvement by ABA Treatment and Determination of Harvesting Time in 'Hongisul' Grapes)

  • 신경희;박희승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3호
    • /
    • pp.256-260
    • /
    • 2012
  • 본 연구는 ABA 처리를 통해 '홍이슬' 포도의 착색을 증진시키고자 하였으며 고품질 과실을 생산할 수 있는 적정 수확시기를 밝히고자 하였다. 변색 초기에 $1000mg{\cdot}L^{-1}$ 의 외생ABA 처리는 내생 ABA와 당함량 증가를 가져왔으며 착색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ABA 처리 시 착색이 촉진되어 처리 후 15일인 만개 후 85일부터는 수확이 가능한 정도까지 착색되었으며 이후에도 계속적으로 안토시아닌 함량이 증가하였다. 과립성숙에 따른 가용성고형물의 증가와 산의 감소도 꾸준히 진행되었다. 만개 후 100일 이후에는 당도가 높고 산도는 낮은 수준으로 변화가 없으나 경도가 급격히 감소하였다. 따라서 지연 수확 시 과숙의 위험이 있어 과실의 상품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만개 후 100일을 전후하여 수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반면 무처리구의 경우에는 착색이 불량하여 만개 후 85일에는 수확이 불가능하였다. 만개 후 100일에도 당산비를 기준으로 한 수확은 가능하였으나 여전히 착색이 불량하였다. 착색을 기준으로는 만개 후 110일에서야 수확이 가능하였으나 과숙과 동시에 경도가 현저하게 낮았다. 따라서 무처리구의 경우 만개 후 100일을 기준으로 착색을 증진시키는 방법이 요구되었다.

가열에 의한 고구마 펙틴질의 변화 (The Changes of Pectic Substances in Sweet Potato Cultivars During Baking)

  • 이경애;신말식;안승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421-425
    • /
    • 1985
  • 세품종의 고구마 천미, 신미, 원기의 조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175{\sim}180^{\circ}C$에서 30분간 가열하여 가열 전후의 고구마의 수분함량, 알콜 불용성 고형분 함량, 전분함량, 경도 및 수용성펙틴, 메타인산 가용성 펙틴, 염산 가용성 펙틴을 측정하였고 polygalacturonase 활성도 비교하였다. 가열중에 고구마의 펙틴질의 조성은 염산 가용성 펙틴이 수용성펙틴과 메타인산 가용성 펙틴으로 변하였다. 분질 고구마인 원기는 수분함량이 가장 낮았으며 알콜 불용성 고형분 함량과 경도가 높았다. 또한 원기의 polygalacturonase 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가열 후에 염산 가용성 펙틴 함량의 잔존율도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