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luble pectin

검색결과 124건 처리시간 0.027초

포집된 Bifidobacteria의 생존력 증대를 위한 세포포집재료의 선별기술 개발 (Development of the Selection Technique of Entrapment Materials for the Viability Improvement of Entrapped Bifidobacteria)

  • 이기용;우창재;배기성;허태련
    • KSBB Journal
    • /
    • 제15권1호
    • /
    • pp.1-8
    • /
    • 2000
  • The diffusion effect of simulated gastric juices into the various alginate vessel containing each biopolymer such as 0.3% soluble starch, whey, corn starch, agar, locust bean gum, guar gum, gum arabic, pectin, gelatin and 0.15% xanthan gum was tested by measuring the change of pH in the vessel. The degree of viability of bifidobacteria entrapped in each bead containing biopolymers was corresponded with the degree of diffusion inhibition of hydrogen into the each vessel. Therefore, The determination of diffusion inhibition of simulated gastric juices into the various vessel by measuring the change of pH in the vessel may be effectively used as the simple method to select the optimal entrapment lattice for the improvement of bifidobacteria viability. Bifidobacteria entrapped in alginate bead containing 0.15% xanthan gum whose lattice showed the lowest hydrogen diffusion were more significantly tolerant against bile salts and hydrogen peroxide than untrapped bifidobacteria. It was also observed that the viability of bifidobacteria entrapped in bead was nto nearly changed in milk adjusted pH 4.5 with organic adids at $4^{\circ}C$ for 10 days. Therefore, use of alginate containing 0.15% xanthan gum as a cell matrix for entrapping bifidobacteria was expected to improve the viability of bididobacteria in fermented milk products and develop the high value-added products.

  • PDF

숙성 기간에 따른 무우 김치의 텍스쳐와 섬유소, 헤미셀루로오스, 펙틴질의 함량 변화 (Changes of Texture in terms of the Contents of Cellulose, Hemicellulose and Pectic Substances during Fermentation of Radish Kimchi)

  • 정귀화;이혜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68-75
    • /
    • 1986
  • 무우 김치를 $17{\sim}20^{\circ}C$의 온도에서 숙성시키면서 텍스쳐의 변화와Dietary fiber(식이성 섬유)의 함량 변화를 측정했다.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무우 정치의 경도와 Brittleness는 감소하였으며, 그 변화는 Brittleness에 있어서 더욱 뚜렷하였다. 섬유소와 헤미셀루로오스의 양은 숙성기간동안 뚜렷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AIS 함량은 조금 감소하였다. 무우 김치 중의 펙틴질은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수용성 펙틴은 소량 증가하고, protopectin은 소량 감소하는 경영을 보였다. 텍스쳐에 영영을 주는 fiber는 펙틴질이었으며, 특히 Protopectin 함량은 경도와 0.85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

  • PDF

녹변된 마늘의 성분 변화 (Changes of Component on Green Discolored Garlic)

  • 황진봉;하재호;박완수;이영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8
    • /
    • 2004
  • Control, 저온저장한 마늘, 녹변 마늘 및 conditioning한 마늘의 저장 전후 및 녹변 유발 후의 성분을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일반성분과 가용성고형분, pH, 유기산 산도 및 총당 등에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늘에 함유된 유기산 함량 중 pyruvic arid는 137.1-160.6mg%으로서 총 함량은 687.9-733.7mg% 수준이었다. 마늘의 유리당의 분포는 sucrose, fructose, glucose 순으로 높았으며, 1-kestose, 1-nystose 및 1-F-fructosyl nystose와 같은 fructooligosaccharide도 다소 함유되어 있었다. Control, 녹변마늘 및 conditioning한 마늘에 대하여 allicin는 각각 647.9, 613.8mg 및 648.0mg%이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늘에 존재하는 향기성분을 GC/MSD로 조사한 결과 분리된 peak 중 control은 32개, 저온저장한 마늘은 31개, 녹변마늘 은 32개 및 conditioning한 마늘은 32개의 성분을 동정할 수 있었으며, 이들 동정된 향기성분을 계통별로 분류한 결과 sulfide계통의 성분이 11으로 가장 많았으며 acid가 5종, aldehyde가 3종 그리고 기타 13종이었다. Control, 저온 저장한 마늘, 녹변마늘 및 conditioning한 마늘간에 sulfide의 면적을 조사한 결과 disulfide(di-propenyl), 2-thiophene methanethiol, thiophene, 3,4 dihydro-3-vinyl-1,2-dithiin, 2-vinyl-4H-1,3-dithiin 등의 함유황 화합물과 수용성펙틴 등이 centre에 비해 저온저장한 마늘에서 높게 검출되었으며, 저온저장 후 conditioning과정을 거치면 논았던 함유황 화합물과 수용성펙틴 등이 control 수준으로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저온저장한 마늘을 마쇄하여 녹변을 유발시킨 마늘시료에서는 저온저장한 마늘보다는 함유황 화합물과 수용성펙틴 등의 물질이 적지만 control이나 conditioning한 마늘보다는 이들 함량이 매우 높음을 관찰한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마늘의 녹변현상은 마늘을 저온저장할 때 di-propenyl disulfide 등의 함유황 화합물과 수용성 pectin질이 축적되었다가 마늘이 마쇄로 alliinase가 이들 물질과 반응하여 녹변색소가 생성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추출용매가 수용성 사과박 식이섬유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xtractants on the Characteristic of Soluble Dietary Fiber from Apple Pomace)

  • 김효중;허재관;허철성;백영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61-165
    • /
    • 2001
  • 농도를 달리한 산과 알칼리용매 및 물로 사과박에서 식이섬유를 추출하여 $24.4{\sim}29.3% 범위의 총 식이섬유를 얻었다. 수용성 식이섬유는 산용매로 6.85%, 알칼리용매로 6.55%를 추출하여 모두 물추출 6.0%보다 높았으며, 산과 알칼리용매의 농도가 높을수록 추출수율이 좋았다. 수용성 식이섬유의 galacturonic acid 함량은 0.01M HCl(77.5%)>0.05M HCl(76.8%)>$H_2O(76.1%)$>0.05M NaOH(73.8%)>0.01M NaOH(69.0%)의 순서로 많았으며, 산용매로 추출시 펙틴의 수율이 가장 우수하였다. 추출액의 색도는 추출용매의 농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같은 농도에서는 알칼리추출이 산추출보다 높았고, 색도와 수용성 식이섬유 추출수율 간에는 유의성이 없었다. 그리고 각 시료의 유동특성을 조사한 결과, 전단속도를 $1\;sec^{-1}$에서 $600\;sec^{-1}$까지 증가시킬 때의 전단응력은 galacturonic acid 함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였다. 산과 물추출에 의한 수용성 식이섬유의 물성은 Newtonian 유동특성을 나타낸 반면에 알칼리추출 시료는 pseudoplastic 유동특성에서 알칼리농도가 증가할수록 항복력을 동반한 Bingham pseudoplastic 유동특성으로 전환되는 경향을 보였다. 겉보기점도와 시간의존성의 관계에서는 알칼리 추출시료에서 hysteresis loop이 관찰되었고 thixotropy 성질을 지님을 알 수 있었다.

  • PDF

칼슘을 첨가한 셀롤로우스 코팅이 자두의 경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Calcium-Added Cellulose Coatings on the Firmness of Plums)

  • 송태희;김철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91-98
    • /
    • 1999
  • 포모사 자두에 칼슘을 첨가한 methylcellulose (CaMC)와 hydroxypropylmethylcellulose-15 (CaHPMC-15)액을 코팅하여 $30^{\circ}C$에서 8일간 저장하면서 호흡률, 중량감소율, pH 및 산도, 물리적 및 기계적 경도,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코팅의 효과를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자두는 수확 후 시간의 경과에 따라 호흡량이 증대하는 climacteric rise 현상을 갖고 있었으며, CaMC와 CaHPMC-15 코팅 자두의 중량감소율과 호흡률은 대조군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다. 기계적 측정치인 경도는 장기간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코팅 자두가 대조군 자두에 비하여 단단하게 평가되었다. 자두는 연화의 지표가 되는 pectinesterase도 존재하였고, 저장 기간동안 수용성펙틴의 함량과 polygalacturonase의 활성이 증가하였으나 CaMC와 CaHPMC의 코팅에 의하여 증가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관능검사 결과에서도 저장 기간의 경과에 따라 자두의 연화가 발견되었으나 코팅 자두군은 높은 경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서 자두에 CaMC와 CaHPMC-15의 코팅시 호흡률 및 중량감소율을 억제하고 수확후의 연화를 억제함을 알 수 있었으나 두 코팅군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 PDF

사과저장(貯藏)에 관(關)한 연구(硏究) -(V) Spur Golden Delicious의 수확기(收穫期)에 관(關)하여- (Studies on the Storage of Apple -(V) On the Harvesting Date of Spur Golden Delicious Apple-)

  • 박노풍;김연진;이종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9-24
    • /
    • 1976
  • 사과의 숙도(熟度)는 과실(果實)의 품질(品質)뿐 아니라 저장수명(貯藏壽命)에도 지대한 영향(影響)을 미치고 있어 Spur Golden Delicious의 숙도(熟度)를 정확히 파악, 수확적기(收穫適期)를 구명(究明)하고저 호흡량(呼吸量)과 과실(果實)의 형질(形質)을 지표(指標)로 조사(調査)한바. (1) 호흡(呼吸)은 점차 감소(減少)하여 9월(月) 25일(日)에 최소치(最少値)를 이루고 그 후 상승(上昇)함으로써 9월(月) 25일(日)을 Climacteric minimum으로, 그 이전(以前)을 pre-climacteric기(期)로 그 이후(以後)를 climacteric rise기(期)로 추정(推定)하였다. (2) 경도(硬度)는 9월(月) 18일(日)까지 비교적 높은치(値)를 유지(維持)하였으나, 9月 25日 즉 climacteric minimum에 급강하현상(急降下現象)을 보이고 그 후 감소(減少)는 완만(緩慢)하였다. (3) pectin은 9월(月) 25일(日), 적정산도(滴定酸度)는 10(月) 2일(日) 이후(以後) 현저히 감소(減少)하였다. (4) 그러나 환원당(還元糖)은 climacteric minimum을 기준(基準)으로 증감현상(增減現象)을 인정(認定)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시험(本試驗)에서 저장과(貯藏果)의 수확적기(收穫適期)는 10(月) 2일(日) 이후(以後)로 추정(推定)되었으며, 이 때는 개화후(開花後) 145일(日)에 해당한다.

  • PDF

'쓰가루'사과의 연화에 따른 세포벽성분의 변화와 펙틴 및 중성다당류의 가용화와 분해 (Changes in Cell Wall Components, and Solubilization and Depolymerization of Pectin and Neutral Sugar Polymers during Softening of 'Tsugaru' Apples)

  • 최철;강인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834-839
    • /
    • 2006
  • '쓰가루' 사과의 연화동안에 일어나는 세포벽 성분의 변화와 펙틴 및 중성당류의 가용화와 분해 정도를 조사하였다. 과실의 연화단계별로 펙틴다당류들을 증류수, 0.05 M CDTA, 0.05 M $Na_2CO_3$, 8 M KOH를 이용하여 분획하였다. Uronic acid (UA) 함량은 과실의 연화가 진행되면서 증류수 가용성 분획에서는 저장 4주후에 급격히 증가하였다. 각 분획별 비섬유성 중성당의 종류를 보면 증류수, 0.05 M CDTA 및 0.05 M $Na_2CO_3$ 가용성분획에서의 주요 구성당은 galactose와 arabinose였으며, 8 M KOH 가용성분획에서는 glucose, galactose 및 xylose였다. 특히 증류수 가용성 분획에서 과실의 연화가 진행되면서 galactose의 함량이 증가되었다. 그리고 증류수 가용성인 물질을 Sepharose CL-2B를 이용하여 uronic acid polymers (UAP)와 carbohydrate polymers (CP)를 분획한 결과를 보면 고분자의 UAP 및 CP가 수확후 과실의 연화가 진행될수록 저분자화 되었다. 고분자 중합물의 양은 과실이 연화됨에 따라 감소하였다.

감귤과육 및 과피의 식이섬유와 플라보노이드 검색 및 정량 (Identification and Determination of Dietary Fibers and Flavonoids in Pulp and Peel of Korean Tangerine (Citrus aurantium var.))

  • 은종방;정영민;우건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71-377
    • /
    • 1996
  • 감귤류에 존재하는 플라보노이드는 항알러지성, 항염성, 항바이러스성, 항암성 등의 활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감귤 유래 식이섬유도 다양한 생리조절 기능때문에 기능성 식품소재로 이용되어 왔다. 한국산 조생종 감귤의 과육과 과피에 나린진과 헤스페리딘이라는 두종류의 플라보이드가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과육부의 나린진과 헤스폐리던 함량은 각각 100g 당 2.95 mg, 6.53 mg이었으며, 과피에서는 과육부보다 함량이 높아 10.77mg, 38.90mg으로 나타났다. 과육부의 가용성 식이섬유, 불용성 식이섬유, 총식이섬유량은 신선물 기준으로 1.90%, 0.37%, 2.27%이었으며, 과피에는 각각 1.09%, 4.77%, 5.86%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총펙틴 함량은 과육에 1.53%, 과피에 0.94%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Isolation of a Novel Freshwater Agarolytic Cellvibrio sp. KY-YJ-3 and Characterization of Its Extracellular ${\beta}$-Agarase

  • Rhee, Young-Joon;Han, Cho-Rong;Kim, Won-Chan;Jun, Do-Youn;Rhee, In-Ku;Kim, Young-H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0권10호
    • /
    • pp.1378-1385
    • /
    • 2010
  • A novel agarolytic bacterium, KY-YJ-3, producing extracellular agarase, was isolated from the freshwater sediment of the Sincheon River in Daegu, Korea. On the basis of Gram-staining data, morphology, and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16S rDNA sequence, the isolate was identified as Cellvibrio sp. By ammonium sulfate precipitation followed by Toyopearl QAE-550C, Toyopearl HW-55F, and MonoQ column chromatographies, the extracellular agarase in the culture fluid could be purified 120.2-fold with a yield of 8.1%. The specific activity of the purified agarase was 84.2 U/mg. The molecular mass of the purified agarase was 70 kDa as determined by d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SDS-PAGE). The optimal temperature and pH of the purified agarase were $35^{\circ}C$ and pH 7.0, respectively. The purified agarase failed to hydrolyze the other polysaccharide substrates, including carboxymethyl-cellulose, dextran, soluble starch, pectin, and polygalacturonic acid. Kinetic analysis of the agarose hydrolysis catalyzed by the purified agarase using thin-layer chromatography showed that the main products were neoagarobiose, neoagarotetraose, and neoagarohexaose.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newly isolated freshwater agarolytic bacterium KY-YJ-3 was a Cellvibrio sp., and could produce an extracellular ${\beta}$-agarase, which hydrolyzed agarose to yield neoagarobiose, neoagarotetraose, and neoagarohexaose as the main products.

제빵 제과에 다양한 설탕 이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verse Roles of Sugar in Confectionery and Bread-making.)

  • 이명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4권
    • /
    • pp.249-269
    • /
    • 1998
  • What satisfies the desire of human beings about taste most easily is sweet taste, and it has seemed that the pronoun of sweet taste is sugar. Sugar is used in confectionery and bread-making essentially, and it has influence on the structure and touch of baked confectionery. In addition, if we soften the and apply heat, coloring is made. Thus, it colors good. It doesn't have a sweet taste, but it has the effect to emit fragrance variously, balance and soften the product. The kinds of sugar are very diverse, and it is sugar to be referred to as white sugar is used most frequently. In this study, this researcher examined the classification of physicochemical property and melting point etc. of sugar in confectionery and bread-making through theoretical study, about the simple classification of sugar. In addition, this researcher approached about the role of sugar in confectionery and bread-making and about the influence to have when it is more or less than proper quantity, centering around function. As the result, this researcher extracted the importance of sugar in confectionery and bread-making. It means that the increase of 5% of sugar quantity decreases the absorption quantity of moisture by 1% in bread-making and that the excess of 8% of sugar slow the action of yeast in straight method. Besides, there are the properties such as absorptive property, permeability, storage nature, aging prevention of starch, oxidation restraint of oils and fats, the gelation action of pectin, the fermentation acceleration of yeast, and the emulsification-maintaining-nautre and antiseptics effect of fat-soluble material. And in confectionery, sugar makes fragrance and peel color, increases the storage nature with moisture maintenance and has the softening effect. So, it is considered that the attitude to study and make efforts continuously on the basis of the role of sugar will have to be unfolded in confectionery and bread-mak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