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luble dietary fiber extract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4초

국내산 및 중국산 십전대보탕 재료의 구조탄수화물과 식이섬유에 관한 연구 (Study on Total Carbohydrate and Dietary Fiber in Domestic Herbs and Chinese Herbs)

  • 김기철;김지민;김대진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9-54
    • /
    • 2005
  • 십전대보탕에 들어가는 한약재 10종을(국산 7종, 중국산 10종)을 수집하여 일반성분과 중성세제섬유소(neutral detergent fiber, NDF), 식이섬유(total dietary fiber, TDF; insoluble dietary fiber, IDF; soluble dietary fiber, SDF)를 분석하였다. 십전대보탕 재료 중 국내산 7종, 중국산 10종에 있어서 일반성분과 식이섬유는 국내산과 중국산간의 차이가 크지 않았다. 그러나 중성세제섬유의 경우 건조물 기준으로 국내산 $35.24\%$, 중국산 $58.64\%$로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국내산 7종의 총탄수화물(CHO)과 NDF 간에는 Y=0.32X+60.96, r=0.61(p<0.01), 총탄수화물(CHO)과 NFE간에는 Y=0.65X+32.88, r=0.76(p<0.001)로서 유의한 회귀식과 상관이 도출되었다. 그러나 총탄수화물(CHO)과 NFC간에는 Y=-0.07X+80.93, r=0.10로서 회귀식이 도출되었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중국산 10종의 총탄수화물(CHO)과 NDF간에는 Y=0.53X+49.64, r=0.69(p<0.001), 총탄수화물(CHO)과 NFE간에는 Y=0.50X+46.42, r=0.71 (p<0.01)로서 유의한 회귀식과 상관이 도출되었다. 그러나 총탄수화물(CHO)과 NFC간에는 Y=0.10X+78.21, r=0.10로서 회귀식이 도출되었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국내산 7종의 TDF와 IDF간에는 Y=0.96X+4.08, r=0.99(p<0.01), TDF와 SDF간에는 Y=-6.87X+62.97, r=0.51(p<0.01)로서 유의한 회귀식과 상관이 도출되었다. 중국산 10종의 TDF와 IDF간에는 Y=0.96X+3.14, r=0.99(p<0.01), TDF와 SDF간에 Y=-8.71X+58.96, r=0.50(p<0.01)로서 유의한 회귀식과 상관이 도출되었다. 국내산과 중국산 7종 식이섬유의 t-test 결과 TDF와 IDF는 평균이 양측검정결과 유의하게 다르지 않았으나 SDF는 평균이 유의하게 달랐지만 단측검정 결과 유의하지 않았다.

Effect of a soluble prebiotic fiber, NUTRIOSE, on the absorption of ginsenoside Rd in rats orally administered ginseng

  • Kim, Kyung-Ah;Yoo, Hye Hyun;Gu, Wan;Yu, Dae-Hyung;Jin, Ming Ji;Choi, Hae-Lim;Yuan, Kathy;Guerin-Deremaux, Laetitia;Kim, Dong-Hyu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8권3호
    • /
    • pp.203-207
    • /
    • 2014
  • Background: There is limited understanding of the effect of dietary components on the absorption of ginsenosides and their metabolites into the blood. Method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armacokinetics of the ginseng extract and its main constituent ginsenoside Rb1 in rats with or without pretreatment with a prebiotic fiber, NUTRIOSE, by liquid chromatography tandem mass spectrometry. When ginsenoside Rb1 was incubated with rat feces, its main metabolite was ginsenoside Rd. Results: When the intestinal microbiota of rat feces were cultured in vitro, their ginsenoside Rd-forming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induced by NUTRIOSE. When ginsenoside Rb1 was orally administered to rats, the maximum plasma concentration (Cmax) and area under the plasma drug concentratione-time curve (AUC) for the main metabolite, ginsenoside Rd, were $72.4{\pm}31.6ng/mL$ and $663.9{\pm}285.3{\mu}g{\cdot}h/mL$, respectively. When the ginseng extract (2,000 mg/kg) was orally administered, Cmax and AUC for ginsenoside Rd were $906.5{\pm}330.2ng/mL$ and $11,377.3{\pm}4,470.2{\mu}g{\cdot}h/mL$, respectively. When ginseng extract was orally administered to rats fed NUTRIOSE containing diets (2.5%, 5%, or 10%), Cmax and AUC were increased in the NUTRIOSE receiving groups in a dose-dependent manner. Conclusion: These findings reveal that intestinal microflora promote metabolic conversion of ginsenoside Rb1 and ginseng extract to ginsenoside Rd and promote its absorption into the blood in rats. Its conversion may be induced by prebiotic diets such as NUTRIOSE.

Analysis of Extruded Pectin Extraction from Apple Pomace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Shin, Hae-Hun;Kim, Chong-Tai;Cho, Yong-Jin;Hwang, Jae-Kwa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1호
    • /
    • pp.28-31
    • /
    • 2005
  • To extract apple pectins, apple pomace (AP) was extruded under 14 different conditions of screw speed (250-350 rpm), feed rate of 30-40 kg/hr, and 20-30% moisture content using twin-screw extrusion.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based on three variables by three-level factorial design, was employed to investigate effects of screw speed, feed rate, and moisture on dependent variables of extrudates, soluble dietary fiber (SDF), yield of anhydrogalacturonic acid ($Y_{AGA}$) representing pectin, and intrinsic viscosity ([${\eta}$]). Second order models were used to generate three-dimensional response surface for dependent variables, and their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 ($R^2$) ranged from 0.96 to 0.99. Moisture content showed highest effect on solubilization of AP.

Medicinal food로 활용하기 위한 산사(山査)에 관한 연구(1) -활용 형태에 따른 영양학적 특성 및 식품으로의 활용방안 모색- (Study of Crataegi Fructus for Medicinal Foods Applications -Nutrition Composition and Scheme for Foods-)

  • 전정우;박성진;한종현;박성혜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1220-1224
    • /
    • 2005
  • Crataegi Fructus has often been cited in medical literature for its medicinal eff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Crataegi Fructus application as an edible medicinal (nutritional supplement) food resource. In this study, Crataegi Fructus, which has been used in oriental medicine and folks remedy, was investigated to characteristics of nutritional composition(protein, lipid, ash, fiber, free sugar and minerals). The approximate composition of low Crataegi Fructus was crude protein, 0.26%, crude lipid, 0.30% and crude ash, 0.66%. And total dietary fiber 5.60%(insoluble 4.66%, soluble 0.94%), contents of glucose and fructose were 5.02mg% and 6.21 mg%, Nutritional composition of fermented liquid was crude protein 0.24%, crude lipid, 0.03%, crude ash, 0.53% and total dietary fiber, 0.24%. And glucose, fructose contents were 14.77mg% and 7.30mg%. The other hand, nutrition contents in water extract of Crataegi Fructu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low Crataegi fructus and fermented liquid. The above results showed that Crataegi Fructus and fermented liquid have sufficient values to use as a food stuff for medicinal food and nutritional supplement.

개두릅의 함유성분 분석과 항산화 활성 (Component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alopanax pictus Leaf)

  • 신언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1호
    • /
    • pp.1634-1639
    • /
    • 2010
  • 개두릅의 일반성분 및 아미노산, 무기질, 지방산 함량과 항산화 효과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식품영양학적 접근에서의 개두릅의 일반성분은 건량기준으로 당질 41.42%, 조단백질 45.23%, 조지방 3.29% 및 조회분 10.07%이었고 개두릅 100 g의 함유 열량은 401.52 kcal로 분석되었으며, 총 식이섬 유소 함량은 건량기준으로 30.37%이었고 수용성 및 불용성 식이섬유소 함량은 각각 9.16%, 21.21%로 나타났다. 또한, 총 18종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었으며 필수아미노산과 비필수아미노산 함량은 각각 10.51 g, 17.69 g이었고, 무기질 중 칼륨의 함유량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인, 칼슘, 마그네슘 순으로 나타나 알칼리성 재료임을 알 수 있었으며, 지방산 함량의 경우 총 포화지방산 1.56 g, 단일불포화지방산 0.11 g 및 다가불포화지방산 1.84 g로 구성되어 있었다. 개두릅 70% 에탄올,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과 물 추출물에서 DPPH 라디칼 소거능의 항산화 효과 결과 는 $RC_{50}$값이 247.3, 120.7, 107.3, 105.7, 110.1, $491.9\;{\mu}g$으로 나타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갈화(葛花)의 함유성분 분석과 항산화 활성 (Component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ueraria flos)

  • 신언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9호
    • /
    • pp.1139-1144
    • /
    • 2009
  • 본 연구는 갈화를 대상으로 약이성 음식으로의 활용을 위한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계획 수행되었다. 따라서 갈화의 영양성분 분석을 통한 식품영양학적 접근, 생리활성 기능을 기대할 수 있는 관련 물질 함량의 분석하였다. 식품영양학적 접근에서의 갈화의 일반성분은 건량기준으로 당질 69.2%, 조단백질 19.9%, 조지방 2.2% 및 조회분 8.9%이었고 갈화 100 g의 함유 열량은 340.4 kcal로 분석되었으며, 총 식이섬유소 함량은 건량기준으로 총 당질 중 85.1%이었고 수용성 및 불용성 식이섬유소 함량은 각각 12.0%, 46.7%로 나타났다. 또한, 총 18종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었으며 필수아미노산과 비필수아미노산 함량은 각각 5.0 g, 6.7 g이었고, 무기질 중 칼슘의 함유량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칼륨, 마그네슘, 인 순으로 나타나 알칼리성 재료임을 알 수 있었으며, 지방산 함량의 경우 총 포화지방산 25.37%, 단일불포화지방산 33.61% 및 다가불포화지방산 35.68%로 구성되어 있어 다른 식물류에 비해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갈화 70% 에탄올,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과 물 추출물에서 DPPH 라디칼 소거능의 항산화 효과 결과는 $RC_{50}$값이 217.3, 134.5, 116.7, 109.9, 129.8, 473.5 ${\mu}g$으로 나타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열처리한 채소류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비교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y between Raw and Heat-Treated Vegetables)

  • 김소영;이영민;김정봉;박동식;고정숙;김행란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5-18
    • /
    • 2014
  •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proper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ix types of vegetables (carrots, crown daisy, mugwort, cabbages, onions, and garlic) based on heat-treated cooking. According to the results, proximate contents (crude protein, fat, and ash) were lower in blanched samples than in untreated samples. Untreated cabbage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total dietary fiber content, which decreased by blanching and increased by high-temperature/high-pressure (HTHP) treatment. Noteworthy is that, in the case of soluble dietary fiber, blanched crown daisy and mugwort showed significantly high levels of 12.0 g and 7.3 g per 100 g(dry basis).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ocopherol content in heat-treated samples. The highest levels of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 were 6.73 g and 5.51 g per 100 g, respectively, in the mugwort sample with HTHP treatment at $130^{\circ}C$ for 2 h. The water extract of mugwort with HTHP treatment had the strongest antioxidant effect based on three bioassays (SOD, DPPH, and ABTS). These results indicate the rel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physiologically active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and suggest new insights into ingredients for developing functional foods.

중공사 막을 이용한 감귤 과피 bioflavonoids 분리 및 식이 섬유 회수 공정 최적화 (Optimization of Separation Process of Bioflavonoids and Dietary Fibers from Tangerine Peels using Hollow Fiber Membrane)

  • 이은영;우건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51-160
    • /
    • 1998
  • 감귤류의 가공 부산물인 감귤 과피 내에는 식이 섬유소 외에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시키는 naringin과 혈압 저해 능력이 있는 hesperidin 등의 bioflavonoids가 다량 함유되어있지만, 대부분이 가공 과정 중 폐기되고 있다. 생리 활성 물질인 bioflavonoids를 회수하기 위하여 원료 투입 속도, 막 횡단 압력, 온도, pH등을 조절하여 최적 막 분리 조건을 구하였다. 감귤 과피에 7.5 배의 물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 혼합 용액을 예비 여과 시스템에서 여과하였다. 예비 여과된 추출물은 중공사 막을 이용하여 한외 여과하였다. 원료 투입 속도와 flux간에는 일정한 상관 관계가 없었지만, 막 횡단 압력 8 psi 이상에서 pressure controlled region이 관찰되었다. $9^{\circ}C$에서 $25^{\circ}C$로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10{\;}liters/m^2/hr{\;}(LMH)$씩 flux가 증가하였으나, $25^{\circ}C$에서 $33^{\circ}C$ 구간에서는 flux 증가폭이 2 LMH에 그쳤다. 모든 적용 막 횡단 압력에서 pH 4.8일 때의 flux가 가장 높았으며, pH 3.0에서의 flux가 pH 6.0, 7.0, 9.0 일 때 보다 훨씬 낮았다. 최적 운용 조건은 원료 투입 속도 49.3 L/hr, 막 횡단 압력 10psi,온도 $25^{\circ}C$, pH 4.8 이었다. 최적 분리 조건하에서 막 분리 하였을 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flux가 점차적으로 감소하여 약 1시간 50분 경과 후 정상 상태에 도달하였다. 각 분리 단계별로 retentate 단위 무게당 식이 섬유 함량과 permeate의 bioflavonoids농도를 측정하였다. 분리 단계별 retentate중 단위 무게당 총 식이 섬유와 수용성 식이 섬유 함량은 각각 170 mesh retentate와 prefiltered retentate에서 가장 높았다 한외 여과 permeate내의 naringin 과 hesperidin 농도는 각각 $0.45{\sim}0.65\;mg/g,\;5.15{\sim}6.86\;mg/g$으로, 감귤 과피 고유의 함량보다 각각 $15{\sim}22$배, $79{\sim}93$배 높은 수치였다. 따라서 , 감귤 과피로부터 bioflavonodsi를 회수하는데 있어서 PM10 중공사막의 운용이 매우 효과적인 분리 시스템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자색(紫色) 고구마의 영양성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Nutritional Components of Purple Sweet Potato(Ipomoea batatas))

  • 김선영;유정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819-825
    • /
    • 1995
  • 고안토시아닌을 함유한 자색고구마의 식량자원으로서의 활용도를 높히고자 엷은 황색고구마와 동시에 영양성분을 분석하였다. 자색고구마의 일반성분 중 단백질 함량이 2.01%, 무질소물이 25.73%였으며, 조지방이 0.25%로 엷은 황색 고구마보다 높았다. 총아미노산의 구성은 2품종 모두 aspartic acid, serine, alanine 및 valine이 주성분이었으며, 자색고구마일 경우 함유황 아미노산이 제1제한 아미노산이었다. 지방산의 조성은 2품종 모두 palmitic acid, linoleic acid가 80% 이상으로 주종을 이루었으며,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포화지방산 함량보다 더 높았다. 2품종의 고구마 모두 탄수화물 함량은 75%이상이었고 자색고구마의 중성당 함량은 67.22%로 이중 대부분은 glucose였다. 그리고 uronic acid는 11.88%, starch 59.42%였으며, 특히 자색고구마의 유리당은 엷은 황색고구마의 1/3 정도로서 고구마 고유의 단맛이 적었다. 비타민 $B_1$, 비타민 $B_2$ niacin 함량은 2품종 모두 큰 차이는 없었으나 비타민 C의 함량은 자색고구마가 63.4mg%, 엷은 황색고구마가 48.7mg%였다. 다음 무기질 구성원소로는 자색고구마일 경우 K, Mg, Ca, Na 등이 주성분이었고, 그외 Fe, Mn, Zn, Cu, Al 등이 확인되었다. 총식이섬유는 자색고구마가 13.43%로서, 이중 수용성식이섬유가 7.74%, 불용성식이섬유는 5.69%였으며 또 엷은 황색 고구마는 총식이섬유 함량이 9.79%로 수용성, 불용성 식이섬유 함량이 비슷하였다.

  • PDF

참취의 고부가 식품이용화를 위한 품질특성 및 기능성 건강음료 개발 (Quality characteristics of Aster scaber and development of functional healthy drinks using its extract)

  • 김수정;김재광;김건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10-316
    • /
    • 2004
  • 본 연구는 소비자들이 잘 알고 있고 널리 섭취하고 있는 산채류 중 취나물의 일종인 참취의 이용가치를 높이기 위해 실시하였다. 품질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섬유소, 탄닌, 무기질, 색도, texture를 측정하였다 참취에는 섬유소가 0.68g/100g 함유되어 있었고, 수렴작용을 갖는 탄닌은 35.6ppm/g 함유 되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기질 함량을 측정한 결과 Fe가 많이 함유되어 있어 참취에서 290.98mg/kg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부가 식품이용화 가치를 판단하기 위해서 참취를 생잎, 나물과 샐러드로 제조해서 관능검사를 시행한 결과 참취 나물에 대한 전반적인 선호도가 다른 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20대보다는 30대, 40대 이상에서 전체적인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참취 곰취 추출물을 이용하여 현대인의 건강증진에 이바지할 수 있는 음료를 개발하였다. 참취ㆍ곰취 음료의 제조조건 확립을 위하여 관능검사를 통해 recipe를 결정하였다. 결정된 recipe로 음료를 제조한 후 유통기한 설정을 위해 가용성 고형물, optical density, pH, 적정산도 및 미생물 등의 품질분석을 실시하여 유통기한을 18개월로 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