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lanum nigrum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4초

왕까마중(Solanum nigrum L.) 열매 분말의 추출 용매에 따른 항산화 및 항균 활성 (The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Solanum nigrum L. Fruit Powder by Extraction Solvent)

  • 신경옥;음영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37-145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Solanum nigrum L. fruit powder after undergoing different extraction solvent processes. The total phenolic content of Solanum nigrum L. fruit powder measured a 14.66 GAE mg/g after undergoing ethanol extraction, and the total flavonoid content measured at 201.23 mg CE/g when undergoing ethanol extraction.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160.38~209.53 TEAC umol/g, and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53.99~90.76 TEAC umol/g, which indicated a higher level of antioxidant power in the ethanol extract as opposed to in the water extract. The FRAP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of Solanum nigrum L. fruit powder was 115.58~194.58 TEAC umol/g, and B. subtilis KCTC 2189 showed greater antimicrobial activity in the ethanol extract (concentration 200 ug/uL) as opposed to the water extract. Solanum nigrum L. fruit powder revealed differences in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y between the different extraction solvents. In particular, ethanol extract had higher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y, meaning it is more favorable for usage as a functional food material.

Neochlorogenin from the Fruits of Solanum nigrum

  • Son, Kun-Ho;Do, Jea-Chul;Jung, Keun-Young;Kim, Chang-Min
    • 생약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42-143
    • /
    • 1991
  • A steroidal sapogenin, neochlorogenin, was isolated from Solanum nigrum. This is the first report from this plant.

  • PDF

까마중 추출물의 Candida albicans에 대한 항균효과에 대한 융합적 연구 (A convergence study of antibacterial effect of solanum nigrum extract on candida albicans)

  • 최유리;강민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69-74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까마중추출물의 캔디다 알비칸스의 항균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까마중을 70퍼센트 메탄올에 추출하였다. 추출물의 성분분석을 위해 까마중 추출물의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의 함량을 확인하였다. 까마중 추출물의 캔디다 알비칸스의 항균력을 확인하기 위하여 생존률을 OD값으로 측정하였고, 증식능력을 CFU로 측정하였다. 까마중 추출물의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각 각 $8.23{\pm}0.13mg/g$$14.97{\pm}1.58mg/g$로 나타났다. CFU 결과, 대조군과 비교하여 실험군에서 CFU 값이 낮게 나타났다. 균의 활성도를 평가한 결과, 대조군과 비교하여 실험군에서 더 낮은 균활성도 값을 보여 칸디다 알비칸스에 대한 까마중 추출물의 항균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 까마중 추출물은 칸디다균뿐만 아니라 치과분야에서 천연 항균제로 사용될 수 있을 가능성이 보인다.

Solanum Nigrum Polysaccharide (SNL) Extract Effects in Transplanted Tumor-bearing Mice - Erythrocyte Membrane Fluidity and Blocking of Functions

  • Yuan, Hong-Liang;Liu, Xiao-Lei;Liu, Ying-Jie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3호
    • /
    • pp.10469-10473
    • /
    • 2015
  • Background: Solanum nigrum L. has been used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because of its diuretic and antipyretic effects. The present research concerned effects of crude 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Solanum nigrum L. on erythrocyte membranes of tumor-bearing $S_{180}$ and $H_{22}$ in mice. Materials and Methods: Fluorescence-labeled red blood cell membranes were used with DPH fluorescence spectrophotometry to examine erythrocyte membrane fluidity, and colorimetry to determine degree of erythrocyte surface membrane blocking. Extent of reaction by tumor-bearing mice with the enzyme erythrocyte membrane bubble shadow detection of red cell membrane variation in the degree of closure before and after administration. Results: Solanum nigrum polysaccharide could significantly improve the $S_{180}$ and $H_{22}$ tumor-bearing mice erythrocyte membrane fluidity,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p<0.01), SNL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red blood cell membrane and then $S_{180}$ tumor-bearing mice sealing ability, compared with the negative control group,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p<0.05, p<0.01). $H_{22}$ tumor-bearing mice can increase red cell membrane and then sealing ability,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p<0.05). Solanum nigrum polysaccharide degree of fluidity and blocking two transplanted tumors in mice restored the ability to raise the red cell membrane has a significant effect. Conclusions: Solanum nigrum L.-type mice transplanted tumor can affect the red blood cell membrane fluidity and re-closed, through the red cell membrane of red blood cells to enhance the immune function of the possibility of erythrocyte immunity against tumor formation garland provide experimental basis.

까마중내 (Solanum nigrum L.) 항산화방어계의 항산화력 및 물질의 동정 (Evaluation of the Antioxidant Potential and ldentification of Active Principles of Solanum nigrum L. on Antioxidant Defense Systems)

  • 임종국;정규영;정형진
    • 생명과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509-516
    • /
    • 2001
  • 까마중의 부위별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은 뿌리에서 가장 높았고, 줄기, 전부위, 열매 잎 그리고 꽃 순으로 높았다. 추출방법간의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은 80%methanol에 침지하여 추출한것보다는 $80^{\circ}C$에서 80% meth-anol에 흰류추출한것이 높았다. Sephades LH-20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하여 분획된 L6의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은 ethy acetate 분획 추출물보다 6.7배 높았다. 분획물내의주요물질은 2, 6-methano-3-benzazocin-11-ol, 2[1h]-pyridinethione 및 2-hydroxy-5 methylbenzaldehyde로 phenolic 화 물이었다. 줄기와 뿌리의 POD및 SOD 활성은 타 부위에 비하여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생육기간에는 파종 후 60일후에서 활성이 가장 높았다. PODdmlehddnl gth 패턴은 뿌리에서 10개의 band로 가장 많았고 그중 8개의 band가 식물체의 부위별로 차이가 있어Tdmaul, SOD의 동위효소 패턴은 잎에 5개의 band로 가장 많았고 그중 2개의 band가 식물체의 부위별로 차이가 있었다.이가 있었다.

  • PDF

용규(Solanum nigrum)에서 HT29 세포에 대한 신규 항암 활성 단일 물질 분리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 Novel Anticancer Compound from Solanum nigrum)

  • 윤희정;정종헌;현숙경;김병우;권현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34-241
    • /
    • 2014
  • 용규(Solanum nigrum)에 함유된 여러 성분 중 항암 활성이 있는 물질을 분리 및 규명하고자 용규를 MeOH로 추출하고 이 추출물을 $CH_2Cl_2$, EtOAc, n-BuOH, $H_2O$로 유기용매 계통분획 하였다. 이 분획물 중 $H_2O$ 획분이 가장 뛰어난 세포 독성 효과를 보였으며 이를 다시 용매별($H_2O$, 40% MeOH, 60% MeOH, MeOH)로 Diaion HP-20 column chromatography하여 4개의 fraction으로 나누었다. 이 fraction 중 $H_2O$ fraction에서 가장 뛰어난 세포 독성효과를 보였으며 몇 차례의 column chromatography를 행하여 얻어진 활성 획분을 GC-MS 및 FAB-MS 분석하였다. 분자량이 416이었으며 GC-Mass를 통하여 library search를 행한 결과 분자식 $C_{28}H_{48}O_2$인 Des-N-26-methylenedihydrotomatidine으로 확인되었다. Des-N-26-methylene-dihydrotomatidine과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tomatine과 tomatidine의 HT29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효과를 확인한 결과, tomatine보다는 활성이 낮았으나 tomatidine 보다는 40 ${\mu}g/ml$ 이상의 농도에서 높은 세포독성 효과를 나타내었다. Des-N-26-methylene-dihydrotomatidine은 지금까지 학계에 보고되어 있지 않은 물질로, 본 연구에서 최초로 용규에서 Des-N-26-methylene-dihydrotomatidine을 분리하였고, 암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 효과를 보고하였다. Des-N-26-methylene-dihydrotomatidine의 정상세포에서의 세포 독성 및 작용 기전 등의 추가 연구를 통해 천연 생리 활성 물질 소재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장기간 계대배양된 야생약초 까마중종 캘러스로부터 식물체 재분화 (Effect of Thidiazuron on Regeneration from Long-Term Cultured Callus of Solanum spp.)

  • 유창연;채영암;안상득;조동하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38-43
    • /
    • 1994
  • 미국 일리노이에 자생하는 야생 까마중종인 Solanum ptycanthum과 Solanum nigrum의 어린자옆으로부터 유기된 callus를 2년이상 장기간 계대배양 후 식물체 분화율을 제고하기 위하여 IAA, BA, thidiazuron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callus 생장과 식물체분화는 IAA와 BA를 혼합처리시보다 thidiazuron을 단독처리 하였을 때가 4-5배 효과적이었다. Thidiazuron과 IAA와 BA간에는 식물체분화에 상호작용이 있었으며 thidiazuron을 단독처리시보다 IAA를 첨가시 식물체 분화를 감소하였다.

  • PDF

까마중 추출물을 이용한 천연 염색직물의 염색성 및 항균성 (A Study on the Dyeability and Antibiosis of Fabrics Dyed with Solanum Nigrum Extract)

  • 박영희
    • 복식
    • /
    • 제57권4호
    • /
    • pp.61-69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utility value with material of natural dyeing and to examine the dyeability and antibiosis of fabrics dyed with Solanum nigrum extract.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First, the color tone of dyed fabrics was tinged with from yellow series to green series, in the chrominance the fabric dyed with Fe mordant was showed the highest value. Second, colorfastness to dyeing showed difference as to mordants, but colorfastness to dyeing except for sunlight colorfastness showed the good colorfastness result on the whole. Third, in the test results of antibiosis, the dyed both cotton and silk fabrics showed the very excellent antibiosis effect for bacteria but showed the insignificant effect for fungus.

Solanum nigrum L.의 약배양에 관한 연구 II (Studies on The Anther Culture of Solanum nigrum L. II)

  • 한창열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4권2호
    • /
    • pp.7-10
    • /
    • 1971
  • Haploid cell obta-ined from microspores of Solanum nigrum were cultured on two kinds of medium, "Callus-inducing medium" and "Differentiation medium", in order to conduct histological studies of callus and examine differentiation of plantlets. On the callus-inducing medium the calli grew rapidly. The bulk of callus mass was light brown colored "Wet callus" covered on the surface with thin layers of rough and gleaming "White callus". The wet callus was consisted of parenchyma and meristematic tissues, while the white callus had no meristematic tissues. Large parenchyma cells, by successive divisions, became multicellular or poly nucleate cells which developed later to be meristematic tissues. The calli embedded on the differentiation medium quickly turned to dark brown color. Plantlets, however, came out later from these blackened callus mass. In the callus sectioned about ten weeks after imbedding on the differentiation medium, radially elongated tissue, concentric tissue, epidermis, tracheid-like structure, and plant jprimordia were observed.ure, and plant jprimordia were observed.

  • PDF

까마중(Solanum nigrum L.)의 생육특성과 전초수량에 관한 연구 (Studies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Solanum njgrum L.)

  • 최성규;서경순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96-602
    • /
    • 2012
  • 우리나라 남부지역에 자생하고 있는 까마중을 수집하여 생육특성을 비교한 결과, 1과중은 285~300 mg이고, 1과당 종자수는 28~32개 였으며, 종자의 천립중은 185~193 mg 이었다. 종자 발아율은 60%이상이었으며, 4월 20일 포장에 파종 했을 때 출아기는 5월 12일~15일이었다. 종자 채종 후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휴면이 타파되어 파종 후 2~3주가 지나면서 발아가 자연적으로 진행되었다. 생육은 초장 65~75 cm이고, 경직경 7.1~8.2 mm 그리고 1주당 엽수가 237~270 매였고, 가지수는 12~17 매이었다. 수집지역별 생장특성은 유의성이 인정 되지 않았다. 개화는 8월 10일 처음으로 시작되어 9월 4일 까지 계속 개화 되었으며 수집종간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까마중의 1주 생체중은 265~279 g이었으며, 건조중은 생체중의 23~25% 정도였다. 10a당 전초수량은 1.298~1.367 kg이었다. 까마중 재식포장에 발생된 해충은 꽈리허리노린재(Acanthocoris sordidus), 큰이십팔점박이무당벌레(Henosepilachna viginitioctopunctata), 아메리카굴잎파리(Liriomyoza trifolii)등 3종이 발생되어 피해를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