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ilborne disease.

검색결과 33건 처리시간 0.022초

New Sources of Resistance and Identification of DNA Marker Loci for Sheath Blight Disease Caused by Rhizoctonia solani Kuhn, in Rice

  • Pachai, Poonguzhali;Ashish, Chauhan;Abinash, Kar;Shivaji, Lavale;Spurthi N., Nayak;S.K., Prashanthi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8권6호
    • /
    • pp.572-582
    • /
    • 2022
  • Sheath blight disease caused by the necrotrophic, soilborne pathogen Rhizoctonia solani Kuhn, is the global threat to rice production. Lack of reliable stable resistance sources in rice germplasm pool for sheath blight has made resistance breeding a very difficult task. In the current study, 101 rice landraces were screened against R. solani under artificial epiphytotics and identified six moderately resistant landraces, Jigguvaratiga, Honasu, Jeer Sali, Jeeraga-2, BiliKagga, and Medini Sannabatta with relative lesion height (RLH) range of 21-30%. Landrace Jigguvaratiga with consistent and better level of resistance (21% RLH) than resistant check Tetep (RLH 28%) was used to develop mapping population. DNA markers associated with ShB resistance were identified in F2 mapping population developed from Jigguvaratiga × BPT5204 (susceptible variety) using bulk segregant analysis. Among 56 parental polymorphic markers, RM5556, RM6208, and RM7 were polymorphic between the bulks. Single marker analysis indicated the significant association of ShB with RM5556 and RM6208 with phenotypic variance (R2) of 28.29 and 20.06%, respectively. Co-segregation analysis confirmed the strong association of RM5556 and RM6208 located on chromosome 8 for ShB trait. This is the first report on association of RM6208 marker for ShB resistance. In silico analysis revealed that RM6208 loci resides the stearoyl ACP desaturases protein, which is involved in defense mechanism against plant pathogens. RM5556 loci resides a protein, with unknown function. The putative candidate genes or quantitative trait locus harbouring at the marker interval of RM5556 and RM6208 can be further used to develop ShB resistant varieties using molecular breeding approaches.

불로초버섯 노랑썩음병의 발생과 병원균의 분류 동정 (Occurrence and Identification of the Fungus Causing Yellow Rot on Ganoderma lucidum)

  • 오세종;전창성;이종규;김희규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1호통권84호
    • /
    • pp.31-38
    • /
    • 1998
  • 1990년을 전후하여 불로초버섯 재배원목에 노랑 얼룩무늬를 형성하며 버섯균을 심하게 썩히는 토양 전염성 곰팡이에 의한 병이 발생되었다. 불로초버섯 재배기간이 10년 이상인 철원과 강화 지역의 발병율은 각각 61%와 94%로 매우 높았으며 재배 년수가 비교적 짧은 문경과 홍성에서는 아직 병발생이 없었다. 피해원목을 절개하여보면 감염 초기에는 원목내부에 연한노랑 얼룩무늬를 형성하면서 영지버섯균사와 대치된 부분에서 갈색의 띠를 형성하였는데, 병이 많이 진전된 경우에는 원목의 내부 전체가 약간 푸르스름한 색깔을 띄면서 병원균의 자낭각이 다량으로 형성되어 있었다. 심하게 이병된 원목에서는 불로초버섯의 자실체가 전혀 생산되지 못하였으며 자실체가 형성된 경우라도 매우 불량하고 거의 죽어있었다. 단포자로 분리에 의해 배양된 병원균은 배양기상에서나 재배원목에서 불로초버섯 균사체를 심하게 용해시키는 강한 병원성을 나타내었으며, 병원균이 분비한 항균물질에 의하여 불로초버섯 균사체는 전혀 생장하지 못하였다. 본 병원균은 Arthrographis cuboidea로 동정되었는데 이들은 일반 배양기에서 비교적 빠르게 자라며 노란 색소를 형성하고 무성세대인 분절포자를 형성하였으며 포자낭병은 분지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포자를 형성하였다. 무성포자의 폭이 길이보다 넓은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A. cuboidea에 의한 불로초버섯 노랑썩음병에 대한 병원성 및 분류 동정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합니다.

  • PDF

배추 뿌리혹병균 Plasmodiophora brassicae의 종 특이적 프라이머 개발 (Development of Species-Specific Primers for Plasmodiophora brassicae, Clubroot Pathogen of Kimchi Cabbage)

  • 최진수;양슬기;송정영;김홍기
    • 식물병연구
    • /
    • 제20권1호
    • /
    • pp.21-24
    • /
    • 2014
  • Plasmodiophora brassicae는 십자화과 작물에 뿌리혹병을 일으키는 주요 병원균이다. 본 연구에서는 뿌리혹병균의 신속 정확한 검출을 위해서 뿌리혹병균에 대한 새로운 종 특이적 프라이머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새롭게 개발된 프라이머들은 10종의 주요 토양병원균을 비롯하여 기주인 배추 DNA와는 반응하지 않고 P. brassicae와만 반응하는 특이성을 갖고 있었다. 그 가운데 Primer ITS1-1/1-2는 민감도 검정 결과, 10 spores/ml의 DNA까지 검출이 가능함으로써, first round PCR용임에도 불구하고 이전의 검출법 보다 감도가 높고 정확한 결과를 얻었다. Quantitative real-time PCR로 분석할 경우에는 더 적은 수의 포자까지 안정적으로 검출해 낼 수 있어 새로운 P. brassicae 종 특이적 프라이머로서의 유용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Biosynthetic Genes of an Antifungal Compound Produced by Pseudomonas fluorescens MC07

  • Kim Jin-Woo;Kim Eun-Ha;Kang Yong-Sung;Choi Ok-Hee;Park Chang-Seuk;Hwang In-Gyu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3호
    • /
    • pp.450-456
    • /
    • 2006
  • Pseudomonas fluorescens MC07 is a growth-promoting rhizobacterium that suppresses mycelial growth in fungi such as Rhizoctonia solani, Pythium ultimum, Fusarium oxysporum, and Phytophthora capsici. To determine the role of the bacterium's antifungal activity in disease suppression, we screened 2,500 colonies generated by Tn5lacZ insertions, and isolated a mutant 157 that had lost antifungal activity. The EcoRI fragment carrying Tn5lacZ was cloned into pBluescript II SK(+) and used as a probe to isolate wild-type clones from a genomic library of the parent strain, MC07. Two overlapping cosmid clones, pEH4 and pEH5, that had hybridized with the mutant clone were isolated. pEH4 conferred antifungal activity to the heterologous host P.fluorescens strain 1855.344, whereas pEH5 did not. Through transposon mutagenesis of pEH4 and complementation analyses, we delineated the 14.7-kb DNA region that is responsible for the biosynthesis of an antifungal compound. DNA sequence analysis of the region identified 11 possible open reading frames (ORF), ORF1 through ORF11. A BLAST search of each putative protein implied that the proteins may be involved in an antifungal activity similar to polyketides.

잔디 토양전염성병원진균에 대한 길항미생물의 분리 및 길항효과 (Isolation of Antibiotic-producing Microorganisms Antagonistic to Soilborne Pathogenic Fungi of Bentgrass and Their Antifungal Activity)

  • 이용세;전하준;이창호;송치현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33-149
    • /
    • 1997
  • Recently, the importance of management and cultivation of grasses has been increased in Korea. Among these cultural practices, the appropriate control of diseases is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other cultivation techniques such as fertilization and irrigation. The damages of brown patch and large patch caused by Rhizoctonia spp. and Pythium blight caused by Pythium spp. are serious in the major cultivation area of turfgrass in Korea. Since these diseases are difficult to control by agrochemicals, the damages are very serious if these are occured. The periodic spray of agrochemicals, to protect and control these diseases could make some problems of toxicity and environmental pollution as well as rising of non-target diseases. Therefore, the biological methods to control diseases have been required to decrease problems resulted from overuse of agrochemicals, to conserve natural ecosystem, and to control effectively diseases of grasses in the long period. The number of studies about biological control using antagonistic microorganisms have been increased for last half century. However, the application of biological control method has been very limited. In this study, thirteen isolates of R. cerealis, 8 isolates of R. solani and 3 isolates of Phthyn spp. have been isolated from diseased turfgrass in golf course and grass-culture area that have patch and wilting symptoms of zoysia grass and creeping bentgrass. Isolation frequency of R. cerealis and R. solani was high in especially zoysiagrass, while Pythym spp. was isolated from bent grass at low frequency but showed high pathogenicity. Totally, 205 isolates of soil microorganisms were isolated in this study as primary antagonistic microorganism by Herr's triple agar layer plate and dual culture method using rhizosphere of grasses, soil of crop field as the source of antagonistic microorganisms. Among the 205 isolates, 23 isolates were actinomycetes and 182 isolates were bacteria. All of the actinomycetes were isolated by Herr's method. Antagonistic effect of primary isolated microorganisms was tested for in vitro mycelial growth inhibition against pathogenic fungi isolated from grasses and for inhibition of disease occurrence in 24 well tissue culture plate and pot experiment. Then, four isolated of bacteria which are BG23, BG74, BG136 and BG171 were selected as antagonistic microorganisms against soil-born pathogenic fungi of bentgrass.

  • PDF

Greenhouse Evaluation of Melon Rootstock Resistance to Monosporascus Root Rot and Vine Decline as Well as of Yield and Fruit Quality in Grafted 'Inodorus' Melons

  • Jang, Yoonah;Huh, Yun-Chan;Park, Dong-Kum;Mun, Boheum;Lee, Sanggyu;Um, Yeongcheol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5호
    • /
    • pp.614-622
    • /
    • 2014
  • Melons (Cucumis melo L.) are generally grafted onto Cucurbita rootstocks to manage soilborne pathogens such as Monosporascus root rot and v ine decline (MRR/VD) and Fusarium wilt. However, g rafting onto Cucurbita rootstocks reportedly results in the reduction of fruit quality. In this study, the resistance to MRR/VD, yield, and fruit quality of melons grafted onto melon rootstocks were evaluated under greenhouse conditions. Eight melon rootstocks (R1 to R8) were used and the inodorus melon 'Homerunstar' was used as scion. Melon rootstocks R1 to R6 were selected based on resistance to MRR/VD under greenhouse conditions. Non-grafted 'Homerunstar' and plants grafted onto squash interspecific hybrid 'Shintozwa' rootstock (Cucurbita maxima D. ${\times}$ C. moschata D.) served as controls. Grafted melons were cultivated in the greenhouse infested with Monosporascus cannonballus during two growing seasons (summer and autumn). The responses to MRR/VD, yield, and fruit quality differed depending on the rootstocks and growing season. The melons grafted onto 'Shintozwa' exhibited less severe disease symptoms and higher survival rates than non-grafted melons in both seasons. While the melon rootstocks in the summer cultivation did not increase the survival rate compared to non-grafted melons, the melon rootstocks R1 and R2 in the autumn cultivation led to higher survival rates. The melon rootstocks resistant to MRR/VD increased the percentage of marketable fruits and marketable yields. Grafting onto the melon rootstocks caused little or no reduction of fruit quality such as low calcium content, fruit softening, and vitrescence, especially in lower-temperature autumn season. According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grafting onto the melon rootstocks may increase the tolerance to MRR/VD and the marketable yield without a reduction of fruit quality.

배추뿌리혹병균(Plasmodiophora brassicae)의 인공접종을 위한 효율적인 저장조건 (Optimal Storage Condition of Clubroot Pathogen, Plasmodiophora brassicae for Artificial Inoculation)

  • 양슬기;박주영;서문원;김홍기
    • 한국균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286-289
    • /
    • 2015
  • 순활물기생체인 Plasmodiophora brassicae는 병원성 검정을 위해서 반드시 뿌리혹을 장기적으로 보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그동안 병원성을 유지하는 것이 관건이다. 특히 기존의 방법은 100년 이상 사용되어온 저장법으로 개선이 필요하여 그 효율적인 방법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 결과 장기적으로 병원성의 저하를 최소화하며 장기간 뿌리혹을 저장할 수 있는 방법은 $-70^{\circ}C$ 냉동고에 보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저장 조건은 뿌리혹을 그대로 보관하거나 뿌리혹을 갈아 균질화한 후 여러 겹의 거즈에 거른 것이 6가지 저장조건 중에 가장 효과적인 저장법으로 밝혀졌다.

잔디 주요 토양 병해에 대한 토양세균 Pseudomonas spp.의 길항 효과 (Antagonistic Effects of Pseudomonas spp. against Turfgrass Pathogenic Soil Fungi)

  • 장석원;장태현;최병진;송정희;박경숙;노용택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09-218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골프장에서 문제가 되는 주요 병의 방제가능한 생물학적 제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강원도 소재 골프장의 잔디 근권토양으로부터 채취한 100여개의 미생물로부터 4개의 길항 미생물을 선발하였다. 배지를 이용한 저지원 실험에서 4개의 균주는 한국 골프장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옐로우패취(Rhizoctonia cerealis), 브래운패취(R. solani AG-1(1B)), 동전마름병(Sclerotinia homoeocarpa), 그리고 설부갈색소립균핵병원균 (Typhula incarnata)에 대하여 효과적이었다. 옐로우패취, 브래운패취, 동전마름병을 대상으로 온실실험 결과, 4개의 균주는 병의 종류, 기주 식물체 및 병 발생 정도에 따라 효과가 달랐지만 한개 혹은 그 이상의 병에 대해 60% 이상을 방제가를 기록하였다. 4개의 균주는 생화학적 특성과 16S rRNA 분석을 통해 Pseudomonas spp.로 밝혀졌다. 현재 4개의 균주는 적정 배양조건과 제제화를 위한 연구 중에 있다.

점액세균 Myxococcus sp. KYC 1126을 이용한 고추 역병 생물학적 방제 효능 (Biocontrol Activity of Myxococcus sp. KYC 1126 against Phytophthora Blight on Hot Pepper)

  • 김성택;윤성철
    • 식물병연구
    • /
    • 제17권2호
    • /
    • pp.121-128
    • /
    • 2011
  • 점액세균은 토양에서 식물 병원균의 활성을 억제하는 2차 대사산물들을 분비하는데, 이들은 기존의 길항균들의 항생물질과는 전혀 다른 생리활성물질이므로 생물방제에 활용이 기대되는 미생물이다. 고추 역병 생물학적 방제를 위해 토양 미생물인 점액세균의 길항능력을 기내에서 검정한 후, 자실체 및 액체배양 여액을 엽권과 근권에 처리하여 온실에서 생물 검정하였다. 점액세균 생리활성 물질이 남아있는 PDCY 배지에 역병균을 접종한 결과 점액 세균 Myxococcus spp. 세 균주 중 KYC 1126과 KYC 1136은 균사생장을 완벽히 저해하였다. 토양 내 점액세균 생리활성물질 분비를 극대화하기 위해 기내에서 다량의 자실체 형성을 위해 먹이인 E. coli를 먼저 배양 후 점액세균 KYC 1126을 치상하는 방법을 확립하였다. 이 방법으로 토양에 자실체를 먼저 투입하고 역병을 관주접종한 결과 방제 효과가 없었다. 한편 시험관에서 역병균 유주포자 현탁액과 점액세균 CYE 액체배양여액을 혼합한 후 고추 뿌리에 침지 접종한 결과 역병 발병을 지연시켜 배양여액의 길항능력을 확인하였다. 점액세균 배양여액을 엽권에 살포하거나 근권에 침지한 방제가는 각각 88%와 40%로서 dimethomorph+propineb의 100%와 propamocarb의 44%에 버금가는 결과였다. 배양여액을 기존 처리의 약 2배인 24시간 이상 뿌리에 침지하면 약해가 발생하였는데, 그 증상은 고추 묘에서 줄기가 잘록해지고 잎이 말려 들어가며 점액성의 물질이 뿌리를 덮어 썩는 것이었다. 선발된 점액세균 KYC 1126의 대량 생산 방안이 확보되면, 배양여액을 엽권에 예방적으로 정기 살포함으로써 고추 역병의 생물학적 방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백합 구근부패병 저항성 검정을 위한 기내 간편 검정법 개발 (Development of an Efficient In Vitro Screening Method for Selection of Resistant Lily Cultivars Against Fusarium oxysporum f. sp. lilii)

  • 장지영;문기범;하장호;박지선;김미진;전재흥;이긍주;김현순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6호
    • /
    • pp.883-890
    • /
    • 2015
  • 토양 전염균인 Fusarium oxysporum f. sp. lilii(Fol)은 식물에 심각한 위협을 주는 균으로 특히 백합의 구근과 꽃에 심각한 영향을 준다. 따라서 저항성 품종의 육성이 중요시되고 있는데, 저항성 품종이 육성되기 위해서는 신속, 간편한 검정법 체계와 유전적 다양성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본 실험에서는 기내배양시스템을 이용하여 백합의 Fol에 대한 저항성 정도를 효율적으로 검정하는 방법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병원균의 배양조건, 병원균의 식물체 접종 농도, 대상 절편체 종류, 접종 후 적정 발병 기간 등과 같은 조건을 단독, 혹은 조합하여 실험 한 결과 다음의 기내검정조건을 확립하였다. Fol균을 6일 동안 PDA 배지에서 배양한 후 포자 현탁액을 $1.0{\times}10^4$ $spores{\cdot}mL^{-1}$농도로 조절하여 기내배양 중인 식물체의 잎을 $1.5{\times}2.0cm^2$의 크기로 절단하여 $25^{\circ}C$, 암조건에서 22시간 침지시켜 접종하였다. 접종이 끝난 잎절편체는 0.6% 한천배지에 치상하여 온도 $25^{\circ}C$, 습도 50%, 16시간 광조건(광도 $40{\mu}mol{\cdot}m^{-2}{\cdot}s^{-1}$)을 유지하면서 병의 발달을 관찰하였다. 발병 정도를 지수화하여 통계처리를 하였다. 기내검정을 통하여 저항성 및 민감성으로 선발한 백합종들을 토양검정법으로 실험한 결과 동일한 저항성 정도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이는 본 연구에서 확립한 Fol에 대한 구근부패병 기내검정법이 효율적으로 품종 선발에 이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