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il pH

검색결과 4,030건 처리시간 0.026초

인공산성우(人工酸性雨)가 잣나무 유묘(幼苗)의 생장(生長), 엽내함유성분(葉內含有成分) 및 토양(土壤)의 화학적(化學的) 성질(性質)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Simulated Acid Rain on Growth and Contents of Chemical Substances in Needles of Pinus koraiensis Seedlings and on Chemical Properties of the Tested Soil)

  • 정용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6권1호
    • /
    • pp.33-40
    • /
    • 1987
  • 잣나무(Pinus koraiensis) 파종상(播種床)에 인공산성우(人工酸性雨)로 처리(處理)하고 생장(生長), 엽내함유성분(葉內含有成分) 그리고 배지(培地) 토양(土壤)의 화학적(化學的) 성질(性質)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산도수준(酸度水準)에 따라 평가(評價)하였다. 잣나무 종자(種子)를 1985년(年) 봄에 묘포토양(苗圃土壤)을 채운 pot에 파종(播種)하고, 해당지역(該當地域)의 30년간(年間)의 강우양식(降雨樣式)에 모의(模擬)(simulation)해서, 황산(黃酸)과 질산(窒酸)의 비율(比率)을 3:2로 혼합(混合)하여 지하수(地下水)로 희석(稀釋)한 pH 4.0 및 pH 2.0의 산성우(酸性雨)와 지하수(地下水)(pH 6.5)를 5월(月)부터 8월(月)까지 4개월간(個月間)에 걸쳐 살포(撒布)하고, 동년(同年) 10월(月) 30일(日) 시료(試料)를 채취(採取)하여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1) 잣나무 파종묘(播種苗)의 엽내함유성분(葉內含有成分)의 함량(含量)은 산성우(酸性雨)의 pH 값이 저하(低下)됨에 따라 S와 $K_2O$는 증가(增加)를, MgO 와 $P_2O_5$는 감소(減少)되었다. 2) 산성우(酸性雨)의 pH 값이 낮아짐에 따라 토양산도(土壤酸度)는 저하(低下)되었고, 치환성(置換性) Al 함량(含量)은 크게 증가(增加)하는 상반(相反)된 반응(反應)을 보였다. 3) 토양(土壤)의 치환성(置換性) Ca, Mg 및 K의 함량(含量)과 염기총량(鹽基總量), 염기포화도(鹽基飽和度)는 산성우(酸性雨)의 pH 값이 낮아짐에 따라 현저(顯著)하게 감소(減少)되었다. 4) 토양내(土壤內) sulfate 함량(含量)은 산성우(酸性雨)의 pH 값이 저하(低下) 될수록 크게 증가(增加)하였다.

  • PDF

물과 토양에서 인의 농도, 탁도 그리고 pH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centration of phosphorus, turbidity, and pH in water and soil)

  • 민영홍;현대용;음철헌;이승호
    • 분석과학
    • /
    • 제24권4호
    • /
    • pp.304-309
    • /
    • 2011
  • 본 연구는 물과 토양에서 pH와 상등액을 변화 시켜었을 때 인과 탁도의 행태에 관해 연구 하였다. 탁도의 인 용출율은 pH 4 이하 또는 pH 7 이상일 때 증가 되었고, 토양으로 부터 탁도 발생율은 pH가 증가하면 증가하며, pH 4 보다 커지면 급격히 상승한 후 pH 6 이상에서 안정화된다. 용존성인은 2-24시간까지 증가 후 안정화 됐고, 탁도 역시 24 시간까지 정점에 도달한 후 96시간까지 감소됨. 시료상 등수를 교체를 하면 용존성인과 탁도는 감소한다. 시료를 pH 6에서 pH 10으로 증가시키고, 상등액 교체를 1회에서 4회로 동시에 증가시킬 때 용존성인과 탁도의 행태는 유사하다. 이 결과로 용존성인과 탁도는 pH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고 사료되며, 호수는 pH 7-10 정도이기 때문에 이 결과는 대단히 중요하다.

황산고토와 수산화고토 비료가 토양 pH, EC 및 교환성 양이온 분포에 미치는 영향 비교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Mg-Sulfate and Mg-Hydroxide on Soil pH, EC and Exchangeable Cation Distribution)

  • 이상조;이승호;신현진;조현종;김복진;정종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05-112
    • /
    • 2003
  • 황산고토와 수산화고토는 용해도를 비롯한 화학적 특성이 크게 다르므로 이들을 비료로 토양에 시용하였을 때 토양의 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또한 달리 나타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고토 비료가 토양 pH, EC 및 교환성 양이온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수산화고토는 토양 pH를 증가시켰으며, 이러한 현상은 수산화고토의 낮은 용해도 때문에 주로 표토에만 제한적으로 나타났다. 황산고토의 경우에는 토양 pH를 저하시켰으며, 이러한 영향은 조사된 20 cm 깊이까지 나타났다. 용해도가 높은 황산고토의 이러한 pH 저하 현상은 주로 토양용액의 이온 강도 증가에 기인한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토양 EC는 황산고토 처리에서 크게 증가하였으나 수신화고토 처리에서는 표토 일부에서 약간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교환성 $Mg^{2+}$ 함량 조사 결과를 보면 황산고토의 경우 용해도가 높으므로 일시에 다량의 마그네슘이 토양에 용출되며 관수에 따라서 쉽게 용탈될 수 있는 것으로 나티났으며, 반면 수산화고토의 경우에는 용해도가 낮으므로 표토에만 지속적으로 마그네슘을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황산고토 처리의 경우 다량의 마그네슘을 용출되므로 수산화고토에 비하여 교환성 $Ca^{2+}$의 유실을 초래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고려할 때, 토양 환경 특성을 고려한 고토 비종의 선택이 필요할 것이며, 특히 산성토양 또는 염류집적 가능성이 높은 토양에서는 황산고토에 비해 수산화고토의 시용이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환경친화적 토양개량제의 농경지 중 잔류농약 경감효과 (Reduction Effects of Residual Pesticides using the Eco-friendly Soil Amendments in Agricultural Soil)

  • 이효섭;홍수명;김택겸;권혜영;김단비;문병철;문준관
    • 농약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12-318
    • /
    • 2016
  • 토양 중 잔류농약 관리방안을 위해서 8종의 토양개량제(패화석, 생석회, 석회고토, 규산질비료, 부엽토, 유박, 상토, 왕겨숯)를 이용하여 토양 중 잔류농약 경감효과를 조사하였다. 실험방법은 토양에 0.1 mg/kg 수준으로 농약을 첨가한 후 토양개량제를 토양무게의 2% 수준으로 처리하고 7일 동안 상온보관 후 잔류농약 경감효과를 확인하였다. 잔류량 분석은 QuEChERS 전처리법과 HPLC-MS/MS를 이용하였고, 추가적으로 pH에 따른 토양 중 잔류농약 경감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0, 1, 3, 7일의 pH를 측정하였다. 이에 따라, 2% 생석회를 투입한 토양에서는 boscalid, dimethomorph 및 tricyclazole을 제외한 azoxystrobin 등 7종의 농약이 95% 이상 경감되는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토양개량제 투입에 따른 토양 pH는 생석회를 첨가한 토양에서 pH 12.8 수준으로 가장 높은 증가를 나타냈다.

하와이 화산회(火山灰)로부터 발달한 Inceptisols과 Aridsol 토양(土壤)의 표면전하(表面電荷) 특성(特性)에 관(關)하여 (Studies on the Surface Charge Characteristics of Two Inceptisols and One Aridsol in Hawaii)

  • 임수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10-116
    • /
    • 1981
  • 동일한 화산회로부터 발달한 세개의 하와이 토양을 사용하여 중요한 토양 물리화학적 성질을 결정하는 인자인 토양표면전하 (soil surface charge)의 특성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높은 강우량(년 3050mm 이상)하에서 발달한 두 Typic Hydrandepts 토양은 pH 변화에 따른 음 양 전하의 발달이 대단히 컸으며 등전점은 각각 Akaka 토양이 5.0-5.5 사이, Hilo 토양이 6.5-7.0 사이에 있었다. 한편 낮은 강우량(년 500mm 이하)하에서 발달한 Ustolic Camorthid 토양은 pH 변화에 따른 음 양전하의 발달이 위 두 토양에 비하여 훨씬 낮았으며, 등전점 역시 4.5-5.0 사이로서 낮았다. 따라서 자연조건에서 Kawaihae 토양만이 -(음)의 ${\Delta}pH$를 나타내고 Akaka와 Hilo 토양은 +(양) 내지 0 근처의 ${\Delta}pH$ 값을 보여 주고 있다. X-ray 회절분석에 의하여 Typic Hydrandepts 토양의 주광물은 무정형 광물 (60 % 이상)이었고, Ustollic Camorthid 토양중의 주광물은 dehydrated halloysite(1:1 점토광물) (45-50 %)이었음이 밝혀졌다. 이같은 동일한 화산회에서부터 발달한 토양의 현저한 광물학적 차이는 토양발달과정중의 강우량 차이에서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마, 세토양중의 점토함량은 최저 42% (Akaka 토양)와 최고 57% (Hilo 토양)로 그 차이가 크지 않았으나 이들 토양의 표면적 ($m^2/g$)은 289 (Akaka 토양), 268 (Hilo 토양) 그리고 93 (Kawaihae 토양)으로서 특별히 Kawaihae 토양이 현저히 낮았다. 이같은 토양간의 표면적과 전하적 특성의 현저한 차이는 토양중의 광물학적 차이에서 오는 것이며 1:1 광물이 주를 이루는 우리나라 대부분의 토양은 본 연구 중의 Kawaihae 토양과 유사한 특성을, 그리고 우리나라 제주도 화산회토의 일부는 Akaka나 Hilo 토양의 특성을 따를 것으로 예상되는 바이다.

  • PDF

특이산성답(特異酸性畓)에서 수도(水稻)에 대(対)한 석회(石灰) 및 인산(燐酸)의 효과(効果) (Effect of Lime and Phosphorus to Rice Plant on Acid Sulfate Soil)

  • 황남열;박건호;김진기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64-71
    • /
    • 1983
  • 강산성(强酸性) 토양(土壤)인(pH 3.5) 특리산성답(特異酸性畓)에서 석회(石灰)와 인산(燐酸)의 시용(施用)이 토양(土壤)의 변화(変化) 및 수량증대(收量増大)에 미치는 효과(効果)를 구명(究明)하기 위(為)해 시험(試験)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석회중화량(石灰中和量) + 인산(燐酸) 20/10a구(区)에서 무처리구(無處理区)에 비(比)해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를 증대(増大)시켜 60%의 증수효과(増收効果)가 있었다. 2. 수량증대(收量増大)에 미친 효과(効果)는 석회(石灰)는 36%, 인산(燐酸)은 15%로써 석회(石灰)의 시용효과(施用効果)가 컸다. 3. pH와 Eh에 있어서는 석회시용량(石灰施用量)이 많을 수록 pH는 높아졌고 반대(反対)로 Eh는 낮아졌으며 석회(石灰)와 인산(燐酸) 시용(施用)은 토양환원(土壤還元)을 촉진(促進)하였다. 4. 근(根)의 신장(伸長)은 무석회구(無石灰区) 논 표토(表土) (0~5cm)에 62%의 뿌리가 존재하였으나 석회(石灰)와 인산(燐酸)을 많이 시용(施用)할수록 하위(下位)(5~10cm)까지 뻗어갔다(60%). 5. 토양(土壤) pH변화(変化)는 최고분얼기(最高分蘖期)에 최고(最高)에 이르며 그 후 점차 감소하여 원(原) pH값에 접근하였으나 석회 소요량은 약(約) 반(半)이였다. 6. 토양중(土壤中) 규산(珪酸), 인산(燐酸)과 수량(收量)은 유의성(有意性)있는 정(正)의 상관(相関)으로 나타났고 pH를 높여줌으로 토양중(土壤中) 규산(珪酸)과 인산(燐酸)의 함량(含量)을 높여줄 수 있다. 7. 석회(石灰)와 인산(燐酸) 증시(増施)는 질소흡수(窒素吸水)를 증가(増加)시키고 식물체중(植物体中) 인산(燐酸)의 흡수(吸水)가 많을수록 수량(收量)은 증가(増加)한다.

  • PDF

전라남도 화순군 폐탄광 산림복구지 토양의 화학적 특성 (Characteristics of Soil Chemical Properties in Abandoned Coal Mine Forest Rehabilitation Areas in Hwasun, South Jeolla Province)

  • 정문호;심연식;김태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1010-1015
    • /
    • 2011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soil chemical characteristics for forest rehabilitation and suggest management in abandoned coal mine areas in Hwasun-gun, South Jeolla Province. Total study sites were 8 sites, and soil analysis particular were soil pH, TOC, total-N, C/N ratio, Avail. $P_2O_5$, and CEC. Average soil pH was 5.8 (4.7~6.4). Average contents of TOC, total-N and C/N ratio were 1.1% (0.2~2.0%), 0.08% (0.02~0.13%) and 15.0 (7.9~31.4), respectively. Average Avail. $P_2O_5$ was $8.3mg\;kg^{-1}$ (2.7~15.0) and Average CEC was $13.7cmol_c\;kg^{-1}$ ($9.9{\sim}18.5cmol_c\;kg^{-1}$). Soil pH was decreased according to elapsed time from forest rehabilitation, while TOC, total N and CEC were increased. Av. $P_2O_5$ did not show any relationship with elapsed time. Soil pH was stable comparing with general forest soil in South Jeolla Province (5.1), while contents of TOC and total N were lower than general forest soil in South Jeolla Province (4.9% and 0.18%, respectively). Therefore, sustainable managements such as fertilization for TOC and total N are necessary for good rooting and growth of vegetation.

여천공단 주변지역 토양의 화학적 성질 (Chemical Properties of Soils in the Vicinity of Yoch의on Industrial Complex)

  • 문형태;표재훈;김준호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1권1호
    • /
    • pp.1-6
    • /
    • 1998
  • Effects of air pollutants on the chemical properties of soil in Yoch'on inductrial complex were investigated. Soil pH showed severe acidity with average value of 4.3$\pm$0.13. Soil pH decreaed along the increase in altitute of Mt. Jeseok. Soil organic matter and total N was 19.2$\pm$3.6% and 4.7$\pm$0.25mg/g, respectively, which were higher than those of unpolluted area, Kongju. Available P was 41.2$\pm$3.7 $\mu$g/g, which was 4 times greater than that of unpolluted area, Kongju. Average content of total-S was 283.5$\pm$14.1 $\mu$g/g, which was 10 times greater than that of unpolluted area. Content of available Al was o.43$\pm$0.03 mg/g, which was 2 times greater than that of unpolluted area. Available Al increased as the soil pH decrease. Contents of exchangeable K, Ca and Mg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in unpolluted area, because of severe leaching in acid soil.

  • PDF

요소시용(尿素施用) 초지(草地)의 토양단면(土壤斷面)에서 pH 및 인산(燐酸), 유기물(有機物)과 치환성(置換性) 양(陽)이온 함량의 계절적 변화 (Seasonal Changes in pH and Content of Phosphate, Organic Matter and Exchangeable Cations in Soil Profile of Urea-Fertilized Grassland)

  • 윤순강;유순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54-259
    • /
    • 1991
  • 요소(尿素)가 사용된 초지의 토양단면(土壤斷面)에서 pH, 인산, 유기물 그리고 치환성(置換性) 양(陽)이온 함량의 계절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질소(窒素)비료 28kg N/10a을 시용하고 무질소구(無窒素區)와 목초(牧草)를 재배하면서 봄(5.26), 여름(7.27), 가을(10.18)철에 토양시료를 100cm까지 20cm 간격으로 채취하여, 토양(土壤) 화학성(化學性)을 비교(比較)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봄, 여름철에 토양깊이 0~20cm에서 28kg N/10a 처리구의 pH는 질소 무처리구에 비하여 각각 0.7, 1.0 단위 낮았으며 토양깊이 20cm 이하에서도 28kg N/10a 처리구에서 pH가 낮아졌으며 계절별 pH감소 정도는 여름>봄>가을 순(順)이었다. 2. 토양 Bray No.1 인산 함량은 봄, 여름 철 질소무처리구와 28kg N/10a 처리간에 토양깊이별 차이가 없었으나, 여름철에 0~20cm 깊이에서의 인산함량은 봄철에 비하여 약 20ppm정도 낮았다. 가을철에는 28kg N/10a 처리의 토양깊이 20cm이하에서 인산함량이 봄, 여름철에 비하여 증가(增加)되는 경향을 보였다. 3. 유기물(有機物) 함량은 가을철에 질소 무처리구, 28kg N/10a 처리에서 공히 낮아지는 경향(傾向)이었으나, 대체적으로 질소시용량별, 토양깊이별 계절간 함량변화는 매우 적었다. 4. Ca 함량은 질소 무처리구, 28kg N/10a 처리 공히 토양깊이가 깊을수록 완만하게 감소(減少)되는 경향이었으나, 28kg N/10a 처리에서는 토양깊이 0~20cm에서의 함량이 봄철에 가장 높고 다음이 여름, 가을철 순(順)이었다. Mg과 K 함량은 질소 무처리구과 28kg N/10a 처리간에 계절별, 토양깊이별 차이가 거의 없었다. 5. 여름 철에 질소 무처리구에서는 $NH_4-N$ 함량과 pH, 유기물, Ca, Mg간에 정(正)의 유의상관(有意相關)이 있었고 28kg N/10a 처리에서는 $NO_3-N$함량과 토양 pH간에 부(負)의 유의상관(有意相關)(r=$-0.534^*$)이 있었다.

  • PDF

요소(尿素)를 시용(施用)한 삼림토양(森林土壤)과 토양수중(土壤水中) 양분함량(養分含量)의 계절적(季節的) 변화(變化) (Seasonal Changes in the Nutrient Content of Soil and Soil Water Affected by Urea Application in Forest)

  • 진현오;주영특;손요환;오종민;정덕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15-122
    • /
    • 1999
  • 본 연구는 인공조림된 잣나무임분과 일본잎갈나무임분을 대상으로 1997년 6월에 요소 (N: $150kg\;ha^{-1}$)를 시용하고 1년간의 토양 및 토양수중 양분함량 변화를 조사하였다. 토양 pH는 시용 후 잣나무임분에서는 급격한 감소경향을, 일본잎갈나무임분에서는 완만한 증가경향을 보였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시용 전 농도수준으로 회복되고 있었으며, 전탄소, 전질소는 시용 후 증가 경향을 보이다. 일정한 값을 나타내고 있었다. 치환성 Ca, Mg는 시용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치환성 K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일본잎갈나무의 토양수의 pH를 제외하고는 양임분 모두 토양수의 pH와 시용 후 감소하는 양이온중 Ca, $NH_4-N$, 음이온중 $NO_3-N$, $SO_4-S$, Cl 농도는 초기간계에서 증가하였으나, K, Mg, 농도는 시용 후 1~2개월 후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4개월 후에 최고 농도치를 나타내고 있었다. 시용 후 급격히 증가한 토양수중 각 용존원소 농도가시용 전과 같은 수준의 농도로 회복되는데에는 Ca, $NH_4-N$, $SO_4-S$, Cl에서 약 1개월, $NO_3-N$, K, Mg에서는 6~12개월로 용존원소에 따라 그 경향을 달리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