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ftwood species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26초

Cellulase from the fruiting bodies and mycelia of edible mushrooms: A review

  • Wu, Yuanzheng;Shin, Hyun-Jae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27-135
    • /
    • 2016
  • Cellulose is the most abundant organic polymer constituent of the cell wall of green plants and of various forms of algae. The complexity of lignocellulosic biomass is a major challenge in industrial research. Most mushroom species that naturally grow on soil or wood possess cellulases and the corresponding enzymatic system and, potential candidates for the direct bioconversion of softwood polysaccharides into fermentable sugars. However, there have been fewer studies on mushroom cellulases than on fungi such as Trichoderma spp., exploit the full potential of mushroom cellulases. This review will focus on the current status ofmushroom cellulase research and applications and will provide insight into promising future prospects.

제지식 판상엽의 공정 개선 연구 (A study on the Process Improvement of Papermade Reconstituted Tobacco)

  • 김영호;한영림;김근수;김대종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64-169
    • /
    • 2000
  • The reconstituted tobacco leaves(RTL) playa major part in the control of the low density and tar cigarette. Reconstituted tobacco manufactured by the papermaking process has much higher filling power than homogenized tobacco manufactured by slurry and rolling process. Fragile reconstituted tobaccos are liable to lead to small particles detrimental for filling power so they must be properly flexible. This work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CaCO$_3$ addition in paper-making process on the filling power and the flexibility of the reconstituted tobacco and to obtain the fundamental informa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domestic reconstituted tobacco. We analyzed the wood fiber species, the filler level, the fiber length, the fineness level and observed the surface of the RTL. From the obtained results, we could determine that foreign reconstituted tobacco was manufactured by blending softwood with hardwood and over 8% of calcium carbonate at the addition level. The domestic RTL has much higher fine fiber level by 23.2 % than that of foreign, so the refining treatment process and the condition must be reoptimized for the improvement of RTL quality.

  • PDF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Sawdust Board Made of Thinning Logs (II) - The Effect of Density and Additive Quantity of Powder Phenolic Resin -

  • Oh, Seung-Wo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1권3호
    • /
    • pp.17-23
    • /
    • 2003
  • As a fundamental study of developing sawdust board from thinning softwood logs from three species (Pinus densiflora S. et Z., Larix leptolepis G. and Pinus koraiensis S. et Z.),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board density and resin content on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sawdust board. As the board density increase, thickness swelling, bending strength, and Brinell hardness increased while water absorption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resin content, the bending strength and hardness increased while water absorption and thickness swelling decreased. The board made of L. leptolepis was slightly low in its water absorption, and the one made of P. koraiensis was a little high in its bending strength, while there was no definite difference between each kind of trees in their hardness values.

응력파(應力波) 측정(測定)에 의(依)한 수종(數種)의 국산(國産) 침엽수재(針葉樹材) 및 열대(熱帶) 활엽수재(闊葉樹材)의 휨성질(性質) 평가(評價) (Evaluation of Static Bending Properties for Some Domestic Softwoods and Tropical Hardwoods Using Sonic Stress Wave Measurements)

  • 이도식;조재성;김규혁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5권1호
    • /
    • pp.8-14
    • /
    • 1997
  • Stress wave velocity, wave impedance, and stress wave elasticity of small, clear bending specimens of five domestic softwoods (Pinus densiflora, Pinus koraiensis, Chamaecyparis obtusa, Cryptomeria japonica, and Larix leptolepis) and four tropical hardwoods(Kempas, Malas, Taun, and Terminalia) were correlated with static bending modulus of elasticity(MOE) and modulus of rupture(MOR). The degree of correlation between stress wave parameters and static bending properties was dependent on wood species tested. Stress wave elasticity and wave impedance were better predictors for static bending properties than stress wave velocity for each species individually and for softwood or hardwood species taken as a group, even though elasticity and impedance were nearly equally correlated with static bending properties apparently. Based upo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stress wave parameters and static properties, stress wave elasticity and wave impedance were found as stress wave parameters which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the reliable and successful prediction of bending properties. The degree of correlation between static MOE and MOR was also different according to wood species tested. Static MOE was nearly as well correlated with MOR as was stress wave elasticity.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encouraging and can be considered as a basis for further work using full-size lumber.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cluded that stress wave measurements could provide useful predictions of static bending properties and was a feasible method for machine stress grading of domestic softwoods and tropical hardwoods tested in this study.

  • PDF

춘천지역에서 생장하는 주요 수종의 연륜형성(I) - 형성층 활동기간에 관하여 - (Annual Ring Formation of Major Wood Species Growing in Chuncheon, Korea(I) - The Period of Cambium Activity -)

  • 권성민;김남훈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3권4호통권132호
    • /
    • pp.1-8
    • /
    • 2005
  • 춘천지역에서 생장하는 주요수종의 생장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형성층 분열기 및 형성층의 휴지기를 조사하였다. 소나무와 잣나무는 3월 중순~하순에 형성층 활동이 시작되었다. 5월 하순에서 7월 중순 사이에 형성층 세포의 분열이 활발하였고, 이 때 잣나무의 세포 수가 소나무의 세포 수보다 크게 증가하였다. 환공재인 신갈나무와 아까시나무의 형성층 분열은 3월 중순경에 개시되었으며 동시에 도관 형성이 시작되었다. 산공재인 층층나무와 산벚나무의 형성층은 4월 초에 분열을 개시하였고 도관은 이보다 1~3주일 늦게 형성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형성층 활동이 멈추는 시기는 침엽수 11월 초순경, 활엽수 10월 중순경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형성층의 활동은 동일한 환경조건에서도 수종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하천의 생태적 복원을 위한 식물상 및 식생분석 - 남원시 지방하천을 대상으로 - (Analysis on the Flora and Vegetation for Ecological Restoration of Local Streams - In case of local streams in Namwon -)

  • 박인환;장갑수;조광진;나정화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153-163
    • /
    • 200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ffer ecological restoration plan of local streams by analyzing the vegetation and flora around four local streams (Pungchoncheon, Namchangcheon, Ganggicheon, Woncheoncheon) in Namwon. Flora and vegetation investigation was done at April 2007 to August 2007, and June 2009. The 194 of vascular plants were identified which contain 53 families, 143 genera, 194 species. The Family frequencies arranged by the order of Family Compositae (14.4%), Family Gramineae (13.4%) Family Leguminosae (6.7%) and Family Polygonaceae (5.2%). The naturalized plants were listed as 33 species, and their naturalization ratio and urban index were found to be 17.0%, and 12.2%, respectively. In this study a total of 21 relev$\acute{e}$s collected and analyzed. 6 plant communities are differentiated : Riverine softwood forests (Phragmites japonica-Salix gracilistyla community), Perennial herb vegetations on lotic water zone (Phragmites japonica community, Phalaris arundinacea community), Perennial herb vegetations on lentic water zone (Persicaria thunbergii-Typha orientalis community, Phragmites communis community), Annual or biennial vegetations on waterside (Persicaria thunbergii community). Species showing the higer value in the plant communities were Persicaria thunbergii, Phragmites japonica, Artemisia princeps, Humulus scandens, Bidens frondosa, Oenanthe javanica, Agropyron tsukusinense var. transiens, Stellaria aquatica, and Lactuca indica var. laciniata.

수질 오염물질 배출저감을 위한 완충식생 복원 모델 개발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Model for Restoring a Vegetation Belt to Buffer Pollutant Discharge)

  • 안지홍;임치홍;임윤경;남경배;피정훈;문정숙;방제용;이창석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05-215
    • /
    • 2016
  • In order to improve water quality in the Paldang Lake, a riparian vegetation belt, treatment wetland, and artificial floating island were designed for introduction in the upland field, the estuary of tributaries, and the section of water facing mountainous land, respectively. We synthesized vegetation information collected from a reference river and found that herbaceous, shrubby, and tree vegetation zones tended to be dominated by Phragmites japonica, Phalaris arundinacea, etc.; Salix gracilistyla, S. integra, etc.; and S. koreensis, S. subfragilis, and Morus alba, respectively. In our plan, the herbaceous vegetation zone, which is established on floodplains with a high frequency of disturbance, will be left in its natural state. A shrubby vegetation zone will be created by imitating the species composition of the reference river in the ecotone between floodplain and embankment. A tree vegetation zone will be created by imitating species composition on the embankment slope. In the treatment wetland, we plan to create emerged and softwood plant zones by imitating the species composition of the Zizania latifolia community, the Typha orientalis community, the P. communis community, the S. integra community, and the S. koreensis community. The floating island will be created by restoring Z. latifolia and T. orientalis for water purification purposes.

국내 유통 합판의 수종식별을 위한 해부학적 특성 분석 (Analysis of Anatomical Characteristics for Wood Species Identification of Commercial Plywood in Korea)

  • LEE, Hyun Mi;JEON, Woo Seok;LEE, Jei Wa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6호
    • /
    • pp.574-590
    • /
    • 2021
  • 전 세계적으로 불법목재 방지를 위한 국제적 노력이 확대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국내에 수입·유통되는 목재의 합법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2019년 '합법목재 교역촉진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합법목재 교역촉진제도는 목재, 목재제품 등을 수입할 시 생산 국가, 수종, 벌채지 등에 대해 합법한 목재임을 입증하는 제도이다. 입증 방법에는 주로 DNA 분석 기술과 현미경을 이용한 해부학적 특징 분석이 함께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목재제품 중에 우선적으로 합판의 해부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수종 식별을 하였다. 공시재료는 합판 생산 기업의 합판(7, 9ply)을 취급하는 4업체를 선정하여 미송(Pseudotsuga menziesii (Mirb.) Franco.) 및 낙엽송(Larix kaempferi (Lamb.) Carriere)합판을 구입하여 시료를 확보하였다. 각 회사의 합판을 약 1cm3 크기로 절삭한 뒤, 표판부터 이판까지 하나의 단판으로 분리하여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3단면을 관찰하였다. 수종식별 결과, 침·활엽수 혼합 합판과 소나무류, 포플러류, 낙엽송·소나무류의 혼합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현미경법을 이용한 목재의 수종식별은 무분별한 불법 목재의 유통 및 불법 벌채 위험국가로부터 수입되는 합판을 비롯한 다른 여러 가지 목재 제품을 과학적으로 분석·검증할 수 있는 중요한 분야이다

정원용 유실수로서 가치가 높은 채진목속(Amelanchier spp.)의 형태적 특성 및 영양번식방법 (Vegetative Propagation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melanchier spp. with High Value as Fruit Tree for Landscaping)

  • 강호철;황대율;하유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111-119
    • /
    • 2018
  • 채진목속(Amelanchier spp.)중 우리나라 자생 채진목(A. asiatica)과 미국채진목(A. arborea) 그리고 준베리(A. alnifloia)의 생육 및 형태적 특성, 개화 특성, 그리고 열매의 착색시기 등을 비교하고, 나아가 조경적 활용을 증대시키기 위한 영양번식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20년생 자생 채진목의 수고는 7.8m, 수관폭은 5.2m였으며, 주간이 1개로 소교목성으로 나타난 반면, 미국채진목과 준베리의 경우 수관폭이 넓고 뿌리 근처에서 많은 줄기가 발생하는 관목형으로 나타났다. 채진목속의 잎의 형태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잎의 크기는 자생 채진목이 가장 컸으며, 잎의 형태는 자생 채진목의 경우 장타원형인데 반해, 미국채진목과 준베리는 도란형에 가까웠다. 꽃의 크기는 자생 채진목이 2.89cm로 미국채진목과 준베리에 비해 컸으며, 화방의 길이 역시 자생 채진목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채진목속의 개화 특성을 조사한 결과, 미국채진목과 준베리의 경우 개화가 4월 16일에 개화하여 만개기가 4월 18일로서 총 개화기간이 21~22일인 반면 자생 채진목의 경우 개화기가 미국채진목과 준베리에 비해 가장 늦었다. 열매특성으로 착과는 미국채진목과 준베리는 5월 10일과 12일로 자생 채진목의 5월 20일보다 약 10일 정도 빨랐으며, 착색시기 역시 미국채진목과 준베리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성숙된 열매가 낙과되는 시기는 자생 채진목은 10월 3일로 총 열매지속기간이 135일로 매우 긴 반면, 미국채진목과 준베리는 6월 29일로 총 50일 정도 열매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일의 크기는 미국채진목이 과고 1.03cm, 과폭 1.12cm로 가장 컸으며, 다음으로 준베리가 컸고, 자생 채진목의 과일의 크기가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방당 과일수는 준베리가 6.8개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미국채진목이 5.7개로 준베리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반면, 자생 채진목은 3.5개로 과방당 과일수가 가장 적어 착과율이 가장 낮았다. 미국채진목의 녹지삽목은 6월 27일 실시한 처리구에서 모든 처리구에서 발근율이 높았으며, 특히 Rootone 처리구와 고농도의 IBA에서 발근율이 80% 이상 높게 나타나 번식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산(韓國産) 단판수종(單板樹種)의 목재식별(木材識別) - I. 육안적(肉眼的) 성질(性質)에 의한 목재(木材)의 특성(特性) 및 그 식별(識別) - (Wood Identification of the Veneer Species that grow in Korea - I. Wood Characteristics and Identification by the Gross Features -)

  • 이필우;엄영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2권1호
    • /
    • pp.11-30
    • /
    • 1984
  • 본(本) 연구(硏究)는 한국산(韓國産) 단판수종(單板樹種)의 목재특성(木材特性)을 조사(調査)하여 합판공업(合板工業)에 필요(必要)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제공하기 위해 실시(實施)하였다. 최근(最近) 목재자원(木材資源)이 점차 고갈(枯渴)되어 외재(外材)의 도입사정(導入事情)이 악화(惡化)됨에 따라 합판공업(合板工業)에 한국재(韓國材)의 활용(活用)을 증진(增進)시키고 그 가공기술(加工技術)을 발전(發展)시킴에 있어서 단판수종(單板樹種)의 목재특성(木材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는 우선적으로 취급되어야 할 것이다. 본(本) 연구(硏究)에서 이들 취급(取扱)된 단판수종(單板樹種)은 우리 나라에 생장(生長)하고 있는 33개(個)의 속(屬)으로부터 50개(個)의 경제수종(經濟樹種)을 선정(選定)하였으며 이들 수종(樹種)에 대하여 주로 육안적(肉眼的) 목재특성(木材特性)을 조사(調査)하여 수종별(樹種別)로 기재(記載)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침엽수재(針葉樹材) 및 활엽수재별로 목재식별(木材識別) 검소표(儉素表)를 간략(簡略)하게 작성(作成)하여 보고(報告)한다. 본(本) 연구(硏究)에서 육안적(肉眼的) 특성(特性)에 따른 식별(識別) 원표(圓表)를 작성(作成)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우리나라산(産) 단판수종(單板樹種)의 육안적(肉眼的) 식별(識別) 검소표(儉素表)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