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ftware compatibility

검색결과 164건 처리시간 0.021초

SDN환경에서 DHT를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 위치자-식별자 분리 기술 (A Network-based Locator-Identifier Separation Scheme using DHT in SDN)

  • 이찬행;민성기;최창원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37-49
    • /
    • 2016
  • IP 주소는 기존 인터넷에서 단말과 어플리케이션을 바인딩하기 위해 식별자와 위치자의 역할을 모두 갖고있다. 이러한 바인딩을 제거하기 위해 몇몇 프로토콜들이 제안되었고, 제안된 대부분의 연구들은 기존의 인터넷과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해 IPv6기반의 단말 식별자를 사용하였다. 하지만, 단말 식별자는 일반적으로 IP 도메인 상에서 라우터블하지 않은 주소이기 때문에 기존의 표준 IPv6 라우터들은 이와 같은 단말 식별자를 처리할 수 없었고, 때문에 단말 식별자는 보통 단말에서 위치자로 변경될 수 밖에 없었다. 본 논문에서는 분산 해시 테이블(DHT)을 이용한 단말의 위치자와 식별자를 분리하는 기술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기술은 기존의 네트워크를 가상의 Host Identity 도메인과 실제의 IP 도메인으로 나누어 host Identity 도메인을 IP 도메인 위에서 오버레이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함으로써, 단말 식별자를 자신의 주소로 갖는 패킷을 직접 다룰 수 있고, 가상의 도메인을 통해 라우터블하지 않은 식별자를 라우터블하게 처리할 수 있다. 제안 기술의 평가는 기존의 연구와 시그널링과 패킷 전송에 소모되는 비용을 비교하였으며, 비교 결과는 현대의 모바일 위주의 환경에는 제안한 기술이 더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e-Logistics시스템의 메시지 상호운용성 (Message Interoperability in e-Logistics System)

  • 서성보;이용준;황재각;류근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1권5호
    • /
    • pp.436-450
    • /
    • 2005
  • 기존의 B2B, B2C 컴퓨터 시스템 및 애플리케이션은 클라이언트-서버 기반으로 비즈니스 거래가 이루어 졌으며, 개인 디바이스에서 메인프레임에 이르기까지 상이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구성되었다. 최근 온라인으로 비즈니스 거래가 활발해지면서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하드웨어의 통합과 호환성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 논문은 e-비즈니스의 한 분야인 통합물류 시스템에서 온라인 비즈니스 거래시 상호운용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메시지 전송시스템과 문서변환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메시지 전송시스템은 국가간 전자상거래 표준인 ebXML의 비즈니스 메시지 교환에 사용되는 ebMS 2.0과 이기종간에 안전한 메시지 전송이 가능한 J2EE의 JMS를 통합하였다. 그리고 문서변환 시스템은 XML 기반 표준-비표준 물류문서를 교환하도록 하였으며 메시지 송수신 시스템과 통합 후 웹 서비스를 제공한다. 우리는 시스템 테스트를 위해 비즈니스 시나리오와 테스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호운용성과 시스템 안정성을 보였다. 또한 시스템 적합성 인증을 위해 ebXML 아시아 위원회 ITG 그룹과 테스트를 수행하였으며 기존 시스템과 비교 평가하였다.

Propose a Static Web Standard Check Model

  • Hee-Yeon Won;Jae-Woong Kim;Young-Suk Ch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4호
    • /
    • pp.83-89
    • /
    • 2024
  •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서비스 종료 이후 ActiveX의 사용이 종료됨에 따라 Non-ActiveX 정책이 확산되었다. Non-ActiveX 정책을 바탕으로 정해진 웹 페이지 표준 규약으로 HTML5가 채택되어 사용되고 있다. W3C(World Wide Web Consortium)에서 개발된 HTML5는 다양한 기능을 플러그인 없이 브라우저만으로 쉽게 사용할 수 있고, 기존 HTML에 비해 다양한 요소와 속성이 추가되었으며 API를 통해 더 나아진 웹 응용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새로 추가된 기술들로부터 새로운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었고, 이러한 취약점으로 인하여 공격 범위가 넓어졌다. HTML5가 적용된 웹 사이트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취약점을 찾기 위한 연구가 부족하다. 본 논문은 최근 5년 이내에 플러그인이 제거된 공공기관 웹 페이지를 대상으로 웹 페이지의 보안 취약점을 탐지하고 분석하여 웹 취약점을 가지는 태그 및 속성을 탐지하는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된 모델을 웹 페이지에 적용한다면 플러그인 제거 후에도 현재까지 웹 페이지의 웹 표준 준수 여부 및 취약점을 분석할 수 있어 신뢰성 있는 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해킹 피해로 인한 금전적, 물리적 문제들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능형 개인비서(IPA)의 사용의도에 관한 통합모형 (An Integrated Model of the Intention to Use the Intelligent Personal Assistant (IPA))

  • 김찬우;서창교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9권4호
    • /
    • pp.135-156
    • /
    • 2017
  • 지능형 개인비서(Intelligent Personal Assistant, IPA)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함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의 실제 이해가 기대보다 낮고 아직은 사용량이 많지 않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지능형 개인비서의 사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기 위하여 기술수용모형(Technology Acceptance Model)과 혁신확산이론(Innovation Diffusion Theory)과 정보시스템 성공모형(Information System Success Model)을 기반으로, 지능형 개인비서의 기능특성을 포함하는 통합 연구모형을 제안하였다. 개발된 통합모형의 가설검증을 위해 지능형 개인비서를 실제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수집된 203부의 설문 데이터를 PLS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실증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혁신확산이론에서 도출된 IPA 혁신특성(상대적 이점, 적합성, 관찰 가능성)은 모두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정보시스템 성공모형을 통해 도출된 IPA 품질특성(시스템 품질, 정보 품질) 중 정보 품질은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에 모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IPA 기능특성(지각된 지능, 지각된 개인화) 중 지각된 지능 또한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용이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지능형 개인비서의 사용의도를 높이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과제는 연구결과로 정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