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ft white porcelain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초

중성자방사화분석을 활용한 경상남도 백자의 산지 및 특성 분류 (The Provenance and Characteristic Classification of the White Porcelain in the Gyeongsangnam-do by Neutron Activation Analysis)

  • 김나영;김규호
    • 보존과학회지
    • /
    • 제21권
    • /
    • pp.89-100
    • /
    • 2007
  • 경상도지역의 두동리, 백련리, 사촌리 가마터 출토 백자편 총 47점에 대하연 중성자방사화분석으로 태토의 미량성분 함량을 측정하고 주성분분석(PCA)과 판별분석(LDA)으로 통계처리하여 가마터별 산지 및 특성을 분류해보았다. 주성분분석과 판별분석에서 이용한 미량성분은 17개(Ba, Ce, Co, Cr, Cs, Dy, Eu, Hf, La, Lu, Rb, Sc, Sm, Ta, Th, V, Yb) 원소이며, 분류에 기여한 원소는 6개(Dy, Sm, La, Ce, Lu, Sc) 원소로 확인된다. 가시적 특징에 따라 구분되는 연질과 경질백자는 미량성분의 화학적 조성이 유사하여 원료의 조성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나, 양질(I)과 조질백자(II)는 화학적 조성에 차이가 나타남에 따라 원료의 채취 장소나 수비와 첨가제 사용의 제작 과정에 차이가 있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19세기 청화백자에 표현된 문양을 활용한 자동차 시트 직물 패턴디자인 개발 (The Development of Textile Pattern Designs for Car Seats Using Patterns Expressed on Nineteenth-century Blue and White Porcelain)

  • 정진순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72-385
    • /
    • 2022
  • In this study, the patterns expressed on nineteenth-century blue and white porcelain among Joseon white porcelain were selected as the material for the development of the car seat fabric design. It was intended to be applied to car seat design by incorporating Korea's own traditional patterns to fit modern sensibility. First, seven pieces of nineteenth-century blue and white porcelain were selected through the literature, and motifs were produced using adobe illustrator, a computer graphic program. Seven car seat fabric design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method and development method of the produced motif. Work 1 was designed to elicit a soft and feminine atmosphere using the peony pattern shown in Table 1-1. Work 2 aimed to express a luxurious atmosphere using the image of the mountain expressed in Table 1-2 as a design material. Works 3 was designed by freely arranging the letters of luck expressed in Table 1-3 to form a free and dynamic image. Work 4 was intended to express a stable and rhythmic atmosphere by horizontally arranging the images of the gently curved wings, tail, and rhythmical tail feathers of the phoenix expressed in Table 1-4. Work 5 was designed in a vertical arrangement using the patterns and silhouettes of the tiger's back expressed in Table 1-5. Work 6 was designed using the wave pattern expressed in Table 1-6 to replicate the rhythmic atmosphere. Work 7 was designed using the images of rocks, waves, and the sun in Table 1-7 to express a calm and antique atmosphere.

심미성 및 치주 조직의 유지 관리를 고려한 임플란트 보철 증례 (Novel design of implant prosthesis considering esthetics and periodontal maintenance: case report)

  • 백장현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70-76
    • /
    • 2014
  • After extraction of tooth, alveolar ridge resorption is inevitable in most cases. Clinicians confront with horizontal and vertical resorption of alveolar bone. Without massive amount of bone and soft tissue graft, dental implant will be placed apically to gain stability. In those cases, not only white esthetic part, but also pink esthetic part should be restored with pink porcelain. The margin of prosthesis should be located apically to reproduce natural look with adjacent teeth. However, when the margin is located apically, it is always hard to remove remaining cement, thus complications may arise. In this report, a novel design of implant prosthesis is introduced to solve those issues. The novel design is consisted of zirconia framework with pink porcelain and separate crowns on top of the framework. It eliminates the possibility of cement remnants by bringing the crown margin coronally. Pink esthetic part is incorporated in abutment part instead of crown part and the screw hole is covered with separate crowns.

나뭇잎을 모티브로 한 색유리 플래스터 방염기법 실험과 도자화병 융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lored Glass Plaster Resist Printing Technique Experiment and the Porcelain Vase Fusion with the Motif of Leaf)

  • 김승만;이정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663-674
    • /
    • 2019
  • 자연의 소재인 나뭇잎을 모티브로 하여 새롭게 개발한 색유리 플래스터 기법과 방염기법을 실험하고 도자화병과 융합하여 새롭고 독특한 데코레이션이 가미된 인테리어 화병을 만드는 것이 이번 연구의 배경이다. 이를 위한 연구 개발 방법은 첫 번째 색유리 플래스터 기법을 설명한다. 두 번째 방염기법을 설명하고 데코레이션 방법을 연구한다. 세 번째 화병의 역사와 종류를 알아보고 네 번째 16개의 화병을 현대적으로 디자인 하고 나뭇잎을 활용하여 백자토와 청자토로 산화와 환원으로 실험하여 결과를 설명한다. 이 실험결과를 통해 요변에 의한 특이한 색감 표출의 결과를 얻었고 나뭇잎 주변에 부드럽고 따뜻한 갈색 계열의 방염 그라데이션이 형성 되었다. 이러한 독특한 실험 효과를 이용하여 생활 인테리어 자기와 조형자기, 산업자기에 확장하고 응용하면 좋은 효과와 결과를 얻을 것을 기대한다.

An Archaeochemical Microstructural Study on Koryo Inlaid Celadon

  • Ham, Seung-Wook;Shim, Il-wun;Lee, Young-Eun;Kang, Ji-Yoon;Koh, Kyong-Shi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3권11호
    • /
    • pp.1531-1540
    • /
    • 2002
  • With the invention of the inlaying technique for celadon in the latter half of the 12th century, the Koryo potters reached a new height of artistic and scientific achievement in ceramics chemical technology. Inlaid celadon shards, collected in 1991 during the surface investigation of Kangjin kilns found on the southwestern shore of South Korea, were imbedded in epoxy resin and polished for cross-section examination. Backscattered electron images were taken with an electron microprobe equipped with an energy dispersive spectrometer. The spectrometer was also used to determine the composition of micro-areas. Porcelain stone, weathered rock of quartz, mica, and feldspar composition were found to be the raw material for the body and important components in the glaze and white inlay. The close similarity between glaze and black inlay in the microstructure suggests that the glaze material was modified by adding clay with high iron content, such as biotite, for use as black inlay. The deep soft translucent quality of celadon glaze is brought about by its microstructure of bubbles, remnant and devitrified minerals, and the schlieren effect.

한반도 중서부 출토 일부 고대 세라믹 유물의 제작기술 해석: 예비 연구 (Interpretation on Making Techniques of Some Ancient Ceramic Artifacts from Midwestern Korean Peninsula: Preliminary Study)

  • 이찬희;진홍주;최지수;나건주
    • 보존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73-291
    • /
    • 2016
  • 차령산맥 남북의 7개 유적에서 신석기시대 빗살무늬 토기부터 조선시대 백자까지 시대적으로 일부 시료를 선별하여 물리화학적 및 광물학적 정량분석을 통해 고대 세라믹의 제작기술과 특성을 해석하였다. 연구대상 선사시대 토기는 연질에 테쌓기한 흔적이 나타나며, 삼국시대 토기는 연질과 경질이 공존하나 자비와 저장용기는 모두 테쌓기한 반면 배식기는 물레성형하였다. 태토의 정선도가 높은 삼국시대 이후 토기와 달리 신석기 및 청동기시대 토기는 사질태토에 높은 광물 함량을 보이며, 태토보다 큰 비짐이 다량 확인된다. 청자와 백자 기질에서는 일차광물이 거의 나타나지 않으나 고온생성 광물의 함량이 높게 동정되었다. 분석시료들은 시기에 관계없이 유적에 따라 주성분 및 미량원소에 약간의 차이가 나타났다. 지구화학적 거동특성도 거의 동일하여 태토의 기본적 성질은 유사한 것을 지시한다. 작열감량은 0.01~12.59wt.% 범위를 보여 편차가 크나, 선사시대에서 삼국시대로 가며 급격히 감소한다. 이들은 소성에 따른 중량감소율과 관련이 있으며, 태토의 소성도와 고온생성 광물의 검출 함량에 따라 5그룹의 추정 소성온도로 분류된다.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 토기는 모두 $750{\sim}850^{\circ}C$ 그룹에 속하고, 삼국시대 토기는 $750{\sim}1,100^{\circ}C$의 소성온도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인되며, 청자와 백자는 $1,150{\sim}1,250^{\circ}C$의 고온에서 소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제작시기에 따른 태토의 정선도와 소성온도 차이는 제작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원료수급과 소성방식이 변화된 결과로 보인다. 그러나 같은 시기에도 제작방법에 차이를 보이기도 하여, 단순히 한 방향으로 진화된 발전보다는 사용 목적과 필요에 따라 활용한 것으로 해석된다.

보철 수복시 치간 유두에 대한 고려 사항

  • 이성복;이승규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0-45
    • /
    • 2001
  • In recent years, clinicians' and dentists' esthetic demands in dentistry have increased rapidly. The ultimate goal in modern restorative dentistry is to achieve "white" and "pink" esthetics in the esthetically important zones. Therefore, modern esthetic dentistry involves not only the restoration of lost teeth and their associated hard tissues, but increasingly the management and reconstruction of the encasing gingiva with adequate surgical techniques. Interdental space are filled by interdental papilla in the healthy gingiva, preventing plaque deposition and protecting periodontal tissue from infection. This also inhibits impaction of food remnants and whistling through the teeth during speech. These functional aspects are obviously important, but esthetic aspects are important as well. Complete and predictable restoration of lost interdental papillae remains one of the biggest challenges in periodontal reconstructive surgery. One of the most challenging and least predictable problems is the reconstruction of the lost interdental papilla. The interdental papilla, as a structure with minor blood supply, was left more or less untouched by clinicians. Most of the reconstructive techniques to rebuild lost interdental papillae focus on the maxillary anterior region, where esthetic defects appear interproximally as "black triangle". Causes for interdental tissue loss are, for example, commom periodontal diseases, tooth extraction, excessive surgical periodontal treatment, and localized progressive gingiva and periodontal diseases. If an interdental papilla is absent because of a diastema, orthodontic closure is the treatment of choice. "Creeping" papilla formation has been described by closing the interdental space and creating a contact area. In certain cases this formation can also be achieved with appropriate restorative techniques and alteration of the mesial contours of the adjacent teeth. The presence of an interdental papilla depends on the distance between the crest of bone and the interproximal contact point, allowing it to fill interdental spaces with soft tissue by altering the mesial contours of the adjacent teeth and positioning the contact point more apically. The interdental tissue can also be conditioned with the use of provisional crowns prior to the definitive restoration. If all other procedures are contraindicated or fail, prosthetic solutions have to be considered as the last possibility to rebuild lost interdental papillae. Interdental spaces can be filled using pink-colored resin or porcelain, and the use of a removable gingival mask might be the last opportunity to hide severe tissue defects.

  • PDF

토제 거푸집 무쇠솥 주조와 불미기술 연구 (A Study of Iron Pot Casting and Bellows Technology)

  • 윤용현;도정만;정영상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3권2호
    • /
    • pp.4-23
    • /
    • 2020
  • 이 연구는 우리나라 철 주조기술의 다양성과 기술 체계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었으며, 이를 위해 고문헌 조사 및 유물 분석, 제작 도구와 제작 기술에 대한 현지 조사 그리고 주조와 거푸집에 사용된 재료의 과학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불미기술은 송풍구인 풀무를 이용하여 주철을 녹인 뒤 그 쇳물을 토제 거푸집에 부어 주물을 완성하는 철 주조기술로 현재 유일하게 제주도에서만 전승되고 있는데, 모래 거푸집을 사용하는 육지와 비교해 토제 거푸집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이 큰 차이점이라 할 수 있다. 무쇠솥 주조기술에는 석비레, 모래, 점토 등을 섞어 만든 모래 거푸집을 이용한 주물사주조법(鑄物砂鑄造法)과 점토에 볏짚과 갈대 등을 섞어 만든 토제 거푸집을 이용한 도토주조법(陶土鑄造法)이 사용되고 있다. 주물사주조법에 의한 무쇠솥 주조는 거푸집 만들기, 속심 제작, 쇳물 작업, 거푸집에 쇳물 붓기, 완성품 다듬기 등 5단계의 작업공정을 거치며, 도토주조법에 의한 무쇠솥 주조는 거푸집 만들기, 거푸집 굽기, 질먹 입히기, 쇳물 작업, 쇳물 붓기, 완성품 다듬기 등 크게 6단계의 작업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두 주조법은 거푸집의 재료, 거푸집을 불에 굽고 질먹을 입히는 제작 공정에서 차이를 보인다. 이번에 연구한 불미기술은 토제 거푸집 무쇠솥 주조로 진흙 채취 및 반죽, 거푸집 제작, 초벌 굽기, 화적모살 및 질먹 바르기, 건조 및 비얄질, 거푸집 합장, 둑(용광로)제작, 재벌 굽기, 제련, 쇳물 붓기, 주물 다듬기 등 단계별 주조 공정에 사용된 재료 및 도구 분석과 제작 기술에 담겨진 과학 기술 원리를 규명하여 우리 고유 철 주조기술의 기술 체계를 밝혀 보았다. 그리고 무쇠솥 도토주조를 위해 이용한 재료와 완성품을 과학 분석한 결과, 거푸집은 주성분이 SiO2, Al2O3, Fe2O3으로 이루어진 진흙과 모래이고, 이형재는 SiO2, Al2O3, Fe2O3, K2O가 함유된 흑연이며, 완성된 무쇠솥의 미세 조직은 시멘타이트(Fe3C)와 펄라이트(페라이트와 시멘타이트의 층상 구조)로 이루어진 백주철 조직임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