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olored Glass Plaster Resist Printing Technique Experiment and the Porcelain Vase Fusion with the Motif of Leaf

나뭇잎을 모티브로 한 색유리 플래스터 방염기법 실험과 도자화병 융합에 관한 연구

  • 김승만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나노IT디자인 융합 대학원) ;
  • 이정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나노IT디자인 융합 대학원)
  • Received : 2019.02.21
  • Accepted : 2019.03.20
  • Published : 2019.04.28

Abstract

The background of the study is to experiment with the color glass plaster technique and the resist printing technique which are newly developed with the motif of natural leaves, and to make an interior vase added with new and unique decoration by fusing with ceramic vases. First research and development method is to describe the color glass plaster technique. Second is to explain the resist printing technique and study the decoration method. Third is to examine the history and kinds of vase. And lastly, it is to design 16 vases contemporarily, and use the leaves to experiment with oxidation and reduction of white porcelain and celadon. This experiment acquired the unique color expression by yaobian, and the soft, warm brown resist printing gradation was formed around the leaves. It will get good effects and results by expanding and applying the unique experiment effects to living interior porcelain, molding porcelain, and industrial porcelain.

자연의 소재인 나뭇잎을 모티브로 하여 새롭게 개발한 색유리 플래스터 기법과 방염기법을 실험하고 도자화병과 융합하여 새롭고 독특한 데코레이션이 가미된 인테리어 화병을 만드는 것이 이번 연구의 배경이다. 이를 위한 연구 개발 방법은 첫 번째 색유리 플래스터 기법을 설명한다. 두 번째 방염기법을 설명하고 데코레이션 방법을 연구한다. 세 번째 화병의 역사와 종류를 알아보고 네 번째 16개의 화병을 현대적으로 디자인 하고 나뭇잎을 활용하여 백자토와 청자토로 산화와 환원으로 실험하여 결과를 설명한다. 이 실험결과를 통해 요변에 의한 특이한 색감 표출의 결과를 얻었고 나뭇잎 주변에 부드럽고 따뜻한 갈색 계열의 방염 그라데이션이 형성 되었다. 이러한 독특한 실험 효과를 이용하여 생활 인테리어 자기와 조형자기, 산업자기에 확장하고 응용하면 좋은 효과와 결과를 얻을 것을 기대한다.

Keywords

CCTHCV_2019_v19n4_663_f0001.png 이미지

그림 1. 분쇄

CCTHCV_2019_v19n4_663_f0002.png 이미지

그림 4. 회벽을 바르다

CCTHCV_2019_v19n4_663_f0003.png 이미지

그림 6. 방염기법1

CCTHCV_2019_v19n4_663_f0005.png 이미지

그림 10.산화 환원 소성 그래프

CCTHCV_2019_v19n4_663_f0006.png 이미지

그림 11. 북유럽 화병

CCTHCV_2019_v19n4_663_f0007.png 이미지

그림 12. 한국 전통 화병

CCTHCV_2019_v19n4_663_f0008.png 이미지

그림 2. 귀얄

CCTHCV_2019_v19n4_663_f0009.png 이미지

그림 3. 상감

CCTHCV_2019_v19n4_663_f0010.png 이미지

그림 5. 거친 붓 칠

CCTHCV_2019_v19n4_663_f0011.png 이미지

그림 7. 방염기법2

CCTHCV_2019_v19n4_663_f0012.png 이미지

그림 9. 복엽

CCTHCV_2019_v19n4_663_f0013.png 이미지

그림 8. 단엽

표 1. 방염기법 제품과 작품 분석

CCTHCV_2019_v19n4_663_t0001.png 이미지

표 2. 나뭇잎 모티브 활용1

CCTHCV_2019_v19n4_663_t0002.png 이미지

표 3. 나뭇잎 모티브 활용2

CCTHCV_2019_v19n4_663_t0003.png 이미지

표 4. 도자기 화병 디자인 연구

CCTHCV_2019_v19n4_663_t0004.png 이미지

표 5. 실험방법

CCTHCV_2019_v19n4_663_t0005.png 이미지

표 6.백토 산화소성그림

CCTHCV_2019_v19n4_663_t0006.png 이미지

표 7.백토 환원소성

CCTHCV_2019_v19n4_663_t0007.png 이미지

표 8. 청자토 산화소성

CCTHCV_2019_v19n4_663_t0008.png 이미지

표 9. 청자토 환원소성

CCTHCV_2019_v19n4_663_t0009.png 이미지

References

  1. 경국현, 건축일반시공 산업기사 필기, 세진사, 2016.
  2. https://www.scienceall.com/%ED%94%8C%EB%9D%BC%EC%8A%A4%ED%84%B0plaster/?term_slug=science_pedia&sa_term=scidictionary, 2019.02.11.
  3. 김승만, "색유리 플래스터 기법을 이용한 상감 귀얄 기법 융합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2호, pp.290-300,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2.290
  4. 전동운, EHEC添加에 따른 석고플라스터의 物性變化,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2.
  5. 문쌍후, 천연염색 배우기, 미진사, 2013.
  6. 한주연, 방염기법(防染技法)에 관한 연구 : 교힐(絞纈)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7. 박정용, 테이핑 기법과 천연염색, 생각나눔, 2015.
  8. https://www.kocef.org/05data/05.asp?mode=view&idx_num=182, 2019.01.20.
  9. 박혁호, 나뭇잎의 형상을 활용한 금속작품 연구, 대구카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10. 허버트리드, 예술의 의미, 문예출판사, 2007.
  11. 바실리칸딘스키, 점.선.면, 열화당, 1983.
  12. 조인재, 나뭇잎의 이미지를 응용한 도자 화병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13. 황성옥, 도자제 화병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5.
  14. 이나리, 기하학적 형태를 응용한 도자화병디자인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15. 김태연, 중국, 일본, 유럽도자를 통한 한국도자의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16. 박인자, 꽃꽂이 花形을 응용한 도자 造形花器開發에 관한 硏究,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17. 김석빈, 야생화 이미지를 응용한 도자 장식 연구 : 분장기법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