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ft tissue

검색결과 3,065건 처리시간 0.03초

영상유도 방사선치료에서의 KV 콘빔CT 이용 (Implementation of KV Cone Beam CT for Image Guided Radiation Therapy)

  • 유영승;이화중;김대영;유리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3-49
    • /
    • 2007
  • 목 적: 본 연구는 콘빔CT를 이용한 영상유도 방사선치료시 치료시간과 치료부위별 셋업 오차를 조사하여 임상 이용 효과를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두부, 체부, 골반부 환자 각각 3명을 선택하여, 선형가속기(CLINAC iX, Varian, USA)에 장착된 콘빔CT를 이용하여 15번씩 총 135번의 영상을 획득하였다. 그리고 각 부위에서의 셋업오차 값을 vertical, longitudinal, lateral 세 방향으로 나타내고 치료부위별로 평균 오차범위를 조사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영상획득과 오차값 산출에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매치료 시 콘빔CT 실행으로 인해 추가되는 시간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결 과: 두부 환자들의 경우 셋업오차는 vertical, longitudinal, lateral 방향으로 각각 0.07, 0.12, 0.1 cm의 평균 오차를 보였으며, 체부는 0.3, 0.26, 0.22 cm, 골반부 환자들은 0.21 0.18, 0.15 cm으로 측정 되었다. 이미지 획득과 오차 값 산출에 소요되는 시간은 평균 약 $6{\sim}7$분 정도로 나타났다. 결 론: 콘빔CT를 이용하여 환자의 셋업오차를 치료 직전에 보정하여 치료할 수 있었으며 치료 자세에 대한 오차 값을 산출 할 수 있었다. 골반부나 체부의 경우에는 두부에 비해 오차 값이 크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환자의 움직임이나 각종 고정용구의 사용 등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콘빔CT 실행 시에는 $6{\sim}7$분 정도의 치료 외에 시간이 추가 되는데 이에 따라 치료전 환자의 상태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무지 중수 수지 관절 척측 측부 인대 급성 완전 파열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한 관절경의 유용성 (Efficacy of Arthroscopic Diagnosis and Treatment for Acute Complete Metacarpophalangeal Ulnar Collateral Ligament Tears of the Thumb)

  • 전철홍;김동철;진병수;김채근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49-54
    • /
    • 2005
  • 목적: 무지 중수 수지 관절 척측 측부 인대 손상은 완전 파열 시 파열된 인대의 연속성을 방해하는 Stener 병변 때문에 수술적 치료인 탐색술 및 봉합술을 시행하고 있다. 저자들은 무지 중수 수지 관절 척측 측부 인대 손상에서 관절경을 이용, 진단과 치료를 시행하고 관절경적 수기에 대한 효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무지 중수 수지 관절 척측 측부 인대 완전 파열로 관절경적 진단 및 치료를 받고 1년 이상 추시 가능하였던 13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35.6세었다. 관절경으로 척측 측부 인대 손상, Stener 병변 등을 진단하였으며 관절경을 이용하여 치료하고 그 결과를 관절 불안정성 여부, 무지 의 집게력 파악력, 관절 운동 범위 등으로 판정하였다. 결과: 13예중 5예에서 Stener 병변이 관찰되었다. 전예에서 추시상 무지 중수 수지 관절의 불안정성이 없었고 무지의 집게력 및 파악력 은 건측의 92%, 94%로 회복되었으며 중수 수지 관절 운동 범위는 평균 52 도로 건측과 비슷하였다. 결론: 무지 중수 수지 관절 척측 측부 인대 손상에서 관절경 수기는 Stener 병변의 확진 및 치료를 가능하게 하고 연부조직 손상을 최소화시켜 조기 기능 회복을 기대할 수 있게 하는 유용한 치료 방법으로 사료되었다.

  • PDF

슬개하 지방체에 발생한 관절 주위 연골종 - 증례 보고 - (Para-articular chondroma in the infrapatellar fat pad - A case report -)

  • 남일현;안길영;문기혁;이영현;최성필;김정현;백애란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05-108
    • /
    • 2011
  • 주변골과 연결성을 가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격계 외의 연골종에는 활액막성 연골종증, 관절 내 및 관절 주위 연골종, 연부 조직성 연골종 등이 있으며, 후자의 두 경우는 매우 드물다. 본 증례는 20세 군인이 심한 훈련을 한 후 발생한 슬관절의 압통, 굴곡시의 통증과 충만감, 운동 제한을 주소로 내원하여 시행한 x-ray와 MRI 검사에서 발견한 종괴에 대한 것으로, 이 종괴에 대해 절제술이 시행되었으며, $5.5{\times}4{\times}3$ cm 크기의 단단한 고립성 종괴였다. 현미경 소견 상 종괴는 소엽상을 이루는 초자 연골이 바깥쪽의 섬유성 피막에 의해 싸여져 있었으며, 이에 관절 주위 연골종으로 진단하였다. 저자들은 슬관절 슬개하 지방체에서 발생한 관절 주위 연골종 1 예를 경험하여 임상적, 방사선학적, 조직학적 소견에 대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 PDF

릴레이 경주 중에 발생한 대퇴직근 기시부의 완전 파열 - 증례보고 - (Complete Rupture of the Origins of Rectus Femoris Occurred During Relay Race - A Case Report -)

  • 전승주;전호승;문찬삼;노행기;하승주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51-155
    • /
    • 2008
  • 대퇴직근은 슬관절을 신전하고 고관절을 굴곡하는 근육이며, 빠르고 강한 수축을 하는 제 2형 근섬유로 이루어져 있으며 두개의 관절을 거치므로, 운동 경기 중에 근위부 대퇴직근의 손상이 흔히 발생할 수 있다. 소아에서 발생하는 전하장골극에서의 대퇴직근 견열 골절이 가끔 보고가 되고 있고, 성인에서의 대퇴직근 근위부의 근-건 결합부 완전 파열은 반복적인 운동에 의해 드물게 발생하며, 외상과 관련이 없는 경우 대퇴부에서의 연부조직 종양으로 오인될 수 있다. 그러나, 릴레이 경주 중에 대퇴직근 근위부의 기시부가 급성으로 완전 파열된 예는 아직까지 보고된 바가 없다. 이에 저자들은 릴레이 경주 중에 발생한 중년 남성의 대퇴직근 기시부의 급성 완전 파열에 대하여 자기공명영상을 통하여 확인한 후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이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 PDF

요추간반 탈출증에 있어 MED(Microendoscopic Discectomy) System을 이용한 수술의 효율성과 수기 (Tactics and Pitfalls of MED(Micro Endoscopic Discectomy) System for Lumbar Disc - For Surgeons Who Wish to Attempt -)

  • 홍현종;오성훈;백광흠;김재민;김충현;김영수;고용;오석전;김광명;이상구;김남규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29권1호
    • /
    • pp.35-43
    • /
    • 2000
  • Objective : Percutaneous lumbar approaches such as arthroscopic discectomy, laser discectomy, and nucleotome remain controversial and have technical limitations to free fragment disc, bony pathology and access to L5-S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efficacy of this new endoscopic system and to report techniques and tactics. Methods : From July 1997 to May 1998, we treated 40 consecutive patients(43 levels) with the MED system. Mean age was 32 years(range ; 18 to 62). There were 30 males and 10 females. All patients had sciatica with SLRT limitation. There were 23 patients with disc herniation at L4-5 and 14 patients at L5-S1. Three patients had 2 level disc herniations. There was one far lateral disc herniation at L4-5. Results : Using modified MacNab criteria, there were 37 excellent results and 3 good result. Most patients were discharged within 3-4 days except 2 patients with dural tearing. There were no other complications. Mean operation time was 1.5 hours(range : 40 minutes to 2.5 hours). Conclusion : The MED system is a reliable approach to lumbar disc herniations. This system combines the advantages of conventional open surgery and a minimally invasive technique. As tactics for the doctors who wish to attempt, "palpate" the lamina by first dilator, identification of interlaminar space by removal of overlying soft tissue and confirmation of the shoulder portion of nerve root before discectomy are important to this procedure. We conclude that lumbar disc herniations can be successfully treated with MED approach.

  • PDF

세 마리 개에서 발생한 심저부 종양 증례 (Heart-base Tumors in Three Yorkshire Terriers)

  • 권정국;정우조;장주원;김영일;정대원;정석영;정진영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03-306
    • /
    • 2014
  • 본 증례는 호흡곤란, 기침과 식욕결핍으로 내원한 세 마리의 요크셔테리어 개 (12년령, 13년령, 15년령)를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실적 검사 상 특이소견은 없었다. 그러나 흉부 방사선 검사상 세 마리에서 모두 심저부위의 종괴를 확인할 수 있었고, 기관지의 상승과 대동맥 융기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복부 방사선 검사 시 특이 소견은 관찰할 수 없었다. 초음파 검사상 균질한 고 에코의 종괴가 대동맥 주위에서 확인되었고 이첨판 역류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복부초음파 검사 상 특이소견은 관찰할 수 없었다. 컴퓨터 단층 촬영 결과 경계가 명확한 종괴를 좌측 앞대정맥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종괴의 크기는 대략 $3{\times}4cm$였고 조영 증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검사를 바탕으로 심저부 종양으로 진단하였다. 치료를 위해 심부전과 기관 허탈에 대한 대증 처치를 실시하였다. 진단 후 증례 1 (12년령)은 3 개월, 증례 2 (13년령)는 5개월, 증례 3 (15년령)은 32개월동안 생존하였다. 본 증례는 심저부 종양으로 의심되는 개에서의 임상증상, 흉부 방사선 검사, 컴퓨터 단층 촬영과 대증 처치에 대한 보고이다.

전복(全鰒) 및 해삼(海蓼)의 건조방법(乾燥方法)에 따른 성분(咸分)의 비교(比較) (Some Chemical Composition of Abalone and Sea Cucumber as affected by Drying Methods)

  • 강훈이;강태중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4권2호
    • /
    • pp.126-131
    • /
    • 1981
  • 전복(全鰒)과 해삼(海蔘)을 재래식(在來式) 방법(方法)인 자건품(煮乾品)과 진공(眞空) 동결(凍結) 건조품(乾燥品)과의 일반(一般) 성분(成分) amine류(類), 육조직(肉組織) 등(等)을 비교(比較)하여 실험검토(實驗檢討) 하였다. 2종(種)의 시료(試料) 중(中) 일반(一般) 성분(成分)은 큰 차이(差異)가 없었다. 해삼(海蔘) 중(中)에 회분(灰分)은 자건조(煮乾燥)의 경우 28.24%, 동결(凍結)은 33.99%이었다. 회분의 조성은 Na>K>Mg>Ca 순(順)이었다. 전복(全鰒) 및 해삼(海蔘)의 생체(生體) 및 동결(凍結) 건조품중(乾燥品中) TMAO 함량에는 큰 차이(差異)가 없었고 자건품(煮乾品)은 각각(各各) 생체(生體)에 비(比)하여 43% 및 54% 감소하였다. 이들 건조제품의 TMA는 에 하여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이중 자건품(煮乾品)의 경우는 동결(凍結) 건조품(乾燥品)에 비(比)하여 증가폭(增加幅)이 컸다. 또한 건조제품의 DMA는 생체(生體)에 비(比)하여 그함량이대단히 높았으며 자건(煮乾)전복의 경우 14배(倍), 자건해삼(煮乾海蔘)의 경우 18.5(倍), 동결건조품(凍結乾燥品)은 4.7 및 6.3배(倍)이었다. 전복과 해삼의 생체(生體) 조직이 건조후에 일어나는 변화를 관찰하였다.

  • PDF

심하게 위축된 하악골의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의 수직 골신장술을 이용한 임플란트 치료 (IMPLANT INSTALLATION USING VERTICAL DISTRACTION OSTEOGENESIS AT A SEVERELY ATROPHIED EDENTULOUS MANDIBLE)

  • 염학렬;전승호;김윤태;팽준영;안강민;명훈;황순정;서병무;최진영;이종호;정필훈;김명진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8권2호
    • /
    • pp.154-165
    • /
    • 2006
  • Objectives : It is difficult to place implants at a severely atrophied edentulous mandible because of vertical and horizontal alveolar defect. The autogenous and allogenic bone graft and guided bone regeneration are useful, but there are some limitations such as the resorption and infection of the grafted bone, and insufficiency of soft tissue. Distraction osteogenesis has recently evolved a challenging technique to overcome major draws of conventional augmentation procedures, we, therefore, report the four applications of implant placement after vertical alveolar distraction osteogenesis. Patients and Methods : Four patients(all female, mean age: $60{\pm}6$ years) with severe alveolar ridge deficiencies at their anterior mandible were treated with vertical alveolar distraction osteogenesis by intraoral device(Track 1.5, 15 mm model, KLS Martin, Tuttlingen, Germany) and placement of implants (Branemark MK III, TiUnite). After the latency periods of 5, 7, 8 days, distraction rhythm and rate were $0.5\;mm{\times}2\;times/day$ in the case of good bone quality, and $0.25\;mm{\times}3\;times/day$ in the case of poor bone quality. After consolidation periods of mean fifteen weeks, five implants for each patients were placed at the interforaminal area. Results : On average, a vertical gain of $11.38{\pm}1.38\;mm$ was obtained by distraction. And all distraction zone showed complete ossification by panoramic radiography. There were no postoperative complications other than numbness of lower lip in one case. Total twenty implants in four patients were placed and their outcomes were satisfactory. Conclusion : It is a useful method to place five implants after vertical distraction osteogenesis of the severely atrophied mandible for the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sis.

흰쥐 두개골 결손부에서 베타-트리칼슘 인산염과 탈단백우골의 골형성 효과 (The Effect of $\beta$-Tricalcium Phosphate and Deproteinized Bovine Bone on Bone Formation in the Defects of Rat Calvaria)

  • 정승곤;박홍주;유선열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2권4호
    • /
    • pp.313-323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beta-tricalcium phosphate (Cerasorb$^{(R)}$, Germany) and deproteinized bovine bone (Bio-Oss$^{(R)}$, Switzerland) grafted to the defect of rat calvaria artificially created and the effect of use of absorbable membrane (BioMesh$^{(R)}$, Korea) on new bone formation. Materials and Methods: Transosseous circular calvarial defects with diameters of 5 mm were prepared in the both parietal bone of 30 rats. In the control group I, no specific treatment was done on the defects. In the control group II, the defects were covered with absorbable membrane. In the experimental group I, deproteinized bovine bone was grafted without absorbable membrane; in the experimental group II, deproteinized bovine bone was grafted with absorbable membrane; in the experimental group III, beta-tricalcium phosphate was grafted without absorbable membrane; in the experimental group IV, beta-tricalcium phosphate was grafted with absorbable membrane. The animals were sacrificed after 3 weeks and 6 weeks respectively, and histologic and histomorphometric evaluations were performed. Results: Compare to the control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s showed more newly formed bon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s, beta-tricalcium phosphate showed more resorption than deproteinized bovine bone. Stabilization of grafted material and interception of the soft tissue invasion was observed in the specimen treated with membrane.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I, III and experimental group II, IV classified by graft material, bu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the amount of newly formed bone was obser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I, II and II, IV classified by the use of membrane (P<0.05). Conclusion: Both beta-tricalcium phosphate and deproteinized bovine bone showed similar osteoconductibility, but beta-tricalcium phosphate is thought to be closer to ideal synthetic graft material because it showed higher resorption rate in vivo. Increased new bone formation can be expected in bone graft with use of membrane.

Functional outcome predictors following mandibular reconstruction with osteocutaneous fibula free flaps: correlating early postoperative videofluoroscopic swallow studies with long-term clinical results

  • Gonzalez, Santiago R.;Hobbs, Bradley;Vural, Emre;Moreno, Mauricio A.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41권
    • /
    • pp.30.1-30.8
    • /
    • 2019
  • Background: Advancements in the field of microvascular surgery and the widespread adoption of microvascular surgical techniques have made the use of osteocutaneous fibula free flaps the standard of care in the surgical management of segmental mandibular defects. Although the literature possesses abundant evidence to support the effectiveness of fibula free flaps as a reconstructive method, there are relatively few studies reporting on outcomes as objectively measured by videofluoroscopic swallowing studies (VF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tential correlation between early postoperative VFSS and the long-term swallowing outcomes in patients who underwent mandibular reconstruction with fibula free flaps.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chart review of 36 patients who underwent mandibular reconstruction with osteocutaneous fibular free flaps between 2009 and 2012. Demographics, clinical variables, VFSS data, and diet information were retrieved. Penetration and aspiration findings on VFSS, long-term oral feeding ability, and the need for gastrostomy tube were statistical endpoints correlated with postoperative clinical outcomes. Results: Thirty-six patients were reviewed (15 females and 21 males) with a mean age of 54 years (7-81). Seventeen cases were treated for malignancy. The size of the bony defect ranged from 3 to 15 cm (mean = 9 cm). The cutaneous paddle, a surrogate for soft tissue defect, ranged from 10 to 125 ㎠ (mean = 52 ㎠). A gastrostomy tube was present in patients preoperatively (n = 8), and postoperatively (n = 14). Seventeen patients had neoadjuvant exposure to radiation. Postoperative VFSS showed penetration in 13 cases (36%) and aspiration in seven (19%). Overall, 29 patients (80.6%) achieved unrestricted diet, and this was statistically correlated with age (p = 0.037), radiation therapy (p = 0.002), and preoperative gastrostomy tube (p = 0.03). The presence of penetration or aspiration on VFSS was a strong predictor for long-term unrestricted oral diet (p < 0.001). Conclusion: Early postoperative VFSS is an excellent predictor for long-term swallowing outcomes in patients undergoing mandibular reconstruction with osteocutaneous fibula free fla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