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dium-water reaction

검색결과 225건 처리시간 0.032초

소듐냉각 고속로용 증기발생기 기술분석 및 개념개발 (Concept Development and Review of Current Technical Issues for SFR Steam Generator)

  • 남호윤;김종범;이재한;박창규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5권9호
    • /
    • pp.1083-1090
    • /
    • 2011
  • 소듐냉각 고속로를 개발함에 있어 최대 현안 중 하나가 증기발생기에서의 소듐-물 반응사고 가능성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지금까지 수십 종 이상 연구개발 되었지만 국가마다 그 사양이 다르고, 동일한 기종이 후속기에 다시 활용되지 못할 정도로 기술이 안정화 상태에 도달하지 못하였다. 최근 개발되고 있는 증기발생기의 공통적 목표는 소듐-물 반응사고의 조기감지 및 제어, 증기발생기의 검사 및 보수가 쉽게 용접개수를 줄이고 경제성을 높인 Benson 증기사이클을 적용하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지금까지 설계 또는 활용한 증기발생기들의 사양과 문제점을 비교, 분석하였고, 이를 토대로 현안 극복방안을 제시하였다.

물 소화약제에서 스타이렌 위험물을 포함한 합성수지에 의한 금속 이온들의 흡착 (Adsorption of Metal Ions on Synthetic Resin with Styrene Hazardous Materials in Water Fire Extinguishing Agent)

  • 이치영;김준태
    • 공업화학
    • /
    • 제21권2호
    • /
    • pp.142-147
    • /
    • 2010
  • 1%, 2%, 10% 및 18%의 가교도를 가진 스타이렌(제4류 위험물 중 제2석유류) 디비닐벤젠 공중합체에 1-aza-18-crown-6 거대 고리 리간드를 치환반응으로 결합시켜 수지들을 합성하였으며, 이들 수지의 합성은 염소 함량과 원소 분석, 비표면적(BET), 그리고 IR-분광법으로 확인하였다. 물 소화약제로부터 합성수지 흡착제에 대한 금속 이온의 흡착에 미치는 pH, 시간 그리고 수지의 가교도에 따른 영향들을 조사한 결과 금속 이온들은 pH 3 이상에서 큰 흡착율을 보였으며, 금속 이온들의 흡착 평형은 2 h 정도였고, 수용액에서 수지에 대한 흡착 선택성은 나트륨($Na^{1+}$) > 아연($Zn^{2+}$) > 크롬($Cr^{3+}$) 이온의 순서이며, 금속 이온의 흡착력은 1%, 2%, 10% 및 18%의 가교도 순이었다.

기체크로마토그래프/질량분석기에 의한 물시료 중 Organotin의 추출 및 유도체 반응에 관한 연구 (The Extraction and Derivatization of Organotins in Water Sample by Gas Chromatograph/Mass Spectrometer)

  • 홍지은;이강진;표희수;박송자;이원
    • 분석과학
    • /
    • 제13권5호
    • /
    • pp.636-645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GC/MS를 이용하여 수질시료로부터 7종의 유기주석화합물을 분석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Hydrogenation과 ethylation의 반응시의 pH, 반응시간, 반응시약의 농도 등을 변화시켜 최적 반응조건을 조사하였다. n-Hexane을 용매로 사용한 액체-액체 추출 후 hydrogenation에 의한 유기주석염화물의 추출 회수율은 61-112% 범위로 나타났다. 물시료에서 ethylation한 후 n-hexane으로 추출한 경우의 추출 회수율이 74-113% 범위로 나타나 hydrogenation의 경우보다 높은 추출율을 보였다. 또한 ethylation후 styrene-divinylbenzene (SDB) 재질의 disk형의 고체상을 사용하고 추출 용매로 methylene chloride를 사용한 경우 61-97% 범위의 회수율을 나타냈다. Hydrogenation과 ethylation에 의한 검출한계는 각각 0.05-0.5 ng/ml와 0.02-0.05 ng/ml로 나타났다.

  • PDF

치주수술 후 지각과민증에 대한 MS Coat와 엘멕스 겔처치의 임상적 효과 (Clinical Effect of MS Coat and Elmex gel on the Dentin Hypersensitivity following Periodontal Surgery)

  • 박성민;임성빈;정진형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1권4호
    • /
    • pp.727-736
    • /
    • 2001
  • Dentinal hypersensitivity is one of the complicated symptom rather than a disease. It has special reaction or pain over uncovered root by heat, mechanical or chemical stimulations, which are normal with healthy tee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rather MS Coat (oxalate-containing pre-polymerized resin suspension) or Elmex gel(amine fluoride+sodium fluoride) is effective on hypersensitivity after periodontal treatment using NRS(Numerica1 Rating Scales), which it is useful for evaluating pain level. This study has been prepared in Dankook Dental Hospital with generally healthy adult who had been suffered from dentinal hypersensitivity after periodontal treatment. Divided in three groups with saline(control group), MS Coat(test 1 group) and Elmex gel(test 2 group). And then, following evaluations were made at the end of 1 minute, 1 week, 1 month and 3 months. 1. The sequence of higher frequency & severeness of hypersensitivity is water within $7^{\circ}C$, air stream & explorer. 2. As time goes on, 1 minute, 1 week, 1 month & 3 months, severeness of hypersensitivity scored lower with water, air stream and explorer. 3. With explorer, the differences among three groups as time had to seen. 4. With air stream, the sensitivity scored lower after 1min with MS Coat, Elmex, and saline sequence. As time goes on the sensitivity was lower with MS Coat and Elmex than saline,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MS Coat and Elmex. 5. With water in $7^{\circ}C$, the sensitivity was much decreasing with MS Coat and Elmex than saline,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MS Coat and Elmex. As the result, MS Coat and Elmex are effective on hypersensitivity caused by periodontal treatment.

  • PDF

저압(低壓) 폭쇄처리(爆碎處理)에 의한 목재주성분(木材主成分)의 분리(分離)·정제(精製) 및 이용(利用)(I) -저압폭쇄처리(低壓爆碎處理) 및 목재주성분(木材主成分)의 분리(分離)- (The Separation, Purification and Utilization of Wood Main Components by Steam Explosion in Low Pressure (I) -Low Pressure Steaming Explosion and Separation of Wood Main Components-)

  • 엄찬호;엄태진;이종윤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1권3호
    • /
    • pp.30-36
    • /
    • 1993
  • Wood chips of oak (Quercus mongolica) and larch (Larix leptolepis) were treated with a relatively low pressure steam(10~20 kg/$cm^2$) for 10~20 min (first-stage),and then increased pressure up to 30kg/$cm^2$ for 30 second (second-stage), and steam pressure was released intentionally to air. Main components of exploded wood were separated with 1% NaOH and hot water-methanol. In this work, the more effective low pressure explosion condition and separation method of wood main component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yields of exploded wood were generally decreased with increasing steam pressure and reaction time. 2. The proper condition of steam explosion in low pressure for the separation of wood main components was 15kg/$cm^2$-10 min, in oak wood and 20kg/$cm^2$-10 min., then 30kg/$cm^2$-0.5 min, in larch wood. 3. The 23% of elude hemicellulose was obtained from the exploded oak wood which was treated with optimal condition. 4. In the case of hot water-methanol extraction, the ratio of delignification was 14~23% in the exploded larch wood and 42~55% in the exploded oak wood. 5. The methanol was more effective than 1% sodium hydroxide solution for extraction of lignin from exploded wood.

  • PDF

표면개질을 이용하여 붕소 제거율이 향상된 역삼투막의 제조 (Fabrication of Reverse Osmosis Membrane with Enhanced Boron Rejection Using Surface Modification)

  • 이덕로;김종학;권세이;이혜진;김인철
    • 멤브레인
    • /
    • 제28권2호
    • /
    • pp.96-104
    • /
    • 2018
  • 해수담수화의 빠른 증가와 함께 붕소 제거에 대한 중요성이 상승하고 있다. 본 연구는 표면개질 시 친수성 화합물을 이용하여 수투과량을 최대한 막고 붕소 제거율을 높이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로, Control polyamide 역삼투막을 얻기 위해 M-phenylenediamine (MPD)와 trimesoyl chloride (TMC)를 Polysulfone 한외여과막에 계면중합을 시켜 polyamide 활성층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Control polyamide 역삼투막에 표면개질을 진행시켜 D-gluconic acid (DGCA)와 D-gluconic acid sodium salt (DGCA-Na)를 glutaraldehyde (GA)와 hydrochloric acid (HCl)을 이용하여 합성시켰다. 합성된 역삼투막의 표면 분석을 위해 XPS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DGCA 및 DGCA-Na 화합물과의 반응이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morphology 측정을 위해 FE-SEM과 AFM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polyamide 활성층 형성 및 표면 거칠기를 확인할 수 있었다. 수투과량의 경우, 표면개질을 진행한 역삼투막은 10 GFD 수준이거나 그 이하의 값을 가졌다. 하지만, DGCA 및 DGCA-Na 화합물과 표면개질을 진행한 역삼투막의 붕소 제거율은 94.38, 94.64%로, Control polyamide 역삼투막보다 각각 12.03, 12.29 %p만큼 큰 값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용성염이 석조문화재 표면 박리현상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Soluble Salt on the Exfoliation of the Stone Monument)

  • 도진영;임권웅
    • 보존과학회지
    • /
    • 제22권
    • /
    • pp.121-134
    • /
    • 2008
  • 석조문화재에서 나타나는 박리현상의 발생메커니즘과 염수용액에 의한 화학적 풍화와 관련된 그 원인을 연구하였다. 박리편에 대하여 화학적, 광물학적, 물리적 분석을 수행하여 함유하고 있는 대표적인 염이 석고임을 밝혔다. 염의 작용을 이해하기 위하여 석고와 더불어 용해도가 상이한 황산나트륨을 공극율이 다른 응회암과 화강암에 처리하였다. $Na_2SO_4$ 처리와 인공풍화를 거친 암석시료들의 모세관물흡수율은 약간 증가하였는데 이는 이 염에 의해 암석의 표면가까이에만 변화가 있었음을 의미한다. Na2SO4는 암석의 표면공극내에서 결정화가 일어나 수화압과 결정압을 발생하여 얇은 박리를 형성하는 것으로 보인다. $CaSO_4{\cdot}2H_2O$는 상대적으로 암석의 내부로 깊이까지 들어가서 집적되므로 집적되는 양이 $Na_2SO_4$ 보다 더 많고, 표면에 집적되는 양보다 내부에 집적되는 양이 많아 물흡수량이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는 것이며, 이러한 성질로 인하여 암석에 두꺼운 박리가 야기될 것으로 판단된다. 암석종에 따른 변화에서는 응회암의 경우, 큰 공극율과 높은 모세관물흡수율로 인하여 암석 내부의 깊이까지 들어가서 염이 집적하게 되므로 화강암에 비해 염집적율이 더 크고, 이에 따른 물흡수율이 커서 화강암에 비해 두꺼운 박리현상이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비해 공극율과 모세관물흡수율이 낮은 화강암에서는 표면부위에서 집중적으로 염의 집적이 일어나서 얇은 박리가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삼중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퇴비의 염분(NaCl) 분해방법 (Sodium Chloride Decomposing Method in Food Waste Compost using Triple Salt)

  • 김남천;장병만
    • 유기물자원화
    • /
    • 제12권3호
    • /
    • pp.86-94
    • /
    • 2004
  • 우리나라 음식물쓰레기의 특징은 높은 수분함량과 고농도의 염분(NaCl)을 함유한다. 음식물쓰레기 수분함량은 가정의 경우 80.0%이고 음식점이나 농수산물시장에서 발생되는 것은 각각 76.9%와 90.0%의 함량을 가지며 염분 함량은 가정쓰레기와 음식점쓰레기가 각각 3.36%와 4.84%를 함유하고 있다. 음식물쓰레기 퇴비 중 염분함량을 1% 이하로 조절하기 위해 지금까지 여러 가지 방법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런 방법들은 침출수 과다로 인한 환경오염 또는 높은 장치비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어 실용화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염분이 충분히 제거되지 않은 음식물쓰레기 퇴비를 농경지에 사용할 경우 염해로 인한 식물의 성장장애 및 염류축적이 일어날 수 있다. 본 연구는 음식물쓰레기 퇴비에 함유된 염분을 $KHSO_5$, $KHSO_4$, $K_2SO_4$로 구성된 삼중염을 이용하여 분해하는 방법이며, 기존 화학적 처리방법과 달리 염분을 분해하여 칼륨비료의 원료인 KCl로 전환시켰다. 또한 상추재배시험 결과 음식물쓰레기 퇴비와 삼중염을 처리한 음식물쓰레기 퇴비 간에는 발아율 및 성장상태에서 많은 차이를 나타냈다.

  • PDF

팽창진주암 무기복합재에서의 단열성능 및 열크랙 방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rmal Insulation Property and Thermal Crack Protection for Expanded Perlite Inorganic Composites)

  • 안원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3286-3291
    • /
    • 2014
  • $400^{\circ}C$의 고온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무기단열재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물유리(waterglass)를 바인더로 사용하여 제조한 팽창진주암(expanded perlite) 무기복합재의 단열성과 열 충격에 의한 크랙 방지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정량된 팽창진주암 미세분말과 물유리를 혼합한 반죽을 몰드에 넣고 하루 동안 안정화시킨 후에 $150^{\circ}C$ 오븐에서 완전히 건조하여 샘플을 제작하였다. 인산알미늄(aluminum phosphate)와 마이카(mica)분말이 각각 반응촉진제와 열 충격 방지제로 사용되었다. 특히 마이카 분말이 도입된 샘플은 $500^{\circ}C$ 고온에서도 열에 의한 크랙 발생이 일어나지 않았으며, 샘플의 단열성은 팽창진주암의 혼합비율이 높아질수록 향상됨을 보여주었으며, 중량비로 물유리/perlite/mica/Al phosphate=100/200/10/1.5의 조성비를 같는 샘플은 $500^{\circ}C$에서 약 0.09W/mK의 열전도도를 나타내는 우수한 단열 특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나트륨 실리케이트(sodium silicate)가 주성분인 물유리 바인더의 열적 특성으로 인하여 $600^{\circ}C$이상의 온도에서는 심한 치수변형을 발생시켜 실제 사용상의 온도 제한성을 보여 주었다.

판형 웨이브가이드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소듐냉각고속로 원격주사 검사기법 개발 (Development of a Ranging Inspection Technique in a Sodium-cooled Fast Reactor Using a Plate-type Ultrasonic Waveguide Sensor)

  • 김회웅;김상활;한재원;주영상;박창규;김종범
    • 한국소음진동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48-57
    • /
    • 2015
  • 제 4세대 원자로로 개발되고 있는 소듐냉각고속로는 냉각재로 사용되는 소듐의 물과 공기에 의한 반응을 방지하기 위하여 원자로 헤드의 개방 없이 회전 구동만을 이용하여 핵연료 교환을 수행한다. 따라서 핵연료 교환을 위해서는 노심과 상부내부구조물 사이의 공간에 원자로 헤드의 회전 구동을 방해하는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검사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는데, 소듐의 불투명성으로 인해 통상적인 광학 장비를 사용한 검사방법으로는 장애물의 확인이 어렵고, 초음파를 이용한 검사방법이 적용되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불투명한 소듐 중에서 노심과 상부내부구조물 사이의 장애물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판형 웨이브가이드 초음파 센서를 적용한 원격주사 검사기법을 개발하였다. 웨이브가이드 센서는 원자로헤드 상부의 저온 구간에 초음파 트랜스듀서를 설치하고 길이가 긴 웨이브가이드를 사용하여 노심 상부의 고온 고방사능 소듐 내부로 초음파를 전파시키기 때문에, 고온 고방사능에 의한 손상 없이 장시간 적용이 가능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먼저, 수평 방향으로 초음파를 방사시킬 수 있는 10 m 길이의 수평 빔 웨이브가이드 센서를 설계 제작하였고, 제작된 센서의 특성 분석을 위한 빔 프로파일 측정 및 기초 실험을 수행하여 방사되는 초음파의 빔 폭과 전파 거리를 평가하였다. 또한, 실제 장애물로 작용할 수 있는 부품들의 형상인 원형 목표물에 대한 원격탐지 성능시험을 수행하여 개발된 원격주사 기술의 유용성을 평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