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dium metabisulfite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31초

건조온도 및 아황산처리가 건조마늘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rying temperature and sulfiting on the qualities of dried garlic slices)

  • 김현구;조길석;권대영;박무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5권1호
    • /
    • pp.6-9
    • /
    • 1992
  • 세절 마늘 건조중 갈변물질의 형성속도는 건조온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증가하였다. 건조마늘의 pyruvate함량은 건조온도가 증가하거나 건조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감소하였다. Sodium metabisulfite는 세절된 건조마늘의 비효소적 갈변을 줄일 수 있었고, pyruvate 함량의 감소를 억제하였다. 아황산 처리는 antimicrobial activity를 갖는데, $65^{\circ}C$에서 대조구의 세균수가 $4.6{\times}10^5$이던 것을 $5.2{\times}10^4$으로 줄일 수 있었다.

  • PDF

EFFECT OF ANTIOXIDANT ON THE STABILITY AND EFFICACY ON ANTI-WRINKLE OF INDOLE-3-ACETIC ACID

  • H. S. Jung;Park, Y. H.;Kim, J. H.;Park, K. H.;J. S. Koh;Kim, E. J.
    • 대한화장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화장품학회 2003년도 IFSCC Conference Proceeding Book I
    • /
    • pp.617-629
    • /
    • 2003
  • A recent development in cosmetics has been the pursuit of wrinkling in the skin. The cosmetics composed of anti-wrinkle agent stand out from the point of view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and pollution. Among them, Indole-3-acetic acid (IAA), studied with wrinkling pigmentation and swelling conditions in the area of the eye, showed clinically significant reduction in depth of lines during one month trial using skin treatment. But, IAA has shown some problems when used in cosmetic formulations, such as stability, permeability and toxicity. The results of the clinical examination were shown that its permeability and toxicity didn't matter. To increase the stability of IAA, antioxidants such as Licorice, ubiquinone, tocopherol, Baicalin, ferulic acid, BHT, ascorbic acid, sodium metabisulfite, and so on were employed in cosmetic formulations. Our main purpose is the study for the stability efficiency and effect of each other of cream formulations containing optimal dosage antioxidants (o/w type emulsion), This study evaluated wrinkle reduction effect of IAA, which is used in cosmetics.

  • PDF

다양한 침지액 보관에 따른 박피 감자와 고구마의 품질변화 (Quality Changes of Peeled Potato and Sweet Potato Stored in Various Immersed Liquids)

  • 박기재;정진웅;김동수;정승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8-17
    • /
    • 2007
  • 수도수(TW), 0.85% 식염수(0.85% NaCl) 및 0.5% Sodium metabisulfite(0.5% SMS)를 대조구로 하고 강산성 전기분해수(SAEW ; Strong Acidic Electrolyzed Water, pH 2.53, ORP 1,088 mV, HClO 91.25 ppm)와 약알칼리 전기분해수 (LAEW ; Law Altaline Electrolyzed Water, pH 8.756, ORP 534 mV, HClO 105.70 ppm)를 침지액으로 하여 박피 감자와 고구마의 초기품질 및 $5^{\circ}C$ 저장중 품질변화를 비교 검토하였다. 저장중 총페놀성 화합물 함량 변화는 감자에서는 처리구간 차이가 거의 없었으나 고구마에서는 LAEW 침지 박피 고구마가 다소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PPO 활성은 저장기간 전반에 걸쳐 전기분해수 침지구인 SAEW 및 LAEW 침지 박피 고구마가 상대적으로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색차 변화량과 조직감의 감소량은 전기분해수 침지 박피 감자와 고구마가 TW, 0.5% NaCl 및 0.5% SMS 침지 박피 처리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았다. 총균수와 대장균 군수는 저장초기 및 저장 3-6일까지는 전기분해수와 0.5% SMS 침지 박피 감자와 고구마가 생대적으로 낮은 균수를 나타내었으며, 관능평가 결과 종합적 기호도는 저장기간 전반기인 9일 정도까지는 LaEW가 타 처리구에 비해 다소 높게 평가되었으나 유의적 차이는 거의 없었다.

홍옥(紅玉) Polyphenol Oxidase의 일반적(一般的) 성질(性質) 및 활성(活性) Band의 열안정성(熱安定性) (Some Properties of Polyphenol Oxidase from Apple (Jonathan) and Thermal Stability of the Active Bands)

  • 정기택;서승교;송형익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97-402
    • /
    • 1984
  • 사과주(酒)의 효소적(酵素的) 갈변(褐變)에 대한 기초(基礎) 연구(硏究)의 일환으로, 홍옥에서 polyphenol oxidase(EC 1.10.3.1)을 추출(抽出), 조정제(粗精製)하여 그 일반적(一般的) 성질(性質) 및 열처리(熱處理)에 따른 polyphenol oxidase 활성(活性) band의 변화(變化)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홍옥 polyphenol oxidase의 최적(最適)pH는 6.5, 최적온도(最適溫度)는 $30^{\circ}C$였으며, 주(主) 기질(基質)은 o-diphenol이었다. 열(熱)에 대한 안정성(安定性)은 $60^{\circ}C$$70^{\circ}C$에서 1시간(時間) 처리후(處理後)에도 잔재활성(殘存活性)이 각각(各各) 35%, 15% 정도였다. Sodium metabisulfite, cysteine 및 ascorbate 는 0.5 mM에서 거의 완전히 효소활성(酵素活性)을 저해(沮害)하였으나 EDTA는 저해효과(沮害?果)가 아주 약하게 나타났다. 또한 알콜은 polyphenol oxidase의 활성(活性)에 아무린 영향(影響)을 미치지 않았다. 홍옥 polyphenol oxidase의 활성(活性) band는 4개로 관찰(觀察)되었고, $60^{\circ}C$$70^{\circ}C$에서 1시간(時間) 동안 발효액(醱酵液)을 열처리(熱處理)한 후(後)에는 각각(各各) 2개 및 1개의 활성(活性) band가 관찰(觀祭)되었다. 그러므로 각(各) band는 열(熱)에 대한 안정성(安定性)이 크게 차이(差異)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각(各) band의 열안정성(熱安定性)과 효소(酵素)의 열안정성(熱安定性) 성적과는 거의 일치(一致)되었다.

  • PDF

사과(골덴) Polyphenol Oxidase의 효소학적(酵素學的) 성질(性質) (Some Properties of Polyphenol Oxidase from Apple (Golden Delicious))

  • 정기택;서승교;한성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58-164
    • /
    • 1986
  • 골덴에서 polyphenol oxidase를 추출(抽出) 및 조정제(粗精製)하여 그 성질(性質)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최적(最適) pH는 6.5, 최적온도(最適溫度)는 $30^{\circ}C$였으며 효소(酵素)의 기질특이성(基質特異性)은 o-diphenol에 높은 활성(活性)을 나타내었다. 저해제(沮害劑)의 효과(效果)는 Cysteine이 가장 효과(效果)가 좋았고 ascorbate와 sodium metabisulfite는 거의 비슷하였으며 EDTA는 아주 낮은 저해효과(沮害效果)를 보였다. 골덴 PPO를 $20^{\circ}C$$4^{\circ}C$에서 저장(貯藏)했을때 효소활성(酵素活性)의 변화(變化)는 $20^{\circ}C$에서는 초기(初期) 4일(日)째까지 활성(活性)이 급격히 감소(減少)되었으며 $4^{\circ}C$에서는 초기(初期) 2일(日)까지는 활성(活性)의 변화(變化)가 거의 없었으나 3일(日)째 부터는 급격히 감소(減少)하기 시작(始作)하였다. Polyacrylamide disc gel로 전기영동(電氣泳動)한 결과(結果) 4개(個)의 활성(活性) band가 확인(確認)되었고 열(熱) 처리(處理)한 후(後)에는 각각(各各) 3개(個) 및 1개(個)의 활성(活性) band가 관찰(觀察)되었다. 그리고 효소(酵素)의 열(熱) 안정성(安定性)에 있어서 동일(同一) 처리후(處理後)에 잔존활성(殘存活性)이 40% 및 5% 정도(程度)였으므로 각(各) band의 열(熱) 안정성(安定性)은 효소(酵素)의 열(熱) 안정성(安定性)과 거의 일치(一致)하였다.

  • PDF

사과(Ralls Janet) Polyphenol Oxidase의 효소학적(酵素學的) 성질(性質) (Enzymatic Characteristics of Polyphenol Oxidase from Apple (Ralls Janet))

  • 정기택;서승교;송형익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16-322
    • /
    • 1983
  • 사과 및 그 가공품의 효소적갈변(酵素的褐變)에 대한 기초적(基礎的) 자료(資料)를 얻고 나아가서 그 방지책(防止策)을 조사(調査)하는 목적으로 국광으로 부터 polyphenol oxidase(EC 1.10.3.1)를 추출(抽出)하여 그 일반적(一般的) 성질(性質)을 검토(檢討)하였다. 국광 polyphenol oxidase의 반응최적(最適) pH는 6.0이었으며 최적(最適) 반응온도(反應溫度)는 $30^{\circ}C$였다. 본효소(本酵素) pH 4.0에서 가장 안정성(安定性)이 높았으며, pH 5.0~9.0에서도 80% 이상(以上)의 활성(活性)을 나타내었다. 열(熱)에 대한 안정성(安定性)은 $40^{\circ}C$ 1시간(時間) 처리(處理)조건에서도 극히 안정(安定)하였으며 $60^{\circ}C$에서 30분(分) 처리(處理)로 효소(酵素) 활성(活性)이 50% 감소(減少)되었다. $Cu^{2+}$, $Fe^{3+}$, $Mg^{2+}$, $Mn^{2+}$의 첨가(添加)로 활성(活性)이 저해(沮害)되었다. 본효소(本酵素)에 대한 가장 효과적(效果的)인 저해제(沮害劑)는 cysteine, sodium, metabisulfite, ascorbate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광 polyphenol oxidase는 o-diphenol인 chlorogenic acid와 catechol을 크게 산화(酸化)시키는 것으로 보아 o-diphenol화합물(化合物)이 주(主) 기질(基質)인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전기분해수 침지처리 박피연근의 랩 및 진공포장 저장 중의 품질변화 (Quality Changes in Peeled Lotus Roots Immersed in Electrolyzed Water Prior to Wrap- and Vacuum-Packaging)

  • 박기재;정진웅;임정호;김범근;정승원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5호
    • /
    • pp.622-629
    • /
    • 2008
  • 수도수(TW)와 0.5% sodium metabisulfite(0.5% SMS)를 대조구로 하고 강산성 전기분해수(SAEW: strong acidic electrolyzed water, pH 2.58, ORP 1,128 mV, HClO 105.0 ppm)와 약알칼리 전기분해수(LAEW: law alkaline electrolyzed water, pH 8.56, ORP 660 mV, HClO 73.8 mV)를 연근의 박피 후 침지액으로 하여 랩포장과 진공포장하여 $5^{\circ}C$ 저장 중 품질 변화를 비교.검토하였다. 0.5% SMS와 전기분해수 침지로 TW 침지 박피 연근에 비해 1 log cyle의 초기 균수 감소 효과와 저장중 상대적으로 낮은 균수를 나타내었다. 침지 처리에 의한 초기 및 저장중 경도의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뚜렷한 PPO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는 확인할 수 없었다. 전기분해수 침지로 표면색도와 색차는 0.5% SMS 침지와 유사한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고 관능적 특성의 변화에서도 TW 침지 박피 연근에 비해 0.5% SMS 침지 박피 연근과 전기분해수 박피 연근이 다소 높게 평가되었다. 포장 방식에 있어서는 랩포장에 비해 진공포장이 품질 유지에보다 효과적이었다.

보존료의 가공식품 유형별 사용 현황 연구 (A Survey on the Application of Preservatives to Processed Food Types)

  • 정은정;진경남;최현정;정유상;김용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61-270
    • /
    • 2020
  • 식품첨가물 중 주용도로 보존료가 제시되어 있는 발색제 3품목, 보존료 17품목 및 표백제 6품목을 대상으로 가공식품 유형별 사용 현황을 조사하였다. 발색제 3품목 중 아질산나트륨이 257건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양념젓갈(71.21%), 즉석섭취식품(7.78%), 빵류(7.00%) 등에 사용하였다. 보존료로 사용되는 안식향산류 중 안식향산나트륨의 사용 건수는 1,215건으로 안식향산류(총 1,236건)의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음료베이스(39.51%), 혼합음료(22.47%), 인삼·홍삼음료(8.89%) 등 음료류에 81.16%를 사용하였다. 데히드로초산나트륨은 총 57건 중 빵류(49.12%)와 마가린(21.05%)에 주로 사용하였다. 자몽종자추출물은 3,291건 사용되어 보존료 중 가장 많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자몽종자추출물은 소스(54.65%), 액상차(10.46%), 기타가공품(5.15%), 인삼·홍삼음료(3.83%) 등 가공식품 식품유형 44종류에 사용되었다.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의 사용 건수는 2,957건으로서 파라옥시안식향산류의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소스(92.15%), 혼합간장(2.77%), 절임식품(1.52%) 등의 식품유형에 96.44%를 사용하였다. 프로피온산류 3종은 거의 대부분 빵류에 사용되었다. 소브산칼륨은 789건 중 절임식품(40.43%), 어묵(34.09%), 조미건어포(7.22%), 소스(4.06%) 등 주로 절임식품과 수산물가공식품류(총 47.15%)에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브산은 27건의 사용사례 모두 어묵(100%)에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표백제로 사용되는 아황산염류 6품목 중 산성아황산나트륨과 차아황산나트륨은 주로 과자류, 빵류 또는 떡류에, 메타중아황산칼륨, 메타중아황산나트륨 및 무수아황산은 주로 과실주 등 주류에, 아황산나트륨은 절임식품에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보존료를 주용도로 하는 식품첨가물을 가공식품에 사용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상어 껍질과 육으로부터 산 및 Pepsin 가용성 콜라겐의 추출과 탈색조건 (Extraction and Bleaching of Acid- and Pepsin-Soluble Collagens from Shark Skin and Muscle)

  • 김재원;김도균;김미정;김순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91-99
    • /
    • 2010
  • 상어의 껍질과 육 조직으로부터 산 (citric acid) 가용성 콜라겐 (ASC)과 pepsin 가용성 콜라겐 (PSC)의 추출 및 탈색조건을 조사하였다. 비 콜라겐 단백질을 제거하기 위한 적정 NaOH 농도는 0.3 N이었으며 처리시간은 9시간이었다. 상어껍질의 탈색은 생 원료에 대하여 10배량의 0.48% sodium hypochlorite로 60분간 처리하는 것이 적절하였다. ASC 및 PSC의 추출시 산의 적정농도는 각각 0.3 M 및 0.1 M이었고, 추출시간은 각각 72시간 및 24시간 이었다. 산가용성 콜라겐인 ASSC (citric acid soluble shark skin collagen)와 ASMC (citric acid soluble shark muscle collagen), pepsin 가용성 콜라겐인 PSSC(pepsin and citric soluble shark skin collagen)와 PSMC (pepsin soluble shark muscle collagen)에 함유된 총 단백질 함량은 각각 88.66, 83.09, 90.33 및 84.81% (dry basis)이었으며 시판 표준 콜라겐의 88.86%와 대등하였다. Hydroxyproline의 함량으로부터 산출한 순 콜라겐 함량은 ASC에서는 25.70~70.31%, PSC에서는 32.94~83.09%이었다. 상어육과 껍질 (dry basis) 100 g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콜라겐의 수율은 ASC는 53.85~57.22%, PSC는 20.81~23.28%이었다.

Characterization of 'Biuti' Peach Polyphenoloxidase

  • Belluzzo, Ana Silvia Fidelis;Fleuri, Luciana Francisco;Macedo, Juliana Alves;Macedo, Gabriela Alves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4호
    • /
    • pp.878-883
    • /
    • 2009
  • In Brazil canned 'Biuti' peach is a very popular form of this sub-tropical fruit. This production represents an important economic agro-activity in Minas Gerais, Brazil during the summer period, in preparation for the Christmas celebrations. The aim of this work was to characterize the 'Biuti' peach polyphenoloxidase (PPO), since peach products show enzymatic oxidation of the polyphenols by oxidative enzymes, which affects the products during their shelf life. Two different hypothesis for the browning problem in processed peaches were studied: the inadequacy of the blanching treatment and the presence of a latent phenolase in the peaches. The PPO was characterized: pH optimum (5.5) and stability (5.5-6.5); optimum temperature at $20^{\circ}C$ and 80% of the activity retained after 30 min at $15-40^{\circ}C$. The test for the presence of latent PPO in the processed and canned peaches was negative. Ascorbic acid, ${\beta}$-mercaptoethanol, sodium metabisulfite, and cysteine were efficient in inhibiting the PP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