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dium lactate

검색결과 103건 처리시간 0.025초

Nitric oxide, Isosorbide dinitrate 및 Sodium nitroprusside가 쥐의 허혈성 심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Nitric Oxide, Isosorbide Dinitrate and Sodium Nitroprusside on Ischemic Myocardium of Rat)

  • 정종화;김수현;김송명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9권10호
    • /
    • pp.1055-1065
    • /
    • 1996
  • 혈관확장의 기전으로 혈류를 증가시킨다고 보고된 nitric oxide(이하 NO), Isosorbide dinitrate(이하 ISDW), 그리고 sodium nitroprusside(이하 SWP)에 대해 어떤 물질이 허혈성 심근에서 더 효과적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이 실험을 시행하였다. 그리고 실험군은 정상대조군(1군), WO군(2군), ISDW군(3군), SWP군(4군)으로 나누었다. 실험 대상은 쥐의 심근을 채택하였으며, 실험 모델은 isolated constant pressure Langendorfr system을 채택하였다. 그리고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서 냉동 심근과 관혈류내의 lactate와 CK-MB수치, 관혈류량, LVDP, dp/dt등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12군과 4군에서 허혈전 상태에서의 lactate치가 낮았다(p<0.0025). 2. 반면에 관혈류량은 2군과 4군에서 높았다. 3. 허혈전과 허 혈후에 생산된 lactate수치의 비는 2군과 4군에서 낮았다(p< 0.005). 4.관혈류내의 CK-MB치는 2군과 3군에서 낮았으며,냉동 심장내의 CK-MB치는 2군과4군에서 낮았 다. 5. 관혈류량은 전 실험 과정 에서 2군과 4군에서 높았다(p<0.005) 6. 허혈전 상태 에서의 LWP는 2군에서 가장 높았다. 7. +maximal dp/dt는 2군에서 가장 높았다. 8. 허혈전과 재\ulcorner류후의 회복률은 1군이 가장 높았다. 9. (-dp/dt)1(+dp/dt)의 비는 각군에서 각각 116%, 100%, 100%, 55%였다. 0. total dp/dt의 회복률은 각각 34%, 67%, 51%, 76%였다 결론적으로 nitric oxide는 관상혈관의 확장에 상당한 효과가 있는것으로 생각되며, lactate와 CK-MB 의 생산은 NO 군과 ISDW군에서 효과적으로 낮았다.

  • PDF

재조합 대장균에서 수크로즈로부터의 젖산을 모노머로 함유한 폴리하이드록시알칸산 생산 연구 (Biosynthesis of Lactate-containing Polyhydroxyalkanoates in Recombinant Escherichia coli from Sucrose)

  • 오영훈;강경희;신지훈;송봉근;이승환;이상엽;박시재
    • KSBB Journal
    • /
    • 제29권6호
    • /
    • pp.443-447
    • /
    • 2014
  • Biosynthesis of lactate-containing polyhydroxyalkanoates (PHAs) was examined in recombinant Escherichia coli W strain from sucrose. The Pseudomonas sp. MBEL 6-19 phaC1437 gene and the Clostridium propionicum pct540 gene, which encode engineered Pseudomonas sp. MBEL 6-19 PHA synthase 1 ($PhaC1_{Ps6-19}$) and engineered C. propionicum propionyl-CoA transferase ($Pct_{Cp}$), respectively, were expressed in E. coli W to construct key metabolic pathway to produce poly(3-hydroxybutyrate-co-lactate) [P(3HB-co-LA)]. The recombinant E. coli W expressing the phaC1437 gene and the pct540 gene could synthesize P(3HB-co-13mol%LA) up to the polymer content of 31.3 wt% when it was cultured in chemically defined MR medium containing 20 g/L of sucrose and 2 g/L of sodium 3-hydroxybutyrate. When Ralstonia eutropha phaAB genes were additionally expressed to provide 3-hydroxybutyrate-CoA (3HB-CoA) from sucrose, P(3HB-co-16mol%LA) could be synthesized from sucrose as a sole carbon source without supplement of sodium 3-hydroxybutyrate in culture medium, but the PHA content was decreased to 12.2 wt%. The molecular weight of P(3HB-co-16 mol%LA) synthesized in E. coli W using sucrose as carbon source were $1.53{\times}10^4$ ($M_n$) and $2.78{\times}10^4$ ($M_w$), respectively, which are not different from those that have previously been reported by other recombinant E. coli strains. Engineered E. coli strains developed in this study should be useful for the production of lactate-containing PHAs from sucrose, one of the most abundant and least expensive carbon sources.

Enterococcus faecium MJ-14가 생산하는 박테리오신과 물리화학적 처리의 상승효과 (Synergistic Effect of Physico-chemical Treatment and Bacteriocin Produced by Enterococcus faecium MJ-14)

  • 임성미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17-224
    • /
    • 2005
  • E.faecium MJ-14가 생산하는 박테리오신 30 BU/ML 처리에 의해 L. monocytogepes 균수는 0.6 log unit 감소 되었으나, 박테리오신 (30 BU/mL $65^{\circ}C$, 5분간 가열처리와 병용한 경우에는 약 2.7 log unit가 감소하였다. 박테리오신 30 BU/mL와 itric acid혹은 acetic acid $0.5\%$를 병용 처리한 경우에는 24시간 만에 초기균수가 각각 약 2 log unit와 3 log unit감소하였다. 박테리오신 30 BU/mL와 NaCl $8\%$를 병용 처리했을 때에는 박테리오신 단독 처리구보다 약 1 log unit더 감소되었다. 또한, 박테리오신 30 BU/mL단독 처리했을 때에 비해 sodium benzoate $500{\mu}g/mL$혹은 sodium lactate $1000{\mu}g/mL$와 각각 병용 처리하면 2 log unit가 더 감소되었으며, sodium nitrate $100{\mu}g/mL$와 potassium nitrate $100{\mu}g/mL$와의 병용 처리한 경우 박테리오신 단독 처리구에 비해 각각 3.5 log unit와 2 log unit이상 더 감소하였다. 한편, 탈지유에 E. faecium MJ-14의 박테리오신 300 BU/mL을 첨가한 경우 $4^{\circ}C$에서 24시간 만에 L. monocytogenes의 균수는 대조구에 비해 각각 약 1.5 log unit감소되었으며,돈육에 첨가한 경우 $-20^{\circ}C$에서 7일간 만에 대조구보다 약 2 log unit의 감소효과가 나타났다.

Chloride염 및 유기산 칼슘염의 식중독 미생물에 대한 증식 억제 효과 (Growth Inhibitory Effects of Chloride Salts and Organic Acid Salts Against Food-Borne Microorganisms)

  • 이나영;김용석;신동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1233-1238
    • /
    • 2003
  • Chloride염 및 유기산 칼슘염을 농도별로 첨가하여 배양할 때 6종의 식중독 미생물에 대한 증식 억제 효과를 Bioscreen C(600 nm)를 이 용하여 시험 하였다. E. cereus는 sodium chloride 7% 또는 potassium chloride 9% 처리시 증식이 관찰되지 않았다. Calcium chloride는 3% 농도에서 E. coli O157:H7과 S. aureus의 증식이 관찰되지 않았다. Magnesium chloride는 5% 농도에서 B. cereus, S. Typhimurium 및 S.aureus의 증식을 억제하였다. 유기산 칼슘염의 식중독 미생물에 대한 증식 억제 효과는 calcium propionate>calcium acetate>calcium lactate 순으로 나타났다. S. Typhimurium은 calcium chloride 단독 처리 할 때는 5% 이상 농도에서 증식이 관찰되지 않았으나, calcium chloride 3%와 젖산 0.01%를 병용할 때 같은 효과가 나타나 단독 사용할 때 보다 병용에 따른 상승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포장어묵의 수분활성저하에 미치는 식품첨가제의 영향 3. 식품첨가제의 병용효과 (Effect of Food Humectant on Lowering Water Activity of Casing Kamaboko 3. Effect of Humectants Used in Combination)

  • 정혜경;김동조;천석조;조길석;박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88-96
    • /
    • 1983
  • 식염, sodium lactate, glycerin, propylene glycol 및 sorbitol의 5종의 첨가제를 두 종류씩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첨가함으로써 이들 혼합첨가제의 수 분활성 저하효과를 조사하였다. 이들 첨가제에 NaCl을 일정 비율로 혼합첨가한 경우가 다른 첨가물에 비하여 저하효과가 현저히 좋았으며, sodium lactate의 첨가량 증가에 따른 수분활성저하효과는 식염의 1/2 정도로 나타나며, glycerin, propylene glycol, sorbitol 보다는 우수하였다. glycerin과 propylene glyco1을 다른 첨가물에 일정 비율로 증가시키면서 첨가하였을 경우의 수분활성저하효과는 glycerin이 propylene glycol보다 약간 좋았으나, 그 차이는 극히 미미하였다. 5종의 첨가제 중에서 sorbitol의 첨가량 증가에 따른 수분활성 저하효과가 가장 적게 나타났다. 실제 측정된 수분활성치와 Raoult의 식에 의한 계산치와 비교 검토한 결과는 첨가량이 적은 범위에서는 거의 일치하는 경향을 볼 수 있으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실측치와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어 어묵의 수분활성 예측법으로는 부적합하다고 생각되었다. 그래서 직선경사법에 이론적 근거를 두어 각종 첨가제에 있어서 수분활성 저하효과를 예측하기 위한 예측식을 구하여 보았다.

  • PDF

발아초기의 콩 부위별 Lactate Dehydrogenase 활성변화 및 효소성질 비교 (Comparision of the Activity and Characteristics of Lactate Dehydrogenase Isolated from Different Parts of Soybean Seedling)

  • 이효사;전태홍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6권1호
    • /
    • pp.28-34
    • /
    • 1983
  • 발아초기(發芽初期)에 콩(대두(大豆))의 부위별(部位別)로 Lactate dehydrogenase(LDH)의 Isozyme 존재가능성(存在可能性)을 조사(調査)하기 위한 기초적(基礎的)인 연구(硏究)가 수행(遂行)되었다. 발아가 진행(進行)됨에 따라 자엽부위의 효소활성변화(酵素活性變化)에는 큰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배축이나 뿌리 부위(部位)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4{\sim}7^{\circ}C$에서 배축이나 뿌리로부터 얻은 LDH는 자엽에서 얻은 LDH에 비(比)해 불안정(不安定)했다. 전기영동상의 Rm value가 자엽으로부터 얻은 효소(酵素)에서는 0.25인데 비하여, 배축으로 부터 분리된 LDH는 0.29였다. 배축이나 뿌리로 부터 분리된 LDH는 Biphasic으로 0.45mM과 0.014mM의 두 km값을 보이고 자엽부위에서는 0.45mM 값만 관찰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자엽부위의 LDH와는 다른 성질(性質)을 가진 LDH가 배축이나 뿌리부위(部位)에 존재(存在)할 가능성(可能性)을 보여주고 있다.

  • PDF

수소 발효에 의한 폐수처리 및 바이오가스 생산(I): 최적 수소 생산 조건 (Wastewater Treatment and Biogas Production by Hydrogen Fermentation(I): Optimum Condition for Hydrogen Production)

  • 선용호;한정우박돈희조영일
    • KSBB Journal
    • /
    • 제6권4호
    • /
    • pp.351-361
    • /
    • 1991
  • This study is on the investigation of hydrogen production and substrate removal by photosynthetic bacteria. After using of Rhodospillum rubrum KS-301 and IFO 3986, which are photosynthetic bacteria as strains, R. rubrum KS-301 was turned out a better strain. And result of experiment in which glucose and sodium lactate, components of wastewater, were used limiting substrates, showed that the productivity of hydrogen was indifferent with the kind of substrates. In batch experiments using free cells and immobilized whole cells, the decrease in hydrogen productivity was observed in the latter case. From the results of these experiments, specific growth rate of cells, specific utilization rate of glucose, and specific production rate of hydrogen were calculated. And each rate was expressed in the form of Monod equation of which parameters were estimated. Also the optimum condition of hydrogen production for free cells was $30^{\circ}C$, pH 7, and 12,000 Lux, and the optimum immobilized condition was as follows: initial immobilized cell concentration 1.0g/L, sodium alginate concentration 2% and light intensity 12,000 Lux.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