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dium

검색결과 9,783건 처리시간 0.048초

사과나무잎말이나방의 성 페로몬 합성과 생물활성시험 (Synthesis and Biological Activity Test of the Pheromone of the Asiatic Leafroller Moth)

  • 강석구;구민숙;노광현;이정운
    • 대한화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76-581
    • /
    • 1987
  • 사과무늬잎말이나방의 성 유인물질인 (Z)-11-테트라데센-1-일 아세테이트(1)와 (E)-11-테트라데센-1-일 아세테이트(2)를 합성하여 생물활성시험을 수행하였다. 10-브로모데칸-1-올과 DHP에서 얻어지는 10-브로모데칸-1-올 THP에테르를 아세틸렌소디움음이온과 알킬화시켜 11-도데신-1-올 THP에테르를 합성하였다. 이것을 부틸리튬으로 처리하여 얻어지는 리튬음이온을 브로모에탄과 반응시켜 11-테트라데센-1-올 THP에테르를 얻었다. 이것을 $Pd/BaSO_4$하에서 수소환원시켜 (Z)-11-테트라데센-1-올 THP에테르를 얻었고, $Na/NH_3$와 금속환원시켜 (E)-11-테트라데센-1-올 THP에테르를 얻었다. (Z)-와 (E)-형의 화합물을 보호기를 제거한 후 아세트산무수물로 아세틸화하여 (Z)-11-테트라데센-1-일 아세테이트와 (E)-11-테트라데센-1-일 아세테이트를 각각 얻었다. 합성된 성 페로몬에 대한 사과무늬잎말이나방 숫컷의 성 유인력을 시험해 본 결과 활성이 있음이 밝혀졌다.

  • PDF

과배란유도에 의한 난소과자극증후군 발생 고위험군에 있어서 알부민 정맥투여요법의 효과에 관한 연구 (The use of Intravenous Albumin for the Prevention of Ovarian Hyperstimulation Syndrome in Patients at High Risk in in Vitro Fertilization)

  • 문신용;노재숙;이경순;서창석;김석현;최영민;신창재;김정구;이진용;장윤석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2권2호
    • /
    • pp.171-181
    • /
    • 1995
  • Ovarian hyperstimulation syndrome(OHSS) is one of the well-known complication of controlled ovarian hyperstimulation(COH). Though there have been numerous measures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OHS, it has not been completely preventable until now. The fluid shift from the intravascular space to the third space is due to decreased oncotic pressure of the serum.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if IV administration of 20% albumin in those patients with OHSS risk can make prevention of severe OHSS. We retrospectively analysed 70 patients undergoing IVF-ET who had serum peak estradiol($E_2$) level of >2,500 pg/ml and/or the number of oocytes retrieved over 20. The treatment group(n=39) received albumin while the control group(n=31) did not. After 40 grams of human albumin diluted in 1,000 ml of 0.9% sodium chloride solution, the treatment group received half of the fluid during oocyte retrieval, the remainder in the recovery suit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vels of serum peak $E_2$ and number of oocytes retrieved between the two groups(p<0.05).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ncidence of OHSS and pregnancy rate or multifetal pregnancy rate. In conclusion, administration of albumin to OHSS risk patients did not reduce the rate of OHSS in IVF-ET. However, if we consider the fact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peak serum $E_2$ and oocyte numbers, further prospective study may be needed.

  • PDF

동결/융해와 방사선 가교법에 의한 PVA/CMC 수화젤의 제조 및 특성 평가 (Fabr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VA/CMC Hydrogels by Freezing-Thawing Technique and Gamma-Ray Irradiation)

  • 조선영;임윤묵;윤민호;권희정;박종석;노영창;신흥수
    • 폴리머
    • /
    • 제33권6호
    • /
    • pp.551-554
    • /
    • 2009
  • Poly(vinyl alcohol) (PVA)와 carboxymethyl cellulose sodium salt(CMC)는 우수한 생체적합성 및 수용성으로 인하여 생체의학 분야에서 주목하는 재료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PVA와 CMC를 동결/융해 과정과 감마선 조사에 의하여 인공연골로서 사용 가능한 수화젤을 제조하였다. 수화젤 제조시 PVA/CMC의 농도는 PVA는 7 wt%, CMC는 4 wt%로 고정시켰으며, 동결/융해 과정은 2회 반복하였으며, 감마선은 30 kGy조사하였다. 방사선 조사 전과 후의 겔화율은 눈에 띄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팽윤도는 조사 후에 감소하였으며, 겔강도는 증가하였다.CCK-8 assay에 의하여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제조된 PVA/CMC 수화젤은 체내에 삽입되는 인공연골 재료로서 사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조형가공기술을 이용한 인공지지체의 수산화나트륨 개질 효과 (Effect of Sodium Hydroxide Treatment on Scaffold by Solid Freeform Fabrication)

  • 박수아;이정복;김양은;김지은;권일근;이준희;김완두;김형근;김미은;이준식
    • 폴리머
    • /
    • 제38권6호
    • /
    • pp.815-819
    • /
    • 2014
  • 조직공학에서의 인공지지체는 세포의 부착과 증식 및 분화가 잘 되어야 하고, 우수한 생체친화성 및 생분해성을 지녀야 한다. 다양한 인공지지체 제작 방법이 시도되어지고 있으며, 최근들어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방식이 활발하게 연구되어지고 있다.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PCL)은 낮은 녹는점을 가지고 있어 3D 프린팅하기에 우수한 생체적합 고분자 합성재료이다. 본 연구에서는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하여 3차원 PCL 인공지지체를 제작하였고, 지지체의 표면개질을 위해 수산화나트륨(NaOH)을 이용하였다. 표면개질된 인공지지체의 표면특성을 SEM으로 확인한 결과, 수산화나트륨을 처리한 PCL 인공지지체가 처리하지 않은 PCL 인공지지체에 비해 거칠기가 증가함을 보였으며, 접촉각 측정을 통해 친수성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In vitro 실험결과, 수산화나트륨을 처리한 PCL 인공지지체가 처리하지 않은 PCL 인공지지체에 비해 세포의 증식과 분화가 증가함을 보였고, 세포의 부착 모습은 균일하고 밀집된 형태로 부착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조형가공기술을 이용하여 수산화나트륨을 처리한 표면개질된 PCL 인공지지체를 제작하고 분석함으로써, 세포적합성을 통해 체내 인공지지체 개발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치아 씨앗으로부터 분리한 단백다당체의 성분분석과 보습 효과 (Moisturizing Effects and Composition Analysis of Proteoglycan Isolated from Chia (Salvia hispanica) Seed)

  • 이범천;주철규;허지연;이근하;김영진;이찬우;김진웅;박용일;김현숙;최태부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21-128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치아 씨앗으로부터 분리한 단백다당체(proteoglycan)의 성분분석과 분자량 측정 및 피부보습 효과를 연구하였다. 분리된 단백다당체의 성분분석 결과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를 이루고 있는 당 성분(%)은 galactose (46.8), glucuronic acid (27.1), rhamnose (8.7), xylose (7.6), glucose (4.9), fructose (2.3), mannose (1.8), arabinose (0.9)로 확인되었으며, 함유된 단백질의 함량은 31.3 mg/g으로 이를 구성하는 아미노산 성분(mg/g)은 Asp (1.9), Glu (3.6), Ser (0.9), Gly (3.6), Thr (0.8), Arg (1.0), Ala (2.0), Tyr (0.4), Cys (4.8), Val (1.1), Phe (0.5), Ile (0.6), Leu (0.9)로 확인 되었다.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에 의해 측정한 치아 씨앗 단백다당체의 분자량 범위는 100,000~250,000 Da로 분자량 분포에 의한 평균 분자량은 170,000 Da이었다. 또한, 사람을 이용한 피부수분 보유 효과 및 피부 수분 손실량을 평가한 결과, 피부의 수분함량을 유지하는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표피 수분 손실량 또한 적어서 피부 보습제로서 매우 우수하였다. 결론적으로 치아 씨앗의 다당체로부터 분리한 단백다당체를 화장품에 응용하면 우수한 보습효과를 가지는 화장품을 개발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 Simple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Crude Gintonin from Ginseng Root, Stem, and Leaf

  • Pyo, Mi-Kyung;Choi, Sun-Hye;Shin, Tae-Joon;Hwang, Sung-Hee;Lee, Byung-Hwan;Kang, Ji-Yeon;Kim, Hyeon-Joong;Lee, Soo-Han;Nah, Seung-Yeol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5권2호
    • /
    • pp.209-218
    • /
    • 2011
  • Ginseng has been used as a general tonic agent to invigorate the human body as an adaptogenic agent. In a previous report, we have shown that ginseng contains a novel glycolipoprotein called gintonin. The main function of gintonin is to transiently enhance intracellular free $Ca^{2+}$ $[Ca^{2+}]_i$ levels in animal cells. The previous method for gintonin isolation included multiple steps using organic solvents. In the present report, we developed a simple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crude gintonin from ginseng root as well as stem and leaf, which produced a higher yield of gintonin than the previous one. The yield of gintonin was 0.20%, 0.29%, and 0.81% from ginseng root, stem, and leaf, respectively. The apparent molecular weight of gintonin isolated from stem and leaf through sodium dodecyl sulfate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was almost same as that from root but the compositions of amino acids, carbohydrates or lipids differed slightly between them. We also examined the effects of crude gintonin from ginseng root, stem, and leaf on endogenous $Ca^{2+}$-activated $Cl^-$ channel (CaCC) activity of Xenopus oocytes through mobilization of $[Ca^{2+}]_i$. We found that the order of potency for the activation of CaCC was ginseng root > stem > leaf. The $ED_{50}$ was $1.4{\pm}1.4$, $4.5{\pm}5.9$, and $3.9{\pm}1.1$ mg/mL for root, stem and leaf, respectively. In the present study, we demonstrated for the first time that in addition to ginseng root, ginseng stem and leaf also contain gintonin. Gintonin can be prepared from a simple method with higher yield of gintonin from ginseng root, stem, and leaf. Finally, these results demonstrate the possibility that ginseng stem and leaf could also be utilized for ginstonin preparation after a simple procedure, rather than being discarded.

흉유돌근골막 피판을 이용한 후두 재건 (EXPERIMENTAL RECONSTRUCTION OF LARYNX WITH STERNOMASTOID MYOPERIOSTEAL FLAP)

  • 조재식;안병현;김선태;이종원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1년도 제25차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
    • /
    • pp.28-28
    • /
    • 1991
  • 후두암의 수직절제 수술후의 후두 재건 목적은 기관절개를 통하지 않고 후두를 통한 호흡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연하시 기도흡인을 피하기 위한 sphincter 능력의 보존, 그리고 발성이 가능하도록 성대진동 mechanism을 재건하는데 있다. 오늘날 수많은 후두학자들에 의해서 고안 개발된 다양한 재건 방법이 있다. 연자는 광범위한 후두절제에 따른 큰 결손을 메우기 위해 bulky하면서도 점막 상피의 재생이 용이한 재건 피판으로 흉유돌근골막 피판을 이용하여 후두 결손부를 재건하여 보았다. 방법은 성견 3마리를 대상으로하여 thiopental sodium 정맥주사로 전신마취를 시행한 후 설골에서부터 흉골상까지 경부 정중앙의 피부를 절개하고 후두를 노출시켜 후두 수직절제술을 시행하였다. 흉유돌근과 흉골에 부착된 골막을 박리하여 흥유돌근골막 피판을 제작한 후 골막이 후두강 안쪽으로 되도록하여 골막연과 후두점막을 봉합하였다. 그리고 3, 5, 9개월에 후두적출술을 시행하여 병리조직학적 및 수술후 경과를 관찰하였다. 3실험견 모두 기관절개술 없이 후두를 통한 호흡이 가능하였고 흡입성 폐렴이나 피하기종등의 합병증없이 창상이 치유되었으며 발성도 양호하였다. 이식된 골막위로 신생혈관의 출현과 함께 점막재생이 잘되 있었다. 단지 봉합사 주위에 소량의 육아종이 관찰되었다. 조직학적으로는 섬유조직위로 편평상피가 재생되었으며 성문하부에서는 일부 섬모가 있는 호흡기 점막도 관찰되고 골막하부에 신생골 형성은 관찰할 수 없었다. 골막 피판은 그 유연성 때문에 결손부위의 점막연에 맞춰도 tension이 없고 공기 누출이 되지 않게 봉합이 가능할 뿐 아니라 점막이 재생할 수 있는 frame-work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이상과 같은 사실로 미루어 흉유돌근 자체가 견실하고 골막에 혈류공급이 잘되어 창상치유에 좋을 뿐 아니라 큰 후두결손부의 재건이 가능하리라고 사료되었다.로서 몇가지 앞으로의 치료지침에 도움이 되는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1) 성별 분포는 남자 16(39 %), 여자 25 (61%)이었으며 1 : 1.5의 빈도를 보였다. 2) 연령 분포는 20대와 30대에서 남녀 모두 25명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3) 부식제의 종류는 빙초산이 26명 (63.4 %)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염산 7 (17.1 %) Lye 3 (0.7 %) 의 순이었다. 4) 음독후 12시간내에 식도경술을 받은 환자가 3명(0.7 %) 12-24시간에 받은 환자가 17명(41.5 %), 24 - 48시간에 받은 환자가 11명(26. 8%)으로 48시간 내에 시행받은 환자가 전체의 75.6%를 차지하였다. 5) 식도경 검사상 나타난 식도화상은 Grade I 11명 (26.8%) G.ade II 18(43.9%) Grade III 7명(17.1%) 이었으며 Grade II 인 경우가 18명(43.9%)로 가장 많았으며 Grade I 11명(26.8 %), Grade III 7명 (17.1 %) Normal 5명 (12.2 %) 순이었다. 6) 조기 식도경 검사에서 41명중 oral cavity burn이 없었던 경우가 15명(36. 1 %) 이었으며, oral cavity burn이 있었던 26명중 5명(19 .2 %)에서 Esophageal burn이 없었다 특히 Esophageal burn의 Grade II, III 25명 중 9명(29.6 %)에서 oral cavity burn이 없었다. 7) 식도 부식중 환자의 치료 원칙으로 Grade I, II, III에서 항생제 및 보존적 치료를 하였으며 Grade I에선 oral feeding을 시켰고 Steroid는 경우에 따라 투여하였으며 Grade III에선 원칙적으로 사용치 않았다. 식도조영술은 Grade I II III에서 3주 후에 모두 시행하였다. 8) 3주 후 식도조영술을 실

  • PDF

이비인후과 영역에 희귀한 결석증 2례 (Two Cases of the Calculi which Are Rare in the E.N.T. Field)

  • 이석용;양오규;이영효;심상열;김재선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1년도 제15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1.2-11
    • /
    • 1981
  • 이비인후과 영역에서의 결석증은 타영역에 비해서 비교적 드물게 발견된다. 편도 결석은 만성편도염 환자의 소여포를 채우고 있는 건락성 충진물의 중심부에서 발견된다. 어릴때 편도염을 자주 앓았던 성인에서 발견되는 것이 보통이고, 증상으로는 구개내 이물감 및 악취를 환자 자신이 느낀다. Keratohyalin이 축적되어 결석을 형성하고 있으며 염증이 동반되면 인두통, 인통, 연하통 연하곤란등이 있을 수 있다. 비석은 비강내 이물, 응혈, 세균 가피 농후한 분비물 등이 핵이 되어 그 주위에 칼슘, 마그네슘등이 침착해서 형성된다. 성인에 따라서 외인성과 내인성으로 구분되는데, 외인성의 경우는 비강내 이물에 의해서, 내인성의 경우는 기왕에 존재하던 비질환에 의해서 각각 비폐쇄가 유발되며, 비루에 지장이 초래되어 분비물의 울혈을 가져와서 비석을 형성하는데 기여한다. 성인, 여자에서 잘 생길 수 있으며 대개 편측성이고 비강저부에저 발견되는 것이 보통이다. 대개 완만한 성장을 보이므로 상당기간은 아무런 증상없이 지내다가 비폐쇄, 비출혈, 악취나는 점액농성 분비물을 주소로 내원하는 수가 많다. 저자들은 이비인후과 영역에서도 희귀하게 발견되는 편도결석 1례와 거대한 비석 1례를 최근에 치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쥐 근소포체의 ($Ca^{2+}$+$Mg^{2+}$)-ATPase의 분리정제와 그 효소특성에 관하여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a^{2+}$+$Mg^{2+}$)-ATPase of Sarcoplasmic Reticulum from Rat Skeletal Muscle)

  • Lee, Jong-Soon;Ha, Doo-Bong;Chung, Chin-Ha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31-43
    • /
    • 1985
  • $(Ca^{2+}+Mg^{2+})$-ATPase를 쥐의 근소포체로부터 sucrose density gradient centrifugation의 방법을 사용하여 분리 정제하였다. 정제된 효소를 폴리아크릴 아마이드 젤에서 전기영동한 결과, 토끼와 닭의 경우에서와 같이 분자량 115,000인 단일 단백질 띠로 나타났다. 정제된 이 효소의 활설도는 50 $\\muM$의 $Mg^{2+}, Ca^{2+}, Co^{2+}, Fe^{2+}, Min^{2+}$에 의해서는 증가되었고, 같은 농도의 $Zn^{2+}, Cu^{2+}, Hg^{2+}$에 의해서는 감소되었다. Quinine와 quinacrine 같은 antimalarial drug는 이 효소의 활성도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p-hydroxymercuric benzoate와 phenylmethylsulfonylfluoride는 이 효소의 활성을 억제하였다. 이 효소는 pH 6과 7 사이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ATP를 기질로 사용하였을 때 Km 값은 98 $\\muM$이었다. $(Ca^{2+}+Mg^{2+})$-ATPase는 microsomal fraction에서 선택적으로 분해되었다. $^{3}H-casein$ 이나 ^{125}I-insulin같은 방사성 동위원소로 표지된 기질을 사용하여 단백질 분해에 대한 활성도를 조사해 본 결과, microsomal preparation에 metalloendoprotease가 존재하였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그 효소가 $(Ca^{2+}+Mg^{2+})$-ATPase를 분해하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 PDF

3,3'-Diindolylmethane (DIM)이 인체 전립선암 세포의 부착, 이동 및 침윤성에 미치는 영향 (3,3'-Diindolylmethane (DIM) decrease adhesion, migration and invasion in human prostate cancer cells)

  • 김현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9-26
    • /
    • 2015
  • 본 연구는 3,3'-diindolylmethane(DIM)이 인간전립선암 세포인 PC3 세포와 DU145 세포의 부착, 이동, 침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DIM은 PC3와 DU145 세포의 부착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24시간동안 DIM으로 PC3 세포를 전 처리한 후 부착실험을 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그러나 암세포가 부착 시 DIM의 암세포 부착 억제가 전처리에 의한 부착 억제보다 효과적이었다. DIM은 인간 전립선암세포의 이동과 침윤도 억제하였으며 24시간 동안 PC3 세포를 DIM으로 전처리를 했을 때도 침윤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DIM의 억제효과는 세포주에 따라 다소 다른 경향을 보여 PC3 세포에 대한 억제효과가 DU145 세포에 대한 억제효과보다 큰 것으로 관찰되었다. DIM은 $150{\mu}M$ 까지 세포 독성이 관찰되지 않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므로 본 연구결과 DIM은 세포 독성이 없는 수준에서 인간 전립선암 세포인 PC3와 DU145 세포의 부착, 이동, 침윤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전립선암 전이 억제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